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Inquiry Learning

탐구 학습에 관한 중등 과학 교사들의 인식

  • Park, Jeung-Hee (Department of Earth Science, Korea University of Education) ;
  • Park, Ye-Ri (Department of Earth Science, Korea University of Education) ;
  • Kim, Jeong-Yul (Department of Earth Science, Korea University of Education)
  • 박정희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박예리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김정률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4.12.31

Abstract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preception on inquiry learning was investigated by using questionnaires. According to these results, science teachers, who are participants of the current Korea National Science Curriculum, responded that raising the 'interest in science' was the most important objective of science education, and using practical scientific subject matters in class will do such. More than 72% of science teachers have used reconstructed materials. When reconstructed textbook contents were used, teachers through that the most important object is the 'acquirement of scientific knowledge'. Most science teachers perceived inquiry leaning as a student centered open investigation. Among factors that disturb inquiry leaning, critical ones were 'entrance examination', 'lake of teaching-leaning materials', 'little understanding of inquiry leaning', and 'lake of student's will to inquiry'.

본 연구는 중 ${\cdot}$고등학교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탐구 학습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고 교사 수준의 탐구 학습 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탐구 학습 인식에 관한 설문지를 개발하여 서울교육과학연구원의 실험 연수에 참여한 서울지역 중 ${\cdot}$ 고등학교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교사들은 과학 교육의 중요한 목표가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실생활과 관련된 소재를 수업에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교사가 탐구 학습을 학습자 중심의 열린 탐구 학습에 대한 인식하고 있었고, 대학 입시 제도, 탐구수업 보조 자료의 부족, 학생들의 의지 부족, 교사들의 탐구 학습에 대한 인식의 부족 등이 탐구 학습의 실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1999,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III): 수학, 과학, 기술, 가정. 103 p
  2. 교육부, 1997,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해설. 17 p
  3. 교육부, 2003, 간추린 교육 통계. 75 p
  4. 김찬종, 1993, 과학탐구 학습의 과제와 방향. 과학탐구 능력 신장 방안 모색을 위한 세미나 및 학술 발표회, 23-34
  5. 명전옥, 1994, 지구과학 교사들의 탐구 학습 지도에 대한 관심과 필요 사항: 대학수학능력시험제도 도입에 즈음하여. 한국지구과학회지, 15 (5), 331-340
  6. 배성열, 박윤배, 2000, 교사들이 인식하는 과학과 목표의 영역별 중요도와 장애요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 (4), 572-581
  7. 송진웅, 이경호, 곽성일, 강태욱, 이명숙, 2003, 중등 과학교육 교수학습 자료 활용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0 p
  8. 우종옥, 김범기, 허명, 김찬종, 양일호, 최관순, 김태선, 1999, 초 . 중 . 고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추이 분석을 위한 종단적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 (2), 173-184
  9. 이현욱, 심규철, 여성희, 장남기, 1998, 중 . 고등학교 과학교사의 탐구수업 환경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 (3), 443-450
  10. 전우수, 2004, 초등학교 과학실험실 현대와 모델 발표. 제 45차 한국과학교육학회 동계학술대회, 79-56
  11. 정건상, 허명, 1993, 고등학교 생물과 탐구 학습의 실태 조사와 문제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 (2), 146-151
  12. 정정의, 조정일, 유형빈, 1990a, 광주, 전남지역의 중학교 과학 교육 실태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18 (2), 55-72
  13. 정정의, 조정일, 유형빈, 1990b, 광주 전남지역의 고등학교 과학 교육 실태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18 (2), 73-86
  14. 조정일, 1990, 탐구로서의 과학학습의 본질과 탐구과학교육을 위한 제 조건들의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0 (1), 65-75
  15. 조희형, 1992, 과학적 탐구의 본질에 대한 분석 및 탐구력신장을 위한 학습 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 (1), 61-73
  16. Anderson, R.D., 2002, Reforming science teaching: What research says about inquiry.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3 (1), 1-12 https://doi.org/10.1023/A:1015171124982
  17. Keys, C.W. and Kennedy, V., 1999, Understanding inquiry science teaching in context: A case study of an elementary teacher.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0 (4), 315-333 https://doi.org/10.1023/A:1009406511999
  18. NRC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62 p
  19. NRC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410 p
  20. Welch, W.W., 1981, Inquiry in school science. In Harm, N. and Yager, R.(eds.), Project synthesis, What research says to the science teacher, Volume 3. Washington, DC, National Science Teacher Association, 129 p
  21. Welch, W.W., Klopfer, L.E., Aikenhead, G.S., and Robinson, J.T., 1981, The role of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Analysis and recommendations. Science Education, 65 (1), 33-50 https://doi.org/10.1002/sce.3730650106
  22. Windschitl, M., 2002, Inquiry projects in science teacher education: What can investigative experiences reveal about teacher thinking and eventual classroom pract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87 (1), 112-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