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탄소전극조합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Performance of the Negative Carbon Electrode Prepared with Graphitic Carbon and Nongraphitic Carbon Material i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흑연계 및 비흑연계 탄소로 조합된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탄소부극 특성)

  • Kim, Hyun-Joong;Lee, Chul-Tae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9 no.7
    • /
    • pp.1065-1069
    • /
    • 1998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improve peformance of carbon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The carbon electrode was prepared by mixing with graphitic carbon material, natural graphite, and nongraphitic carbon material, petroleum cokes, which was heat-treated at $700^{\circ}C$ for l hour. Its electrochemical and charge-discharge characteristics were tested according to mixing ratio of different two types of carbon material. The carbon electrode prepared with various mixing ratio showed both charateristcs of two different types of carbon materials and the best characteristics as carbon electrode was demonstrated at mixing ratio of 1:1.

  • PDF

Electricity Generation and Microbial Community variation in Microbial Fuel Cell with various Electrode Combinations. (다양한 탄소전극조합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의 전기발생량 및 미생물 군집변화)

  • Kwon, Jae-Hyeong;Choi, Soo-Jung;Cha, Jae-Hwan;Kim, Hyo-Soo;Kim, Ye-Jin;Yu, Jae-Cheul;Kim, Chan-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2 no.1
    • /
    • pp.87-96
    • /
    • 2010
  • The electrode material is one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power production of microbial fuel cell. In this study, effects of carbon electrode material, thickness and configuration on the power density, biofilm formation and microbial community diversity of microbial fuel cell were investigated. To optimize the anode-cathode electrode assembly, seven lab-scale reactors which had various carbon electrode constructions were operated in continuous mode. Under the steady state condition, the electrode combination of graphite felt (6 mm) with hole showed the highest cell voltage of 238 mV and the coulombic efficiency of 37%. As a result of SEM analysis, the bacteria growing on surface of knitted type of carbon cloth and graphite felt electrode ncreased significantly. The change of dominant species between seeding sludge and biofilm on the surface of anode electrode, microbial analysis with PCR-DGGE showed that the dominant species of seeding sludge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biofilm on the surface of each anode electrode. Especially Geobacter sp., a well known electrochemical bacteria, was found as the dominant species of the electrode combination with graphite felt.

Reduction and decomposition of hazardous SOx by discharge plasma with TiO2 (이산화티탄 촉매를 이용한 플라즈마 반응에 의한 SOx의 분해)

  • Woo, In-Sung;Lee, Joong-Hee;Park, Seong-Kuk;Hwang, Myong-Hwan;Kim, Byong-Suk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 /
    • v.12 no.3
    • /
    • pp.135-14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대기오염물질인 유해 황산화물 가스를 이산화티탄 촉매 반응기와 연면 방전 반응기를 조합한 반응기에서 플라즈마 방전반응에 의하여 주파수 변화, 체류시간, 전극의 굵기, 첨가 모의가스 등의 공정 변수를 변화 시켜 분해제거 실험을 하였다. 실험 결과 황산화물의 분해제거 실험에서 주파수 10kHz에서 소비전력 19W에서 분해제거율은 99%이었으며 이산화티탄 촉매반응기를 부착한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5%이상 증가효과가 이었다. 첨가가스로 메탄을 첨가한 경우 분해제거율이 증가하였고, 산소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또한 이산화 탄소를 첨가한 경우 분해율은 감소하였다.

Effect of Graphite Electrode Geometry and Combination on Nanocarbon Synthesis using Underwater Discharge Plasma (수중 방전 플라즈마를 이용한 탄소나노소재 합성 시 흑연전극의 형상과 조합의 영향)

  • Jo, Sung-Il;Lee, Byeong-Joo;Jeong, Goo-Hw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 /
    • v.50 no.2
    • /
    • pp.108-113
    • /
    • 2017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graphite electrode geometry and combination on nanocarbon material synthesis using underwater discharge plasma(UDP). The UDP system consists of two graphite electrodes and beaker filled with de-ionized water. A high voltage of 15 kV with a frequency of 25 kHz is applied to produce UDP using an alternating-current power source. The UDP system with conical electrodes produced the largest amount of products due to the concentration of electrical fields between electrodes. In addition, hollow-shaped stationary electrode and conical-shaped moving electrode stores discharge-induced bubbles and maintains longer reaction time. We found from Raman spectroscopy and electron microscopy that high quality carbon nanomaterials including carbon nanotubes are synthesized by the UDP system.

자장 강화된 유도결합형 플라즈마를 이용한 TFT-LCD용 Al-Nd 박막의 식각 특성 개선에 관한 연구

  • 한혜리;이영준;오경희;홍문표;염근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00.02a
    • /
    • pp.195-195
    • /
    • 2000
  • TFT-LCD의 제조공정은 박막층의 식각 공정에 대해 기존의 습식 공정을 대치하는 건식식각이 선호되고 있다. 건식 식각 공정은 반도체 공저에 응용되면서 소자의 최소 선폰(CD)이 감소함에 따라 유도결합셩 프라즈마를 비롯한 고밀도 플라즈마 이용한 플라즈마 장비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여기에 평판디스플레이의 공정을 위해서는 대면적과 사각형 기판에 대한 균일도를 보장할 수 있는 고밀도의 균일한 플라즈마 유지가 중요하다. 본 실험에서는 자장강화된 유도결합형 플라즈마의 플라즈마 밀도 및 균일도를 살펴보고 TFT-LCD에 gate 전극으로 사용되는 Al-Nd 박막의 식각을 통하여 식각균일도와 식각속도 및 식각 선택도 등의 건식 식각 특성을 보고자 한다. 영구자석 및 전자석의 설치는 사각형의 유도결합형 플라즈마는 소형 영구자석을 배열하여 부착하였으며, 외부에는 chamber와 같이 사각형태의 전자석을 500mm$\times$500mm의 크기를 갖는 z축 방향의 Helmholtz형으로 제작하였다. 더. 영구자석 배열에 대해서는 자석간의 거리와 세기 변화를 조합하여 magnetic cusping의 변화를 주었으며 전자석의 세기는 전류값을 기준으로 변화시켜 보았다. 실험을 통하여 플라즈마 균일도를 5% 이하로 개선하고 이러한 균일도를 유지하며 플라즈마 밀도를 높일 수 있는 조건을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적합화된 조건에서 저장강화된 유도결합형 프라즈마를 Al-Nd 박막 식각에 응용한 결과, Al-Nd의 식각속도 및 식각 선택도는 유도결합형 프라즈마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으며, 식각균일도가 개선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electrostatic probe(Hiden, Analytical)를 이용하여 Al-Nd 식각에 사용된 반응성 식각가스에 대한 저장강화된 유도결합형 플라즈마의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c recoil detection, Rutherford backscattering spectroscopy, X-ray diffraction, secondary electron microscopy, atomic force microscoy, $\alpha$-step, Raman scattering spectroscopu,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및 micro hardness tester를 이용하여 기판 bias 전압이 DLC 박막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제작된 DLC 박막은 탄소와 수소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정질 상태임을 알 수 있었다. 기판 bias 전압의 증가에 따라 박막의 두께가 감소됨을 알 수 있었고, -150V에서는 박막이 거의 만들어지지 않았으며, -200V에서는 기판 표면이 식각되었다. 이것은 기판 bias 전압과 ECR 플라즈마에 의한 이온충돌 효과 때문으로 판단되며, 150V 이하에서는 증착되는 양보다 re-sputtering 되는 양이 더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기판 bias 전압을 증가시킬수록 플라즈마에 의한 이온충돌 현상이 두드러져 탄소와 결합하고 있던 수소원자들이 떨어져 나가는 탈수소화 (dehydrogenation)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것은 C-H 결합에너지가 C-C 결합이나 C=C 결합보다 약하여 수소 원자가 비교적 해리가 잘되므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난다고 판단된다. 결합이 끊어진 탄소 원자들은 다른 탄소원자들과 결합하여 3차원적 cross-link를 형성시켜 나가면서 내부 압축응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hardness 시험 결과로 이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표면거칠기는 기판 bias 전압을 증가시킬수록 더 smooth 해짐을 확인하였다.인하였다.을 알 수 있

  • PDF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u/Ce_xZr_{1-x}O_2$ Catalysts for Preferential Oxidation of Carbon Monoxide (일산화탄소의 선택적 산화반응을 위한 $Cu/Ce_xZr_{1-x}O_2$ 촉매의 합성과 특성분석)

  • Lee, So-Yeon;Lee, Suk-Hee;Cheon, Jae-Kee;Woo, Hee-Chul
    • Clean Technology
    • /
    • v.13 no.1 s.36
    • /
    • pp.54-63
    • /
    • 2007
  • Even traces of CO in the hydrogen-rich feed gas to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PEMFC) poison the platinum anode electrode and dramatically decrease the power output. In this work, a variety of catalytic materials consisting of $Cu/Ce_xZr_{1-x}O_2$, (x = 0.0-1.0) were synthesised, characterized and tested for CO oxidation and preferential oxidation of CO (PROX). These catalysts prepared by hydrothermal and deposition-precipitation methods. The catalysts were characterized by XRD, XRF, SEM, BET, $N_2O$ titration and oxygen storage capacity (OSC) measurement. The effects of composition of the support and degree of excess oxygen were investigated fur activity and $CO_2$ selectivity with different temperatures. The composition of the support markedly influenced the PROX activity. Among the various $Cu/Ce_xZr_{1-x}O_2$ catalyst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 $Cu/Ce_{0.9}Zr_{0.1}O_2$ and $Cu/Ce_{0.7}Zr_{0.3}O_2$ showed the highest activities (>99%) and selectivities (ca.50%) in the temperature range of $150{\sim}160^{\circ}C$. It was found that by using of $Ce_xZr_{1-x}O_2$ mixed oxide support which possesses a high oxygen storage capacity, oxidation-reduction activity of Cu-based catalyst was improved, which resulted in the increase of catalytic activity and selectivity of CO oxidation in excess $H_2$ environ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