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탐구-중심 수업

Search Result 275, Processing Time 0.135 seconds

Enhancing Science Self-efficacy and Science Intrinsic Motivation through Simulated Teaching-learning for Pre-service Teachers (탐구 기반 모의 수업 실연이 예비 교사들의 과학적 자기 효능감, 과학 내재 동기에 미치는 영향)

  • Lee, Hyundong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2 no.4
    • /
    • pp.560-576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is to: (1) to derive an improvement factor for inquiry-based simulated teaching-learning in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pre-service teachers practice simulated teaching that reflect the improvement factor, (2)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science intrinsic motivation according to science self-efficacy and inquiry-based simulated teaching-learning experience. To achieve these goals, we recruited five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as experts to help us develop an improvement factor based on expert interviews. Subsequently, third-year pre-service teachers of a university of education participated in our analysis of differences in science intrinsic motivation, according to their level of science self-efficacy and experience with inquiry-based simulated teaching-learning. Our methodology involved apply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to expert interviews to derive improvement factor for inquiry-based simulated teaching-learning, followed by a two-way ANOVA to identif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ience intrinsic motivation between groups with varying levels of science self-efficacy. We also conducted post-analysis through MANOVA statements. The results of our study indicate that inquiry-based simulated teaching-learning can be improved through activities that foster digital literacy, ecological literacy, democratic citizenship, and scientific inquiry skills. Moreover, small group activities and student-centered teaching-learning approache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developing core competencies and promoting science achievements. Specifically, pre-service teachers prepared a teaching-learning course plan and inquiry-based simulated teaching-learning in seventh-grade in the Earth and Space subject area. Pre-service teachers' science intrinsic motivation analyz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levels of science self-efficacy before and after simulated teaching-learning an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simulated teaching-learning and scientific self-efficacy. Particularly, group with low scientific self-efficacy, the difference in science intrinsic motivation according to simulated teaching-learning was most significant. Teachers' scientific self-efficacy and intrinsic motivation are needed to improve science achievement and affective domains of students in class. Therefore, this study contributes to suggest inquiry-based simulated teaching-learning reflecting school practices from the pre-service teacher curriculum.

초임 중등 과학교사의 교수활동에서 나타나는 과학 내용에 대한 질적 연구

  • An, Yu-Min;Choe, Seung-Eon;Kim, Chan-Jong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269-275
    • /
    • 2005
  • 중등 교육의 질을 확보하기 위한 가장 핵심적인 변인은 교사이며 교사의 자질 향상과 전문성 개발은 교육에 있어 중요한 화두이다. 교사의 전문성은 무엇보다도 교사의 가르치는 능력에서 확보되어야 하며 교과 내용 지식의 확보가 이를 위한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과 심층면담에서 드러나는 초임 교사의 내용 지식(knowledge), 실천 행위(practice), 의미 이해 전략(sense-making strategy)을 분석하여 교사의 과학 내용에 대한 전문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도권의 중등학교에서 근무하는 여섯 명의 중등 초임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각각 두 차례의 수업 관찰과 구조화된 면담, 한 차례의 우선순위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미시건 주립대학의 Knowles팀에서 개발한 분석틀을 사용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 교사들은 그들이 지향하는 교사상에 따라 과학 교수 활동에 대해 다양한 의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비전공 교과의 과학 내용 지식에 대해서는 다소 어려움을 표현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대체로 교과서에 의존하여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과 교과서에 제시된 지도 방법에 크게 의존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으며 교과서 수준의 개념을 중심으로 나열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였다. 다만, 교사가 스스로 재구성한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내러티브로 이끌어가려는 시도가 드러나기도 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하여 중요한 과학적 개념을 강조하고 그러한 개념을 반복하는 전략을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일부 초임 교사의 사례에서는 적절한 비유와 예시를 도입하려는 시도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한편, 연구에 참여한 초임 교사들은 모두 전문성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교사 양성 과정에서 교직과 관련하여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 교육과정수업에서는 DC-DP DP-AD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나타났다. 정리활동에서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반성적 교육과정보다 자료 맥락의 영역개념을 더 자주 이용하고 다양한 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나오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학습지의 활동이나 문제는 학생들에게 익숙하고, 자료 패턴을 가지고 행동결정으로 연결짓는 활동이 명확히 제시되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두 그룹의 상호작용 특징에 따른 반성적 탐구의 성향의 차이는 도입단계에서 그룹의 특징과 상관없이 A-AD, AD-SR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나왔으며 전개와 정리단계에서는 N그룹에서는 DP와 관련된 의미 있는 반성적 탐구가 나오는 반면 M그룹에서는 이러한 맥락의 반성적 탐구는 아주 드물게 나타나며, GN과 관련된 행동결정이 자주 보이고 있었다. 정리활동시 주로 하는 기록 활동에서 N그룹에서는 다양한 맥락에서 반성적 탐구를 하고 있는 것에 비해 비교 그룹에서는 서로 견제하고 확인하는 상호작용의 특징에서 나타나는 AD-SR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자주 나타났다. 반성적 탐구 척도 두 그룹을 비교 했을 때 CON 상호작용의 특징이 낮게 나타나는 N그룹이 양적으로 그리고 내용적으로 더 의미 있는 반성적 탐구를 했다용을 지원하는 홈페이지를 만들어 자료 제공 사이트에 대한 메타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이 원하는 실시간 자료를 검색하여 찾을 수 있고 홈페이지를 방분했을 때 이해하기 어려운 그래프나 각 홈페이지가 제공하는 자료들에 대한 처리 방법을 도움말로 제공받을 수 있게 했다. 실시간 자료들을 이용한 학습은 학생들의 학습 의욕과 탐구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컴퓨터 활용 능력과 외국어 자료 활용 능력을 향상 시키는데도 도움을 주었다.지역산업 발전을 위한 기술역량이 강화될 것이다.정 ${\rightarrow}$ 분배 ${\rightarrow}$ 최대다수의 최

  • PDF

인터넷 실시간 자료를 이용한 고등학교 지구과학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홈페이지 구축

  • Gu, Ja-Ok;An, Hui-S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199-206
    • /
    • 2005
  • 지구과학은 실생활과 직접적으로 관련되거나 학생들이 친숙하게 생각하는 많은 개념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런 특성은 과학캠프나 자연탐사 활동에서 지구과학과 관련한 탐구주제가 학생들의 큰 호응을 얻는 사실을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정규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지구과학 실험 수업은 교과서에 제시된 자료해석 위주의 실험이 많아 학생들의 흥미를 반감시키는 경우가 많으며 자료 측정과정에서 과학자가 느낄 수 있는 중요하고 귀중한 경험을 놓칠수 있다. 그런데 인터넷에서는 해양과 대기, 천문, 지질 각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갱신되는 실시간 관측 자료를 제공해 주는 곳이 많으며 이 실시간 자료들을 고등학교의 지구과학 실험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면 기존의 자료해석 실험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학생들의 지구과학에 대한 호응도를 높일 수 있으며 보다 다양한 탐구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학습 프로그램의 특징은 탐구 중심 혹은 문제 해결 학습을 강조하는 현재의 교육 목표를 잘 반영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지구과학 관련 실시간 자료들을 활용할 수 있는 고등학교 지구과학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구축한 후 실제로 수업에 적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실시간 자료를 이용하는 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지구과학 학습 프로그램을 12개의 주제에 대해서 완성했다. 먼저 지구과학실험 시간에 적용할 수 있는 2차시 분량의 학습 프로그램 6주제를 개발했는데 개발 주제는 '지진이 일어나고 있는 곳은 어디인가?', '진앙으로 판의 경계를 결정하기', '진앙의 위치를 찾아라', '암영대를 찾아라', '태양의 자전 주기를 측정하기', '태양활동' 이다. 각 주제별로 수업소개, 학습목표, 과정, 학습자료(학생 활동지, 기타 자료, 수업 내용과 관련한 실시간 자료 제공 사이트 목록), 평가 자료를 만들었다. 학생들의 활동 내용은 <지진이 일어나고 있는 곳은 어디인가?>의 주제를 예로 들면 학생들이 실시간으로 전 세계의 지진활동을 모니터하는 사이트에 접속하여 최근에 지진이 어디에서 일어났는지 알아보고 지난 30일 동안에 일어났던 규모 4 이상의 지진 자료를 다운 받아 세계 지도에 점으로 표시한다. 이 때 학생들은 손으로 진앙의 위치를 지도에 그리는 대신 엑셀의 그래프 기능을 이용하여 지도에 진앙의 위치를 나타내게 한다. 또 개인 과제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학습 프로그램을 5가지 개발하여 학생들이 특정한 주제에 대하여 탐구 과제를 수행할 수 있게 했는데 개발된 주제는 '태양 활동으로 오로라 예측하기', '국제 우주 정거장을 찾아내자', '한반도 부근의 해양 기상과 해수의 물리적 상호 관계', '일기도 분석을 통한 태풍의 진로 예측', '우리 나라 조석 예측' 이다. 마지막으로 사이버 학습을 통해서 수업 시간의 제약 없이 과제 형태로 처치 가능한 학습 프로그램 개발 했는데 그 주제는 '태풍이 저위도에서 북상하는 이유?'이다. 개발된 프로그램 중 2차시 학습 프로그램은 과학고 중학생 영재반에게, 개인 탐구 과제는 과학고 1학년 학생들에게, 사이버 수업 형태는 과학고 2학년 학생에게 적용시켰다. 실시간 자료 활용을 지원하는 홈페이지를 만들어 자료 제공 사이트에 대한 메타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이 원하는 실시간 자료를 검색하여 찾을 수 있고 홈페이지를 방분했을 때 이해하기 어려운 그래프나 각 홈페이지가 제공하는 자료들에 대한 처리 방법을 도움말로 제공받을 수 있게 했다. 실시간 자료들을 이용한 학습은 학생들의 학습 의욕과 탐구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컴퓨터 활용 능력과 외국어 자료 활용 능력을 향상 시키는데도 도움을 주었다.

  • PDF

The Effects of Situation-Based Class using Digital-Storytell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tific Attitude (디지털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상황중심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학습 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Kim, Soon-sh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12 no.3
    • /
    • pp.174-183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ituation-based class using digital storytell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class motivation and scientific attitude for 50 fifth graders in B elementary school in P metropolitan city.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25 students in 5th grade were selected as research group and 25 students in another class as comparative group, and the research group conducted situation-based classes using 8-hour digital storytelling. The comparative group received 8 classes of general science classes by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ituation-based class using digital-storytelling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Second, situation-based class using digital-storytelling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thought that the situation-based class through digital-storytell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xploration of science principles through students' daily experiences.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Inquiry Learning (탐구 학습에 관한 중등 과학 교사들의 인식)

  • Park, Jeung-Hee;Park, Ye-Ri;Kim, Jeong-Yul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5 no.8
    • /
    • pp.731-738
    • /
    • 2004
  •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preception on inquiry learning was investigated by using questionnaires. According to these results, science teachers, who are participants of the current Korea National Science Curriculum, responded that raising the 'interest in science' was the most important objective of science education, and using practical scientific subject matters in class will do such. More than 72% of science teachers have used reconstructed materials. When reconstructed textbook contents were used, teachers through that the most important object is the 'acquirement of scientific knowledge'. Most science teachers perceived inquiry leaning as a student centered open investigation. Among factors that disturb inquiry leaning, critical ones were 'entrance examination', 'lake of teaching-leaning materials', 'little understanding of inquiry leaning', and 'lake of student's will to inquiry'.

The Effects of Chemistry Class Using Computer-Based Science Inquiry Program on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Science Core Compet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컴퓨터 기반 과학 탐구 프로그램을 활용한 화학 수업이 과학 긍정경험, 과학과 핵심역량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Kim, Sungki;Kim, Hyunjung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66 no.2
    • /
    • pp.107-123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arning using computer-based science inquiry program. To this end, the three lessons computer-based science inquiry were developed in domain of material's properties. The developed program was put into K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and the effects were verifi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three lessons computer-based science inquiry related to the separation of mixture were introduced, and for the comparison group, the contents presented in the textbook were introduced as a teacher-centered teaching metho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2-way ANCOVA was performed on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and science core competency, and 2-way ANOVA was performed on academic achieve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positive experiernces about science and scientific core competencies and academic achievement (p<.05), and group*gender interaction effect was only significant in academic achievement (p<.05).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uld see the possibility of using a computer-based science inquiry program as a chemistry teaching method that enables sustainable scientific inquiry.

The Implementation of Argumentation Using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in Middle School Science (논의를 강조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Science Writing Heuristic)의 중학교 과학 수업에의 적용)

  • Nam, Jeong-Hee;Kwak, Kyoung-Hwa;Jang, Kyung-Hwa;Hand, Bri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8 no.8
    • /
    • pp.922-93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teaching strategy on cognitive levels, science concept understanding, argumentation and writing skills. 131 students attending to co-ed middle school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nd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 The teaching strategy using SWH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traditional one led by teacher's lecturing was applied to the comparative group. The cognitive level test (SRT II) and baseline test were administered before the instruction period. The summary writing test and SRT II test were administered after instru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cognitive levels and science concept understanding, whole argumentation and writing skill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ome argumentation components, including warrant, backing, qualifier, rebuttal, metacongnitive ques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possibility of implementation of SWH in science classroom teaching.

A Study on the Model of Library Assited Instruction Based on Information Activities (정보활동 중심의 도서관활용수업 모형에 관한 연구)

  • Lee Byeong-Ki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7 no.2
    • /
    • pp.25-46
    • /
    • 2006
  • LAI(Library Assited Instruction) distinguished from classroom instruction viewpoint of use of school libraries's material and collaborative with teacher librarian. Thus LAI must be emphasized student's information activities and teacher librarian's support activities. This study is supposed to LAI model (information presentation-guide type, information search-organization type. information analysis Interpretation type, information synthesis-representation type, information query-projects type, information query-discussion type) based on student's information activities. The student's information activities were derived from the model of information use process. The Model of proposed LAI is constructed the role of classroom teacher, teacher librarian, student and the process of LAI process.

  • PDF

Fostering Algebraic Reason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ed on the Exploration of the Associative Law in Multiplication (초등학교에서의 대수적 추론 능력 신장 방안 탐색 - 곱셈의 결합법칙 탐구에 관한 수업 사례 연구 -)

  • Choi, Ji-Young;Pang, Jeong-Suk
    • School Mathematics
    • /
    • v.13 no.4
    • /
    • pp.581-598
    • /
    • 2011
  • Given the growing agreement that algebra should be taught in the early stage of the curriculum, considerabl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with regard to early algebra in the elementary school. However, there has been lack of research on how to organize mathematic lessons to develop of algebraic reasoning abilit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research attempted to gain specific and practical information on effective algebraic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elementary school. An exploratory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to the fourth graders. This paper focused on the associative law of the multiplication. This paper showed what kinds of activities a teacher may organize following three steps: (a) focus on the properties of numbers and operations in specific situations, (b) discovery of the properties of numbers and operations with many examples, and (c) generalization of the properties of numbers and operations in arbitrary situations. Given the steps, this paper included an analysis on how the students developed their algebraic reasoning.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on the important factors that lead to the development of algebraic reasoning ability for elementary stud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