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탄화수소계 냉매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초

7.73 mm와 5.80 mm 수평관내 탄화수소 냉매의 응축 열전달 특성 (Condensati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Hydrocarbon Refrigerants in Horizontal Tubes of 7.73 mm and 5.80 mm)

  • 손창효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331-339
    • /
    • 2008
  • 본 논문은 내경 7.73 mm와 5.80mm의 수평관내 프레온계 냉매 R-22와 탄화수소계 냉매 R-290과 600a의 응축 열전달 계수의 실험적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장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구성된다. 응축 실험은 질량유속 $35.5{\sim}210.4\;kg/m^2s$이고, 응축온도 40$^{\circ}C$인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탄화수소계 냉매 R-290과 R-600a의 평균 열전달 계수는 프레온계 냉매 R-22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R-600a의 평균 열전달 계수가 모든 관경에 대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험결과와 종래의 상관식을 비교한 결과, 모든 관경과 냉매에 대해 Haraguchi 등의 상관식이 가장 좋은 일치를 보였다. 그 중에서 Cavallini-Zecchin의 상관식은 7.73 mm 관경의 실험데이터와, Dobson 등의 상관식은 내경 5.80 mm 관경의 데이터와 좋은 일치를 보였다.

흡입관 열교환기를 이용한 탄화수소계 냉매용 냉동사이클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Refrigeration Cycle of Hydrocarbon Refrigerant using Suction-Line Heat Exchanger)

  • 구학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195-2201
    • /
    • 2009
  • 본 논문은 R290, R600a, R1270과 같은 탄화수소계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사이클의 효율에 대한 흡입관 열교환기의 영향을 고려하였다. 이러한 흡입관 열교환기는 냉동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지만, 성능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흡입관 열교환기를 가진 냉동사이클의 성능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정상상태의 수학적 모델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탄화수소계 냉매유량, 흡입관 열교환기의 내관 직경, 길이, 유용도 등과 같은 운전조건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흡입관 열교환기의 내관 직경, 길이, 유용도, 탄화수소계 냉매의 질량유량은 냉동사이클의 상대냉동능력지수, 냉동능력, 압축일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영향을 상세히 파악하여, 흡입관 열교환기를 설치한 탄화수소계 냉매용 증기압축식 냉동사이클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고온용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에서 탄화수소계 혼합냉매 적용 (The application of hydrocarbon refrigerant mixtures in a hermetic reciprocating compressor for high back pressure conditions)

  • 김기문;박희용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262-269
    • /
    • 1999
  • The application of hydrocarbon refrigerant mixtures in a hermetic reciprocating compressor for dehumidifier is investigated. The selected refrigerants are R12, R134a, HC-Blend (R290/R600a), CX(R152a/R600a) and OS-l2a. Both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s have been performed for the selected refrigerants. The test results of hydrocarbon refrigerants have been compared to traditional refrigerant(R12) and R134a. The results show that hydrocarbon refrigerant mixtures(HC-Blend, CX and OS-l2a) are very good alternatives in the refrigeration system for R12 and R134a.

  • PDF

저온용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에서 탄화수소계 냉매 적용 (The application of hydrocarbon refrigerants in a hermetic reciprocating compressor for low back pressure conditions)

  • 김기문;박희용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683-694
    • /
    • 1998
  • The application of hydrocarbon refrigerants in a hermetic reciprocating compressor for refrigerator is investigated. The selected refrigerants are isobutane(R600a), propane(R290), R12, binary mixture of R600a/R290, and OS-21CII. Both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s have been performed for the selected refrigerants. The test results of hydrocarbon refrigerants have been compared to the traditional refrigerant(R12). The results show that hydrocarbon refrigerants(HC-Blend, OS-21C II) are very good alternatives in the refrigeration system for R12.

  • PDF

수평관내 R-290과 R-600a의 증발 열전달 특성 (Evaporation ken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R-290 and R-600a in the horizontal tubes)

  • 손창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64-269
    • /
    • 2008
  • 본 논문은 수평 이중관식 열교환기 내 프레온계 냉매의 대체냉매인 탄화수소계 냉매(R-290과 R-600a)의 증발 열전달 계수에 대한 실험적 결과를 나타내었다. 증발기의 내관 내경은 각각 10.07 mm와 6.54 mm의 2가지를 사용하였다. 증발실험은 질량유속 $35.5{\sim}210.4\;kg/m^2s$이고, 냉각용량 $0.95{\sim}10.1\;kW$인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탄화수소계 냉매 R-290과 R-600a의 증발 열전달 계수가 프레온계 냉매 R-22보다 높았다. 즉, R-22의 증발 열전달 계수에 비해, R-290와 R600a는 각각 $56.7{\sim}70.1%$$46.9{\sim}59.7%$ 정도 높았다. 실험데이터와 종래의 상관식을 비교한 결과, 모든 냉매와 관경에 대해서 Kandlikar상관식이 가장 좋은 일치를 보였다.

마이크로핀관에서 프로판과 이소부탄의 증발 열전달 특성에 관한 연구 (Evaporati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Propane and Iso-butane in Micro-fin Tubes)

  • 손창효;노건상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5-40
    • /
    • 2007
  • 본 연구는 마이크로핀관에서 이소부탄과 프로판의 증발 열전달 특성에 대해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시험부는 외경 12.70 mm이고, 높이가 0.25 mm인 75개 핀이 원주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다. 실험결과, 탄화수소계 냉매의 평균 열전달계수는 프레온계 냉매인 HCFC22보다 높을 것으로 나타났고, 높은 질랑유속에서는 이소부탄 > 프로판 순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핀관에서 증발 열전달 계수는 평활관에 비해 약 $80{\sim}100%$ 정도가 향상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로부터 탄화수소계 냉매를 냉동 공조 시스템의 냉매로 사용하여 열교환장치를 설계할 경우에는 유리하리라 생각된다.

  • PDF

열전달 촉진관에서 탄화수소계 냉매의 풀비등 열전달계수 (Pool Boiling Heat Transfer Coefficients of Hydrocarbon Refrigerants on Various Enhanced Tubes)

  • 박기정;정동수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8권12호
    • /
    • pp.1017-1024
    • /
    • 2006
  • In this work, pool boiling heat transfer coefficients (HTCs) of five hydrocarbon refrigerants of propylene, propane, isobutane, butane and dimethylether (DME) were measured at the liquid temperature of $7^{\circ}C$ on a 26 fpi low fin tube, Turbo-B, and Thermoexcel-E tubes. All data were taken from 80 to $10kW/m^2$ in the decreasing order of heat flux. The data of hydrocarbon refrigerants showed a typical trend that nucleate boiling HTCs obtained on enhanced tubes also increase with the vapor pressure. Fluids with lower reduced pressure such as DME, isobutane, and butane took more advantage of the heat transfer enhancement mechanism of enhanced tubes than those enhancement ratios of $2.3\sim9.4$ among the tubes tested due to its sub-channels and re-entrant cavities.

탄화수소계(R290/R600a) 혼합냉매를 적용한 왕복동형 압축기 성능 해석 (Performance analysis of the reciprocating compressor with hydrocarbon refrigerant mixtures, R290/R600a)

  • 김종헌;정연구;박경우;박희용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270-280
    • /
    • 1999
  • A performance analysis simulation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a hermetic reciprocating compressor with various refrigerants has been developed. For the numerical analysis, the passage of refrigerant in compressor is subdivided into control volumes. Instead of the ideal gas assumption, CSD equation of state is applied to calculate the thermodynamic properties of refrigerants. To verify the validity of developed program, the result has been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served by the compressor supplier. The performance of each refrigerant and the possibility of direct application are estimated by applying R12, 134a, R290, R600a and R290/R600a mixture to an existing compressor. Also, parametric study for various crank rotating speeds and the mole fractions of refrigerant has been perform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