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태양열 집열장치

Search Result 3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Novel of Solar Heat Collection Device Prototype using Parabolic based on Solar Light Tracking (태양광 추적기반의 파라볼릭을 이용한 태양열 집열장치 프로토타입에 관한 연구)

  • Jung, Se-Hoon;Sim, Chun-Bo;Park, Sung-Kyun;Kim, Jong-H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1 no.4
    • /
    • pp.411-420
    • /
    • 2016
  • Efforts have continued in recent years to research and develop new alternative energy sources to replace coal and oil. These days interest is exploding in new pollution-free renewable energy due to the rising prices of finite energy sources. In the field of solar energy, one of new renewable energy that has been actively researched and commercialized, research efforts have been focused on solar light energy, whose efficiency has, however, reached a saturation point already. Thus, this paper proposed a solar tracking-type parabolic heat collection device to utilize solar thermal energy rather than solar light energy. The proposed device was designed in a parabolic form to collect solar heat effectively. The investigator made its prototype by incorporating a five-axis censor-based solar tracking technology in it to sense changes to the location of the sun according to the seasons and periods. In addition, an administrator interface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heat collection device.

Study on Characteristics Comparison of Unpowered Cooling and Heating Combined Device using Solar Heat (태양열을 이용한 무동력 냉난방 겸용장치의 특성 비교 연구)

  • Lee, Jaehan;Chun, Taekyu;Yang, Youngjoo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7 no.4
    • /
    • pp.20-26
    • /
    • 2018
  • As the global warming due to greenhouse effect has become serious problem,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technology, for instance, such as diversity or saving of energy to reduce the use of fossil fue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n materials of absorption plate, unpowered and minimum use of power in cooling and heating combined device. As the results, it was observed that, in case of summer, since temperature of absorption device of solar heat(ADSH) was lower than that of no ADSH, cooling effect was insignificant in case of being not installed cold-reservoir. However, in case of winter, heating effect was certified even though the power was not used. At secondhand, the performance of ADSH with Cu was higher 2 times than that of ADSH with Al.

Analysis of the Top Loss Coefficient for Flat Plate Collector in a Solar Air-Conditioning System during Winter (태양열 이용 냉난방 공조시스템중 평판형 집열기의 동계 상부 열손실 해석)

  • Kim, B.C.;Choi, K.H.;Kum, J.S.;Kim, J.R.
    • Solar Energy
    • /
    • v.18 no.3
    • /
    • pp.15-24
    • /
    • 1998
  • There are mainly 3 heat losses from solar collector; top, bottom, and edge heat loss. Usually edge heat loss is small so that could be neglected. Of the total thermal losses occurring in a flat plate solar collector, top loss heat losses are domin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the top loss coefficient accurately in order to find out performance of solar collector. The flat plate solar collector(regenerator in summer) used in this study was made for year-round all conditioning. In order to find out collector efficiency for heating in winter without a system change, outdoor experiment was done. The top loss coefficient of this collector was about 3 to $4.5W/m^2^{\circ}C$. Futhermore use of selective coating in trickling surface can improve a performance of flat plate solar collector.

  • PDF

A Development of Automation system and a way to use Solar Energy System Eefficiently in Greenhouse -Study on Growth and Yield of a cucumber in soil heating- (시설원예용 태양열 시스템의 효율적 이용과 자동화 장치개발(2) -지중가온에 의한 오이 생육 및 수량에 관한 연구-)

  • 김진현;오중열;구건효;김태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8.05a
    • /
    • pp.61-67
    • /
    • 1998
  • 1973년과 1978년의 1,2차 Oil Shock로 인하여 정부는 대체에너지 개발을 입법화하여 태양열의 이용을 촉진시켜왔다. 그 후 약 20년간 태양열 이용에 대한 효과적인 집열과 축열기술의 개발에 연구가 추진되었으며, 집열판(Flat-plate collector)의 개발과 열교환기, 축열장치의 설계 등 효율향상을 통하여 건축의 난방, 온수급탕 등이 주종을 이루었다. (중략)

  • PDF

태양열을 이용한 냉방장치 -급수식 냉동기를 중심으로-

  • 하재현;이상천
    • Journal of the KSME
    • /
    • v.17 no.1
    • /
    • pp.23-27
    • /
    • 1977
  • 태양열을 냉방에 이용하기 위한 시스템은 집열기,열교환기,냉동기 등으로 구성된다. 집열기는 난 방시와 마찬가지로 볼 때 냉난방을 병용하는 집열기를 사용하면 유리하다. 열교환기는 집열기에 서 수집한 열을 냉방기에 전달시키는 기능을 가지는데 용도에 따라 이것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냉동기로는 보통 흡수식 냉동기를 사요하나 그외 개방식, 분사식 등의 냉동기도 사용된다. 그러나 분방식 냉동기는 취급은 용이하나 흡수제의 재생조건이 까다로워 높은 습기를 갖는 경우 재생온도가 역시 높아져야 하므로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여름철의 습도가 높기 때문에 재생온도가 높아져야 하므로 태양열 냉방에는 부적당하다. 또 분사식 냉동기의 경우 성적계수(Coefficient of Performance) 가 다른 냉동기에 비해 낮고 증기압력이 낮으면 이것이 극히 낮아지기 때문에 태양 열 냉방에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그래서 태양열 냉방에 있어서 냉동기는 거의 흡수식을 사용하 고 있으며, 여기에서도 주로 흡수식 냉동기를 사용한 냉방에 대하여 논하고져 한다.

  • PDF

Study on Thermal Efficiency according to Configuration Change and Contact Resistance of Solar Collector with Single Evacuated Tube-type (단일진공관 태양열집열기의 형상변화 및 접촉저항에 따른 집열효율 연구)

  • Choi, Bo-Won;Yang, Young-Joo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3 no.4
    • /
    • pp.189-195
    • /
    • 2014
  • The use of solar energy among renewable energy tends to increase because of its infinity and cleanness of resources. Even though the consumption rate of solar energy in our country is still low, however, in recent years, the research for solar energy have been widely conducted due to policy support of governmen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iciency of heat collection using solar collector with single evacuated tube-type. As the results, the temperature of radiation fin for solar collector with single evacuated tube-type was lower in spite of high temperature of heat pipe compared that of double evacuated tube-typ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heat colle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loss of heat collection due to contact resistance as well as performance improvement for solar collector should be decreased.

A Thermal Performance Test Loop Design for Liquid - Heating Solar Collectors (액체식 태양열 집열기의 열성능 평가시험 루우프 설계)

  • Chun, M. H.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7 no.1
    • /
    • pp.110-121
    • /
    • 1983
  • ASHRAE 표준을 참고로 하여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수정한 집열기 시험 장치의 주요부품 의 설계도면 및 Specification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ASHRAE 표준 시험 절차를 재분석하고 KAIST에서 수정한 Test Loop를 시험하기 위한 실험절차의 개요도 설명하였다. ASHRAE 표준 상의 가장 중요한 실험인 (1) 집열기 시간 상수 실험과 (2) 수직에 가까운 입사각에 대한 효율 실 험 및 (3) 입사각 수정 계수 실험 등을 실제 태양 아래에서 실험하여 그 결과도 그림으로 제시하 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한국 과학 기술원 에서 설계한 집열기 시험 장치는 ASHRAE의 표준 절차에 따라 액체 가열식 집열기의 열효율을 측정하기 위한 실용적 장치임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ASHRAE 표준 93-77은 합리적인 절차 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최소일사량 규정(즉 630W/m$^{2}$ 미만이 되어서는 안된다고 하는 ASHRAE 규정) 같은 것은 일사량이 적은 기후 조건하에서는 다소 하향 조정하여도 정확한 효율 곡선을 얻을 수 있다고 하겠다.

가정용 태양발전 랭킨시스템

  • 한국온돌난방시공협회
    • 보일러설비
    • /
    • s.71
    • /
    • pp.59-67
    • /
    • 1999
  • 이 논문에서는 태양발전과 저장을 위한 환경친화적 장치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컴퓨터 모델에 주안점을 두고 시스템의 최적 발전조건을 계산하였는데, 여기에는 작동유체 효율과 태양열 집열판의 크기와 효율 그리고 출력이 포함되어 있다. 영국과 멕시코의 기후조건들이 분석되고, 각 위도에 대한 신뢰 할만한 최근 기상자료가 컴퓨터 수치모사에 사용되었다. 결과를 보면, 연간 출력 4000kW.h를 얻기 위해서, 영국의 경우 시스템 설치에 필요한 집열 면적은 $92m^{\2}$이며, 멕시코의 경우에는 유사 모사조건하에서 동일한 출력을 얻기 위해서는 $48m^{\2}$의 집열면적이 필요하다. 터빈과 이송펌프, 발전기 등의 효율에 민감하여 약간의 효율향상이 있으면 집열 면적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 PDF

The Study of The Collector Efficiency Curve (태양열 집열기 효율곡선에 대한 연구)

  • Shin, J.C.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3 no.3
    • /
    • pp.198-202
    • /
    • 2014
  • In the solar heat collection system, we can determine how the collector will perform under specific conditions from the efficiency curve. By understanding the basic principles which govern the operation, designers can maximize the output from the collector. Absorptance, transmission and the total heat transfer coefficient were introduced to induce this efficiency curve. Designers who can make use of the implicit information on the curve in this report will generate systems which obtain the best return from their client's investment.

Thermal Efficiency Analysis of the Conical Solar Concentrator According to the Black Coating of Absorber (흡수기 도색 여부에 따른 원추형 집광기 집열효율 분석)

  • Hwang, Seong Geun;Na, Mun Soo;Woo, Sung Jae;Lee, Joo Hee;Lee, Gwi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25-125
    • /
    • 2017
  • 본 연구에서 원추형 태양열 집광기의 흡수관 표면의 흑색 도색 여부에 따른 효율분석을 수행하였다. 원추형 집광기 시스템은 열 손실 최소화 및 집광비가 우수한 $45^{\circ}$의 원추각을 갖는 원추형 집광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원추형 태양열 집광시스템은 열매체 축열을 위한 온도센서가 내장된 축열조와 태양에너지를 집열시키는 원추형 집광기, 유량측정을 위한 유량계, 열매체의 강제순환을 위한 펌프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지속적인 태양추적을 위해 2축 태양 추적 장치를 설치하였다. 흡수관은 원추형 집광기의 중심부에 설비되었으며, 열매체의 순환을 위해 이중 열교환기 구조로 제작되었다. 흡수관의 길이는 열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집광기의 높이와 동일하게 설계하였다. 원추형 집광시스템의 작동유체인 물은 펌프에 의해 흡수관과 축열조를 강제순환 하게되고, 용량이 70L인 축열조에 흡수관으로부터 흡수된 태양 복사열이 저장된다. 원추형 집광시스템의 성능실험은 청명한 날 유량 2L/min, 4L/min, 6L/min에 대해 수행되었으며, 집열효율을 계산하여 비교 및 분석하였다. 흑색으로 도색된 흡수기를 부착한 원추형 집광시스템의 집열효율은 82.25%로 나타났으며, 무 도색 흡수관을 갖는 원추형 집광시스템은 73.26%의 집열효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흡수관 표면의 흑색 도색이 원추형 집광시스템의 집열효율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