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탄소발자국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Comparative Study on Carbon Footprint Calculation in Water Sector by Focusing on U.K. and U.S.A. (물관리 분야에서의 탄소발자국 산정 사례 비교분석 -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

  • Kim, Ju-Young;Park, Sung-J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57-57
    • /
    • 2011
  • 탄소발자국(carbon footprint)은 인간의 생산 및 소비활동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최근 기후변화 대응 전략의 일환으로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는 개념이다. 현재 영국, 일본, 스위스, 프랑스,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탄소발자국 산정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탄소발자국 개념을 물관리 분야로까지 확대 적용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과 미국의 서로 다른 형태의 물분야 탄소발자국 산정 방안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효율적인 기후변화 대응 물관리 계획에 적용하는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영국은 2008년 제정된 기후변화법에 따라 탄소 저감 목표를 수립하고 정부 차원에서 마련한 표준화된 탄소 산정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지역 물회사들로 하여금 탄소발자국 산정 및 온실가스 저감계획을 이행하도록 하고 있다. 반면 미국의 경우, 정부 차원에서 탄소라벨링 시스템이 제도화되어 있지는 않으나, 하천네트워크(River Network)와 같은 비영리 민간단체를 통해 물 분야의 탄소 저감 인벤토리가 구축되어 왔다. 현재 우리나라 수자원 분야에서 한국수자원공사가 일부 지역 정수장의 수돗물 및 병물의 생산 및 공급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정량화하고 있으나, 물관리 시스템 전반의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을 통한 표준화된 저감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영국과 미국에서 진행되어 온 물 분야 탄소발자국 논의의 배경과 동향 및 시행 체계를 살펴보고, 영국 정부 차원에서 제시한 물 분야 탄소 산정 가이드라인과 미국 민간부문에서 제시한 안을 각 항목별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두 나라가 비슷한 시기에 탄소발자국 논의를 시작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적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차이점과 특수성을 분석하였다. 탄소발자국 산정은 오늘날 수자원 분야의 기후변화 대응력을 강화하기 위한 대안으로 그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영국과 미국의 사례에서 살펴보았듯이 효율적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서는 총괄적인 온실가스 감축 인벤토리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물관리 분야에서 저감 잠재력이 큰 곳을 중심으로 한 온실가스 저감계획 및 방향 설정에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Calculation Methods of Carbon Footprint in Unit Range (단위 범위에서의 탄소발자국 계산 방법에 관한 연구)

  • Hwang, Young-Seob;Leem, Young-Mo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0.04a
    • /
    • pp.137-140
    • /
    • 2010
  • 국가 또는 단체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실현가능한 감축목표를 설정한 뒤, 각 세부 분야에서 효과적인 감축전략 및 계획을 세워야 한다. 탄소발자국은 인간의 활동이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탄소발자국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직접 영역과 간접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계산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단위 범위 차원의 탄소발자국 계산 방법을 연구하였다.

  • PDF

Trend and estimation of the ecological footprint from the consumption of bovine meat in Korea (우리나라 쇠고기 소비에 의한 생태발자국 추이와 예측)

  • Yeo, Min Ju;Kim, Yong Py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5 no.4
    • /
    • pp.280-295
    • /
    • 2016
  • Influences on the environment from the consumption of livestock have increased drastically during the last 50 years in Korea. Reduction of bovine meat consumption is one of the alternatives as sustainable food supply. The consumption of bovine meat and the ecological footprint (the sum of the cropland, grazing land, and carbon footprint) from the consumption of bovine meat have increased over 13 and 12 times over the last 50 years. Especially, the consumption of imported bovine meat and the ecological footprint from the consumption of imported bovine meat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about 346 and 369 times over the last 40 years. If the consumption of bovine meat decreased by half in Korea in 2023, the ecological footprint from the consumption of bovine meat would be reduced by 40~65% depending on the scenarios. The supportable population number for the consumptions of environmental resources (food (crops, livestock, and fish), energy, forest, and built-up land) and the crops were 0.57~1.56 million and 3.42~6.83 million,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scenarios and the nationality of the supported people.

남제주 사람 발자국 화석의 생성 연대

  • Kim, Gyeong-Su;Kim, Jeong-Ryul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154-157
    • /
    • 2005
  • 제주도 남제주군 사계리 해안에서 발견된 사람과 각종 동물 발자국 화석의 생성 연대를 규명하기 위하여 문화재청에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 연구 용역을 의뢰하여, 사람 발자국 화석이 산출되는 지층에서 유기물의 탄소동위원소 연대 측정과 광여기루미네선스(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OSL) 연대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Humin 유기물에 대한 탄소동위원소 측정값은 상부로부터 $10,901{\pm}60$년, $13,513{\pm}65$년 그리고 $15,161{\pm}70$년이고, Humic 유기물에 대한 탄소동위원소 측정값은 $9,289{\pm}90$년, $8,622{\pm}90$년 및 $8,098{\pm}50$년 이며, OSL 연대 측정 방법에 의하면 $6,800{\pm}300{\sim}7,600{\pm}500$년이다. 이 측정 자료에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탄소동위원소에 의한 측정값은 배제하고, OSL 연대 측정값인 $6,800{\pm}300{\sim}7,600{\pm}500$년을 사람 발자국 화석의 생성 연대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Humin 유기물에 의한 탄소동위원소 측정값을 배제한 가장 중요한 이유로 Humin 유기물이 산성 또는 알칼리에 잘 녹지 않기 때문에 재순환되어 발자국 화석이 생성될 당시 외부에서 유입되어 더 오래된 연대값을 나타낸다고 주장하였는데, 이러한 주장은 아무런 근거가 없다. 또한 송악산의 분출이 약 10,000년 이내에 분출하였다는 명확한 근거가 없으며, 석영을 이용한 OSL 연대 측정은 연대를 결정하기 위해 고려되는 여러 요소들에 수반되는 불확실한 요소(예를 들면, 수분 함량 문제 등)들로 인해 탄소동위원소 연대 측정에 비해 정밀도와 정확도가 낮으며, 특히 화산 기원 석영의 경우, 정확한 등가선량의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연대 측정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이 잘 알려져 있고, 주변의 화산 활동으로 인한 열수에 의해 OSL 신호가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의 연대 측정 결과만으로 사람 발자국 화석의 생성 연대를 결정하는 데 가장 신뢰성이 있는 자료는 Humin 유기물에 의한 탄소동위원소 연대 측정값이며, 이를 근거로 할 때, 사람 발자국 화석의 생성 연대는 $13,513{\pm}65{\sim}15,161{\pm}70$년 사이로 보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고 타당하다.

  • PDF

Carbon Literacy on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SDGs of the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SDGs 연계 교육에서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의 탄소 소양)

  • Kim, Yunj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14 no.3
    • /
    • pp.292-301
    • /
    • 2021
  •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to apply ESD linked to SDGs to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earth scienc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carbon literacy by analyzing the awareness, attitude and knowledge, subjective norms, and behavioral control of the carbon footprint internalized by pre-service teachers.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 the carbon footprint as their responsibility, but are not willing to pay the cost and accept inconveniences of the actions to reduce carbon footprint. They also support actions to reduce carbon footprint, but do not demand the actions from others. While they have sufficient knowledge about carbon mitigation actions, their conception of causes and effects of global warming is unstable. Pre-service teachers will go out to school sites and teach millions of students about global warming. It is essential to educate these teachers on the economic cost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reducing their carbon footprints. It is also important to find ways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ir thought and ac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carbon literacy will lead to realizing ESD.

Special Report - The Climatic Change Convention and Carbon Foot Print Lablel (특집 -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국내 탄소라벨링 동향과 기업 대응)

  • Kim, Ik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03
    • /
    • pp.65-75
    • /
    • 2010
  • 본 원고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핵심 정책대안 중의 하나인 탄소성적표지제도에 대한 그간의 운영실적을 소개하고 인증제품의 주를 이루는 포장용기를 활용한 비내구재 제품에 대한 탄소발자국에 대한 다양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포장용기가 제품에서 차지하는 탄소발자국의 기여도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자사 제품에 대한 탄소배출량을 계산하는데 필요한 탄소배출량 계산법을 탄소성적표지 인증기준을 중심으로 사례를 들어 쉽게 설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에코디자인을 적용한 저탄소제품 개발에 대한 우수사례를 소개함으로써 포장용기를 활용한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에게 기업의 저탄소경영을 위한 최소한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상에서 보았듯이 이젠 우리가 생산하는 제품에 대한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것은 선택이 아닌 살아남기 위한 필생의 전략이 되고 있다. 우리 기업만의 독자적인 저탄소경영 전략을 수립하고 탄소성적표지제도를 기업의 저탄소경영전략의 일환으로 삼아 소비자와 지속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해 나가는 것이 기업의 이미지제고와 경쟁력을 높이는데 초석이 될 거라는 것을 필자는 믿어 의심치 않는다.

  • PDF

Carbon Footprint Awareness on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SDGs of the Pre-service Teachers (SDGs 연계 교육에서 예비교사들의 탄소 발자국 인식)

  • Kim, Yunj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14 no.2
    • /
    • pp.146-158
    • /
    • 2021
  • We are to introduce an example of ESD in connection with SDGs through liberal arts courses opened at the College of Education. We analyzed the awareness of the carbon footprint expressed by 42 preservice teachers in a class designed in connection with SDGs 13 goal, 'climate action'. The pre-service teachers wrote a carbon diet diary, a checklist for the level of practice that emits carbon in daily life, and freely expressed the source and proportion of their carbon emissions through the carbon footprint drawing activity. In items of electricity use, public transportation use, and garbage disposal, the level of practice was positive, but water use was analyzed in a negative way. The pre-service teachers who expressed the carbon footprint in 2-3 items reached a majority, showing limitations in recognizing the carbon emission situation in their daily life. Pre-service teachers will be the main actors of education on the environmental issues of the earth at the school site, and the carbon literacy of pre-service teachers will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students. We hope that various ESD programs linked to the 17 SDGs will be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educational field to contribute to sustainable global environmental education.

Trends and Interpretation of Life Cycle Assessment (LCA) for Carbon Footprinting of Fruit Products: Focused on Kiwifruits in Gyeongnam Region (과수의 탄소발자국 표지를 위한 LCA 동향 및 해석: 경남지역 참다래를 중심으로)

  • Deurer, Markus;Clothier, Brent;Huh, Keun-Young;Jun, Gee-Ill;Kim, In-Hea;Kim, Dae-Il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29 no.5
    • /
    • pp.389-406
    • /
    • 2011
  • As part of a feasibility study for introducing carbon labeling of fruit products in Korea, we explore the use of carbon footprints for Korean kiwifruit from Gyeongnam region as a case study. In Korea, the Korean Environmental Industry and Technology Institute (KEITI) is responsible for the carbon footprint labeling certification, and has two types of certification programs: one program focuses on climate change response (carbon footprint labeling analysis) and the other on low-carbon products (reduction of carbon footprints analysis). Currently agricultural products have not yet been included in the program. Carbon labeling could soon be a prerequisite for the international trading of agricultural products. In general the carbon footprints of various agricultural products from New Zealand followed the methodology described in the ISO standards and conformed to the PAS 2050. The carbon footprint assessment focuses on a supply chain, and considers the foreground and the background systems. The basic scheme consists of four phases, which are the 'goal', 'scope', 'inventory analysis', and 'interpretation' phases. In the case of the carbon footprint of New Zealand kiwifruit the study tried to understand each phase's contribution to total GHG emis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shipping, orchard, and coolstore operation are the main life cycle stages that contribute to the carbon footprint of the kiwifruit supply chain stretching from the orchard in New Zealand to the consumer in the UK. The carbon emission of long-distance transportation such as shipping can be a hot-spot of GHG emissions, but can be balanced out by minimizing the carbon footprint of other life cycle phases. For this reason it is important that orchard and coolstore operations reduce the GHG-intensive inputs such as fuel or electricity to minimize GHG emissions and consequently facilitate the industry to compete in international markets. The carbon footprint labeling guided by international standards should be introduced for fruit products in Korea as soon as possible. The already established LCA methodology of NZ kiwifruit can be applied for fruit products as a cas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