• Title/Summary/Keyword: 터널내 유입량

Search Result 44,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Relation between Groundwater Inflow into the Waterway Tunnel and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in Hyeonseo-myeon, Cheongsong-gun, Korea (청송군 현서면 일대 도수로터널내 지하수 유입량과 수리지질 특성의 관련성)

  • 박재현;함세영;성익환;이병대;정재열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1 no.2
    • /
    • pp.141-152
    • /
    • 2001
  • The waterway tunnel zone (length 1,484m) in the Hyeonseo-myeon area that is a part of Yeongcheon dam waterway tunnel has been studied to characterize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ndwater inflow into the waterway tunnel and hydrogeologic characteristics. The effects of sandstone thickness in the tunnel section. fracture density, fracture aperture and spacing, fault zone width and hydraulic conductivity on the early inflow (inflow prior to the lining and grouting) ar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racture density and hydraulic conductivity is also considered.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s that fault zone width has the greatest effect on groundwater inflow into the tunnel, and sandstone thickness, hydraulic conductivity and fracture density in order shows an influence on the inflow.

  • PDF

The Decision of Pyeunghwa Dam's Discharge Rate Considering Hwachun Dam Stage (화천댐수위를 고려한 평화의 댐 방류량 산정방법)

  • Lee, Eul-Rae;Yoo, Yang-Soo;Park, Myung-Ky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001-1005
    • /
    • 2005
  • 현재 평화의 댐 배수터널은 직경 10m 원형 x 4 련의 콘크리트 라이닝 터널로 구성되어 있다. 배수터널내의 흐름특성은 터널직경, 모양, 터널결사, 조도계수 및 입구부와 출구부의 기하학적 성질, 터널의 상류수위와 하류수위 등에 따라 개수로 혹은 관수로의 흐름특성이 나타난다. 따라서 터널내의 흐름은 각각의 경우에 따른 수리학적 해석이 달리 적용되어진다. 화천댐의 수위와 연계하여 평화의 댐 방류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상$\cdot$하류 수위에 따른 관로내의 흐름특성이 다양하게 변화하는 바 이에 따른 수리학적 검토가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터널의 흐름별로 계산 방법을 도출하였으며 상$\cdot$하류의 수위와 단면형태를 고려하여 먼저 배수터널내의 흐름특성을 규명한 다음 그에 합당한 유량산정공식으로 배수터널 내에서 유하하는 흐름의 유량값을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검토에서 구축된 계산절차에 의해서 평화의 댐 수위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시점인 2002년 1월, 6월 그리고 2004년 8월 시점의 평화의 댐, 화천댐의 수위를 검토하여 방류량을 산정하였다. 평화의 댐에서는 방류량을 결정하기 위한 계측시설이 없기 때문에 가장 가까운 하류부의 화천댐 유입량과 비교를 수행하게 된다. 강우가 지속되면서 화천댐의 유입량이 증가를 하게 되는데 화천댐 유역의 국지적인 호우에 따른 유입량으로 판단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화천댐 유입량과 계산된 평화의 댐 방류량에서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산정법을 바탕으로 하여 강우에 따른 평화의 댐 방류량을 정확히 산정함으로서 댐유역의 비상사태 발생 또는 임남댐의 방류 등을 추정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2$으로 나타났다. 밸브 개폐도가 $100\%$일 때가 밸브를 $60\%$$80\%$ 개폐시켰을 때보다 $0.3kg/cm^2,\;0.29kg/cm^2$ 낮게 나타나 밸브를 전체 개방 했을 때 관로내의 수압이 상수설계기준에 적합한 수압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 상수관로 설계 기준에서는 관로내 수압을 $1.5\~4.0kg/cm^2$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6kg/cm^2$보다 과수압을 나타내는 경우가 $100\%$로 밸브를 개방하였을 때보다 $60\%,\;80\%$ 개방하였을 때가 더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므로 대상지역의 밸브 개폐는 $100\%$ 개방하는 것이 선계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밸브 개폐에 따른 수압 변화를 모의한 결과 밸브 개폐도를 적절히 유지하여 필요수량의 확보 및 누수방지대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로 나타났다.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

  • PDF

천부 터널 굴착에 따른 지하수 유동체계 변화 모사 - 현장 적용 사례

  • Cha Jang-Hwan;Na Han-Na;Gu M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389-392
    • /
    • 2005
  • Visual MODFLOW를 이용하여 서울지하철 7호선 706공구에 계획된 터널 굴착에 따른 지하수 유동계의 변화를 모사하였다. 경계조건은 모델 영역 내 하천(굴포천)의 경우 일정수두경계, 터널 굴착 구간의 경우 $0.39{\sim}0.58m^2/day$의 전도계수를 갖는 배수경계(Drain), 터널 개착구간은 Inactive cell이 존재하는 일정수두경계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모델 보정은 현장시험을 통해 구해진 수리상수는 일정하게 유지하고 함양률을 변화시키면서 실시하였으며, 정류모사를 반복 수행하여 최적의 함양률(150 mm/yr)을 결정하였다. 모사 결과 터널 구간으로의 지하수 유입량은 굴착 및 개착 완료 시 $623m^3/day$, 터널 완공 후 정류상태의 경우 $584m^3/day$인 것으로 나타났다. Zone Budget을 이용한 유출입량 분석 결과 정류 상태 시 터널 내로 유입되는 지하수의 69%는 터널 인근 하천수의 유입에 기인하며, 나머지 31%는 주변 지역에서 함양된 지하수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Groundwater inflow rate estimation considering excavation-induced permeability reduction in the vicinity of a tunnel (터널 굴착으로 인한 터널인접 절리암반 투수계수 감소를 고려한 터널 내 지하수 유입량 산정방법)

  • Moon, Joon-Shik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5 no.3
    • /
    • pp.333-344
    • /
    • 2013
  • This paper discussed about the effect of permeability reduction of the jointed rock mass in the vicinity of a tunnel which is one of the reasons making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estimated ground-water inflow rate and the measured value. Current practice assumes that the jointed rock mass around a tunnel is a homogeneous, isotropic porous medium with constant permeability. However, in actual condition the permeability of a jointed rock mass varies with the change of effective stress condition around a tunnel, and in turn effective stress condition is affected by the ground water flow in the jointed rock mass around the tunnel. In short time after tunnel excavation, large increase of effective tangential stress around a tunnel due to stress concentration and pore-water pressure drop, and consequently large joint closure followed by significant permeability reduction of jointed rock mass in the vicinity of a tunnel takes place. A significant pore-water pressure drop takes place across this ring zone in the vicinity of a tunnel, and the actual pore-water pressure distribution around a tunnel shows large difference from the value estimated by an analytical solution assuming the jointed rock mass around the tunnel as a homogeneous, isotropic medium. This paper presents the analytical solution estimating pore-water pressure distribution and ground-water inflow rate into a tunnel based on the concept of hydro-mechanically coupled behavior of a jointed rock mass and the solution is verified by numerical analysis.

Assessment of groundwater inflow rate into a tunnel considering groundwater level drawdown and permeability reduction with depth (터널굴착 중 지하수위 강하 및 깊이별 투수계수 변화를 적용한 지하수 유입량 변화 분석)

  • Moon, Joon-Shik;Zheng, An-Qi;Jang, Seoyong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9 no.2
    • /
    • pp.109-120
    • /
    • 2017
  • Groundwater seepage into a tunnel is one of the main causes triggering tunnel collapse and the consequent ground subsidence. Thus, it is important to estimate adequately the groundwater inflow rate and porewater pressure change during tunneling with time elapse. In current practice, Goodman's analytical solution (or image tunnel method) assuming homogeneous ground condition around a tunnel is commonly used for estimating groundwater inflow rate. However, the generally-used analytical solution for estimating groundwater inflow rate does not consider groundwater level drawdown and permeability change with depth, and the inflow rate can be overestimated in design phase. In this study, parametric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ndwater level drawdown and permeability reduction with depth, and transient flow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studying the inflow rate change as well as groundwater level and porewater pressure change around a tunnel with time elapse.

A study on comparison of a ground water influx quantity in Seoul subway tunnel (서울지하철 터널내의 지하수 유입량에 대한 비교 연구)

  • Woo, Jong-Tae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1 no.4
    • /
    • pp.353-359
    • /
    • 2009
  • As ground water influx quantity which flows into the tunnel inside from the 7.937 km section of Han River and small and 7 medium-sized rivers which pass through subway line 5 is average $34,444\;m^3/day$ and it's 55.3% of the underground water influx quantity $62,272\;m^3/day$ which flows into whole tunnel section 31.29 km. If we suppressed the underground water influx from the rivers, it would be expect that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expenses would be able to reduce a lot. In addition,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nd water influx quantity which flows into the river section and that of the design standard, the ground water influx quantity is $3.01\;m^3/min$ and it is flowing to similar level of tunnel design standard $3.00\;m^3/min$. However, when it is compared with tunnel average influx quantity $1.38\;m^3/min$, it has been found that 2.18 times of ground water flows into rivers.

URT 주변의 지하수유동체계 해석

  • Jo Seong-Il;Kim Cheon-Su;Bae Dae-Seok;Kim Gyeong-Su;Go Yong-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259-262
    • /
    • 2006
  • 본 연구는 지하처분연구시설(URT : Underground Research Tunnel)시설 건설공사와 관련하여 굴착 후의 지하수유동체계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지하수유동체계 모사를 위해 사용된 모델은 연속체 매질 개념의 Visual Modflow이며, URT 주변의 시추공에서 조사된 자료를 초기 입력자료로 이용하였다. 1단계 터널굴착 후에 계측된 지하수위 및 터널 내 지하수 유입량을 토대로 모델교정을 수행하였고, 교정된 모델을 이용하여 2단계 터널굴착 후의 지하수유동체계를 예측하였다. 1단계 굴착 후 약 4.3m의 수위강하가 발생한 KP-2번공은 2단계 굴착 후에는 약 0.05m의 수위강하가 예측되었다. 또한 2단계 굴착 후의 지하수위는 터널 입구를 기준으로 약 108m지점부터 터널 종점부 175m까지는 터널 상부에 분포하며, 종점부 175m지점에서는 지하수위가 터널 천장(roof)부로부터 약 12.7m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지하수위의 강하범위는 터널 중심부로부터 반경 약 300m까지 발생되는 것으로 예측되었고, 예상 지하수 유입량은 24.7ton/day로 1단계 공사 후보다. 약 2.7ton/day 증가하며, 공동굴착 전 터널 중심부의 지하수가 지표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약 39.8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Groundwater control measures for deep urban tunnels (도심지 대심도 터널의 지하수 변동 영향 제어 방안)

  • Jeong, Jae-Ho;Kim, Kang-Hyun;Song, Myung-Kyu;Shin, Jong-Ho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23 no.6
    • /
    • pp.403-421
    • /
    • 2021
  • Most of the urban tunnels in Korea, which are represented by the 1st to 3rd subways, use the drainage tunnel by NATM. Recently, when a construction project that actively utilizes large-scale urban space is promoted, negative effects that do not conform to the existing empirical rules of urban tunnels may occur. In particular,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groundwater fluctuations and hydrodynamic behavior will occur owing to the practice of tunnel technology in Korea, which has mainly applied the drainage tunnel.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drainage tunnel, attempts are being made to control groundwater fluctuations. For this, the establishment of tunnel groundwater management standard concept and the analysis of the tunnel hydraulic behavior were performed. To prevent the problem of groundwater fluctuations caused by the construction of large-scale tunnels in urban areas, it was suggested that the conceptual transformation of the empirical technical practice, which is applied only in the underground safety impact assessment stage, to the direction of controlling the inflow in the tunnel, is requir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undwater level and the inflow of the tunnel required for setting the allowable inflow when planning the tunnel was derived. The introduction of a tunnel groundwater management concept is expected to help solve problems such as groundwater fluctuations, ground settlement, depletion of groundwater resources, and decline of maintenance performance in various urban deep tunnel construction projects to be promoted in the future.

Hydraulic stability evaluation for deep tunnel on continuous precipitation (연속강우에 대한 대심도 터널의 수리적 안정성 평가)

  • Oh, Jun Oh;Park, Jae Hyeon;Park, Chang Keun;Jun, Sang M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99-99
    • /
    • 2016
  • 최근 홍수의 특성과 피해 양상은 과거와는 다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급격한 도시화로 인하여 기존 하천유역의 저류 능력이 감소하였는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이미 외국에서는 대심도 터널을 활용한 홍수재해 관리방안이 오래전부터 활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서울시에 건설중인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 연속강우 시 대심도 터널의 수리적 안정성 평가와 운영방안 수립을 위한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모형은 Froude 상사법칙을 사용하여 원형의 1/50크기로 제작하였다. 모형의 전체 저류 가능량은 모형기준 $2.78m^3$ (원형 $347,778m^3$)이며, 터널 내 잔류수는 전체 저류 가능량의 0 ~ 100%까지 10%씩 변화시켜 실험 CASE를 선정하였다. 각 실험CASE별 수직 유입구 안정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터널 내 잔류수가 10%~80%까지 존재 할 때는 저지수직구1에서의 압축공기 폭발현상으로 인한 월류현상이 발생하였으며, 10%~40%까지는 저지수직구2에서 월류현상이 발생하였다. 하지만 고지수직구에서는 모든 CASE에서의 공기폭발 현상 및 월류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유입성능 및 공기배출 성능이 충분히 발휘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저지수직구1에서의 월류현상 발생 시점은 5분55초에서 3분42초까지 빨라졌으며 저지수직구2에서의 월류현상 발생 시점은 5분57초에서 4분57초로 빨라졌다. 이는 터널 내 잔류수량이 증가할수록 터널 내 만관시점이 빨라져 발생하며, 저지수직구1,2에서의 압축공기 폭발현상 및 월류 현상은 터널 내에서 발생한 반사파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차후 터널 내 반사파 발생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