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탐색 제어

Search Result 52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sign of a Real Time, High Speed, Large Scale Data Storage System using the DEVS formalism (DEVS 형식론을 이용한 실시간 고속 대규모 데이터 저장 시스템의 설계)

  • 이찬수;성영락;오하령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7.04a
    • /
    • pp.75-80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입출력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이 가져야할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그것을 만족하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고속 대용량, 랜덤 억세스의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여러 대의 하드 디스크를 병렬로 연결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나누어 저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하드 디스크의 성능은 디 스크 아암의 탐색동작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실시간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선 단순히 디스크의 수를 늘이는 것 외에 디스크 아암의 탐색 동작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 는 방법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 설계된 시스템에서는 시스템을 MCU(Master Control Unit), DDU(Data Distribution Unit), SCU(Slave Control Unit), DSU(Data Storage Unit)의 4부분으로 나누고, 각 디스크의 디스크 아암 탐색 동작을 독립된 SCU에서 제어하 도록 하였다. 설계된 내용이 주어진 요구사항들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본 논문에 서는 이산사건 시스템을 기술하는 수학적인 언어인 DEVS 형식론을 이용하여 제안된 시스 템을 기술하고 시뮬레이션하였다. 그리고 시뮬레이션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사건들의 궤적 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제안된 시스템은 앞에서 제시한 여러 요구사항들을 잘 수용함을 보았다.

  • PDF

Design of a Fuzzy Logic Controller Using an Adaptive Evolutionary Algorithm for DC Series Motors (적응진화 알고리즘을 사용한 DC 모터 퍼지 제어기 설계에 관한 연구)

  • Kim, Dong-Wan;Hwang, Gi-Hyun;Lee, Jae-H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1 no.5
    • /
    • pp.1019-1028
    • /
    • 2007
  • In this paper, adaptive evolutionary algorithm(AEA) is proposed, which uses both genetic algorithm(GA) with good global search capability and evolution strategy(ES) with good local search capability in an adaptive manner, when population evolves to the next generation. In the reproduction procedur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for GA and ES is adaptiv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ir fitness. The AEA is used to design membership functions and scaling factors of the fuzzy logic controller(FLC).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FLC design method, we make an experiment on the FLC for the speed control of an actual DC series motor system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controller has better performance than PD controller.

An Efficient Coevolutionary Algorithm based on Species Splitting and Merging (종족의 분할과 병합을 이용한 효율적 공진화 알고리즘)

  • Park, Seong-Jin;Kim, Myeong-Wo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8 no.2
    • /
    • pp.168-178
    • /
    • 2001
  • 진화 알고리즘은 자원 관리, 스케줄링, 패턴 인식 등의 다양한 문제들에 적용되는, 일반적이고 효율적인 최적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진화 알고리즘의 문제점은 탐색해야할 변수가 증가할수록 그에 따른 차원의 증가로 인하여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탐색공간에 약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Potter와 DeJong은 개개의 종족을 독립적으로 진화시킴으로써 탐색공간을 대폭 줄인, 협력 공진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것 또한 변수 의존성이 강한 문제들에 대해서는 비효율적인 탐색을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종족의 분할과 병합을 이용한 효율적인 공진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최적화하려는 변수들이 서로 의존성이 없는 경우에는 종족의 분할을 통하여 탐색공간의 축소의 잇점을 얻고, 최적화하려는 변수들이 서로 의존성이 있는 경우에는 종족의 병합을 통하여 전역탐색을 하도록 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몇 가지 벤치마크 함수 최적화 문제와, 상품 재고 제어문제로 실험하여 현존하는 어떤 공진화 알고리즘 보다도 효율적인 것을 보여준다.

  • PDF

SMGA : An Efficient Coevolutionary Algorithm based on Species Splitting and Merging (SMGA : 종족의 분할과 병합을 이용한 효율적인 공진화 알고리즘)

  • 도영아;박성진;김명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134-136
    • /
    • 2000
  • 진화 알고리즘은 자원 관리, 스케줄링, 퍼지 논리 재어기의 설계 등의 다양한 문제들에 적용되는, 일반적이고 효율적인 최적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진화 알고리즘의 문제점은 탐색해야할 변수의 증가에 따라 차원의 증가로 인하여 탐색공간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Potter와 Dejong은 개개의 종족을 독립적으로 진화시킴으로써 탐색공간을 대폭 줄인, 협력 공진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것 또한 변수 의존성이 강한 문제들에 대해서는 비효율적인 탐색을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종족의 분할과 병합을 이용한 효율적인 공진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최적화 하려는 변수들이 서로 의존성이 없는 경우에는 종족의 분할을 통하여 탐색공간의 축소의 이점을 얻고, 최적화 하려는 변수들이 서로 의존성이 있는 경우에는 종족의 병합을 통하여 전역탐색을 하도록 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상품재고 제어 문제(ICP)로 실험하여 현존하는 어떤 공진화 알고리즘보다도 효율적인 결과를 보여준다.

  • PDF

Development of Remote Surveillance System with Mobile Robot capable of Interactive Wireless Communication (대화식 무선통신 기능을 가진 이동로봇을 이용한 원격 탐색/감시 시스템의 개발)

  • 조성제;권용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227-229
    • /
    • 1999
  • 이동로봇에 통신 기술을 결합하여 응용하려는 시도는 Tele-Robotics라는 학문의 한 분야로 이미 국내외적으로 정착되고 있다. 초기에 Tele-Robotics.Tele-Operation 기술은 극한작업을 위해서만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일상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분야로 그 응용분야를 넓혀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화식 무선통신 기능을 가진 이동로봇을 제작하고 그와 통신할 수 있는 호스트 시스템을 구성하여 이동 로봇의 원격 제어, 원거리에서의 지형 탐색, 데이터 수집 기능 등을 구현함으로써 본격적인 원격 탐색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A Development of dynamic Multi-labelling Vine Algorithm for Urban ATIS Application (도시부 ATIS 적용을 위한 다중 표지 덩굴망 알고리즘의 개발)

  • 박상준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161-170
    • /
    • 1998
  • 기존에 건설된 교통시설의 운영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지능형 교통체계의 한 분야인 ATIS는 도로를 이용하는 통행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도로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정보체계이다. ATIS 체계하에서 통행자에게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교차로서의 회전에 의한 지체를 정확하게 반영함은 물론이고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교통상황을 반영할 수 있는 동적인 최단경로 탐색 알고리즘이 요구된다. 하지만 기존에 발표된 동적인 최단경로 탐색 알고리즘은 회전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지 못하며 정적인 최단경로 탐색 알고리즘은 회전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지 못하며 정적인 탐색알고리즘 조차 회전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유에서 알고리즘 내부에서 회전을 반영하기 위해 수정형 덩굴망 알고리즘의 표지기법을 이용하여 동적인 최단경로 탐색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동적 최단경로 탐색 알고리즘은 정적인 상태의 수정형 덩굴망 알고리즘에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교통상황을 반영하기 위해 시간에 대한 변수를 추가하였다. 이렇게 해서 알고리즘은 시간대별로 변화하는 통행시간을 고려하여 최단 경로를 탐색하게 되며 출발시점을 기준으로 표지를 설정하여 모든 앞선 시간에 대해 경로를 고려하도록 하였다. 매 단계에서 전 노드를 추적하여 회전에 관한 정보를 반영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최단경로 탐색 알고리즘은 교차로에서의 회전에 대한 정보와 통행금지 등을 정확히 반영하며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통행시간을 반영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노선 정보를 ATIS를 이용하는 통행자들에게 제공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기법이다.적으로 세부적 차종분류로 접근한다.의 영향들을 고려함으로써 가로망 설계 과정에서 가로망의 상반된 역할인 이동성과 접근성의 비교가 가능한 보다 현실적인 가로망 설계 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소개된 가로망 설계모형들은 용량변화에 대한 설계변수의 형태에 따라 이산적 가로망 설계 모형과 연속적 가로망 설계모형으로 나뉘어지게 된다. 본 논문의 경우, 계산속도의 향상 측면에서는 연속적 가로망 설계 모형을 도입할 수 있지만, 이때 요구되는 도로용량이 이산적인 변수(차선 수)로 결정되어야만 신호제어 변수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산적 가로망 설계 모형이 사용된다. 하지만, 이산적 설계모형의 경우 조합최적화 문제이므로 정확한 최적해를 구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국부 최적해에 빠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우선 이상적 모형의 근사화, 혹은 조합최적화문제를 위해 개발된 Simulated Annealing기법의 적용, 연속적 모형의 변수를 이산화하는 방법 등 다양한 모형들을 고려해 본 뒤, 적절한 모형을 적용할 것이다. 가로망 설계 모형에서 신호제어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가로망에 대한 통행 배정과정에서 고려되는 통행시간을 링크통행시간과 교차로 지체시간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교차로에서의 신호제어에 대응하는 통행배정 모형을 도입하여 고려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Global Solution Approach와 Iterative Approach를 비교, 검토한 뒤 모형에 보다 알맞은 방법을 선택한다. 차량의 교차로 통행을 고려하는 perf

  • PDF

Speed Control of Soccer Robot using messy Genetic Algorithm (mGA를 이용한 축구로봇의 속도 제어)

  • Kim, Jung-Chan;Joo, Young-Hoon;Park, Jin-Bea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d
    • /
    • pp.2233-2235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mGA를 이용해 축구로봇의 속도를 제어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축구 로봇의 목표를 최소 시간내에 도착하기 위해 속도제어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거리 오차와 각도 오차 등의 비율를 나타내는 각종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는 제어 함수를 제시하고, 이들 파라미터들을 mGA을 이용하여 최적의 값들을 탐색함으로써 변화되는 환경 속에서도 로봇의 목적지에 최소 시간내에 이동하도록 속도제어 전략을 제안한다.

  • PDF

Mobile Robot Control with Sensor Combination (센서 결합을 이용한 이동 로봇 제어)

  • Hong, Seon-Hac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TE
    • /
    • v.42 no.2
    • /
    • pp.15-22
    • /
    • 2005
  • This paper represents the sensor combination technique of mobile robot to reduce the ambiguity and uncertainty of environment that prevents the mobile robot from recognizing the path planning and navigation. The sensors such as optical encoder, ultra sonar sensor, and infra-red sensor gathered the dynamic information of mobile robot that are used to detect the obstacle. Therefore, the mobile robot controller with sensor combination is stably demonstrated by the experimental results.

Intelligent Control Based on Evolution Algorithms (진화 알고리즘을 기반으로한 지능 제어)

  • 이말례;김기태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1 no.2
    • /
    • pp.73-83
    • /
    • 199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generating method for the optimal rules of the fuzzy rule base using evolution algorithms. With the aid of evolution algorithms optimal rules of fuzzy logic system can be automatic designed without human expert's priori experience and knowledge. can be intelligent control. The a, pp.oach presented here generating rules by self-tuning the parameters of membership functions and searchs the optimal control rules based on a fitness value which is the defined performance criterion. Computer simulations demonstrates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thod in non-linear systems.

  • PDF

The Searching Maze Algorithm for Cooperative Behavior of Humanoid robots (인간형 로봇들의 협력 행동을 위한 미로 탐색 알고리즘)

  • Jun, Bo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05a
    • /
    • pp.871-872
    • /
    • 2014
  • In this paper, I propose the method of cooperative work of swarm robot for escaping maze. The robot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Zigbee, but the central control system send commands to robots because of low processing power of robots. Robots navigate the blinded maze and send information such as movement to the central control system for building map. The central control system analysis the received data and find path to escape from maz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