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타원곡선 암호법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3초

타원곡선 암호법에 관한 연구 (On the Elliptic curve cryptosystem)

  • 임종인;서광석;박상준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1994년도 종합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157-165
    • /
    • 1994
  • 본 고는 최근 키 사이즈가 적으면서도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는 타원곡선 암호법에 대해서 고찰한 바, 특별히 수정된 다항식 기저를 이용하여 타원곡선의 연산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한편 랜덤한 타원곡선은 공개키 암호법에 사용하기 부적당하며, 따라서 타원곡선군의 위수를 구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School 알고리즘으로 구할 수 있으나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바 본 고에서는 Weil 정리를 사용하여 위수를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며, 컴퓨터 실험 결과를 소개한다.

  • PDF

Weil 정리를 이용한 효율적인 타원곡선의 위수 계산법의 구현 (Efficient Implementations of Index Calculation Methods of Elliptic Curves using Weil's Theorem)

  • 김용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693-700
    • /
    • 2016
  • 현재 사용되고 있는 유한체 GF(q)위의 non-supersingular 타원곡선 이산대수문제에 기반한 공개키 암호법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타원곡선의 위수의 크기와 소인수의 크기를 계산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타원곡선의 위수를 구하는 전통적인 방법인 Schoof 알고리즘은 매우 복잡하여 지금도 개선작업이 진행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복잡한 Schoof 알고리즘을 피하기 위하여, 표수가 2인 유한체의 합성체$GF(2^m)=GF(2^{rs})=GF((2^r)^s)$ 위에서 Weil 정리를 이용하여 타원곡선의 위수를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그에 따른 알고리즘과 그 알고리즘을 적용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타원곡선 암호법에 사용될 수 있는 효율적인 곡선으로 ${\sharp}E(GF(2^5))=36$일 때의 합성체 $GF(2^5)^{31})$ 위에서 위수에 $10^{40}$ 이상인 소인수를 포함하는 non-supersingular 타원곡선을 찾을 수 있었다.

유한체의 합성체위에서의 고속 연산기 (A Fast Multiplier of Composite fields over finite fields)

  • 김용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389-395
    • /
    • 2011
  • 타원곡선 암호법(ECC)은 RSA나 ElGamal 암호법에 비하여 1/6정도의 열쇠(key) 크기로 동일한 안전도를 보장하므로, 메모리 용량이나 프로세서의 파워가 제한된 휴대전화기(cellular phone), 스마트카드, HPC(small-size computers) 등에 더욱 효과적인 암호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타원곡선 암호법에 많이 사용되는 유한체위에서의 연산방법을 설명하고, Weil의 강하공격법(descent attack)에 안전하면서, 연산속도를 최대화하는 유한체의 합성체를 구축하여, 그 합성체위에서의 고속 연산기를 제안하려고 한다.

Pollard-$\rho$에 기반한 타원곡선 이산대수문제 공격법들의 분석 및 병렬화 구현 (Analysis and Parallelization of Pollard-$\rho$ based Attacks on ECDLP)

  • 서병국;이은정;이필중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1998년도 종합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455-468
    • /
    • 1998
  • 암호해독법은 암호시스템의 안전성을 논하는데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ECDLP 공격법인 Pollard-$\rho$와 그 변형들간의 성능을 유한체 GF(2$^{19}$ ) ~ GF(2$^{41}$ ) 상의 타원곡선에서 측정 비교하였다. 또한 이 공격법을 네트웍을 통해 10대의 컴퓨터로 병렬처리해 공격시간을 1/10로 단축시켰으며 실험 데이타를 토대로 GF(2$^{163}$ )상에서 공격시간 및 저장용량을 예측하였다.

  • PDF

타원곡선의 위수 계산 알고리듬의 구현 (An Implementation of Elliptic Curve Point Counting)

  • 김영제;유영보;이민섭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1년도 종합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8
    • /
    • 2001
  • 여러 가지 타원곡선을 이용한 암호 프로토콜을 위해서는 안전한 타원곡선의 선택이 필요하고 안전한 타원곡선의 조건은 그것의 크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타원곡선의 위수를 계산하는 알고리듬으로는 Schoof의 계산법, 이를 개선한 Schoof- Elkies-Atkin(SEA)방법, 그리고 Satoh-Fouquet-Gaudry-Harley(Satoh-FGH)방법 등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표수(characteristic) 2인 유한체 위의 타원곡선에 대한 SEA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 구현의 예를 보인다.

  • PDF

GF($p^m$)상에서 정의되는 타원곡선을 위한 복합 좌표계 응용 (Application of Mixed Coordinate Technique for Elliptic Curves Defined over GF($p^m$))

  • 정재욱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77-87
    • /
    • 2000
  • 타원곡선 이산대수 문제에 기초한 공개키 암호시스템에서 타원곡선 멱승은 반드시 필요한 연산이며 연산들 중에서 가장 복잡도가 크다. 따라서 효율적인 암호시스템 구현을 위해서는 타원곡선 멱승연산을 효율적으로 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복합 좌표계(mixed coordinate system)를 이용한 멱승 방법을 GF(pm)상에서 정의되는 타원 곡선을 적용하여 최적의 효율성을 갖는 타원곡선 멱승 구현법을 제안한다. 또한 ‘곱셈을 이용한 역원 연산 알고리즘(IM; Inversion with Multiplication)’을 이용하여 더욱 효율적인 구현이 가능함을 보인다.

유한체위에서의 타원곡선을 이용한 고속 소인수분해법에 관한 연구 (Fast Factorization Methods based on Elliptic Curves over Finite Fields)

  • 김용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093-1100
    • /
    • 2015
  • RSA 암호법의 안전성은, 덫 문으로 사용되는 큰 정수 N을 소인수분해하는 일이 매우 어렵다는 사실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RSA 암호법을 이용하여 암호문을 전달할 때와 그 암호문을 공격할 때에는 합성수를 소인수분해하는 방법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100자리 이상의 큰 정수 N을 소인수분해하는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빠른 알고리즘은 일반 수체 체(General Number Field Sieve, GNFS) 알고리즘이지만, 현대의 공개키 암호법에서 자주 사용되는 20~25 자리의 수(64.~83 비트)정도의 소인수를 찾아내는 가장 빠른 알고리즘은 Lenstra의 타원곡선법이다. 그러나 Lenstra의 방법은 실행시간의 대부분을 $M{\cdot}P$ mod N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소비하게 되었기 때문에, Montgomery와 Koyama는 $M{\cdot}P$ mod N을 고속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Montgomery와 Koyama의 방법을 분하여, 최적의 매개변수를 선택하고 곱셈횟수를 줄여서 구축한 효율적인 $M{\cdot}P$ mod N 계산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분석결과, Montgomery와 Koyama의 알고리즘보다 제안한 알고리즘이 H/W에서의 구현시간을 약 20% 단축하였다.

전력분석 공격에 대응하는 타원곡선 상의 결합 난수 스칼라 곱셈 알고리즘 (A Combined Random Scalar Multiplication Algorithm Resistant to Power Analysis on Elliptic Curves)

  • 정석원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25-29
    • /
    • 2020
  • 타원곡선 암호 알고리즘은 RSA 공개키 알고리즘에 비해 짧은 키의 길이와 적은 통신 부하 때문에 IoT 환경에서 인증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타원곡선 암호 알고리즘의 핵심연산인 스칼라 곱셈이 안전하게 구현되지 않으면, 공격자가 단순 전력분석이나 차분 전력분석을 사용하여 비밀 키를 찾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칼라 난수화와 타원곡선점 가리기를 함께 적용하고, 연산의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지 않으며 전력분석 공격법에 대응하는 결합 난수 타원곡선 스칼라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난수 r과 랜덤 타원곡선 점 R에 대해 변형된 Shamir의 두 배 사다리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타원곡선 스칼라 곱셈 kP = u(P+R)-vR을 계산한다. 여기에서 위수 n=2l±c일 때, 2lP=∓cP를 이용하여 l+20 비트 정도의 u≡rn+k(modn)과 ν≡rn-k(modn)를 구한다.

Modified 방법을 이용한 유한체의 연산 (Operations in finite fields using Modified method)

  • 김창한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7-36
    • /
    • 1998
  • 최근들어 타원곡선 암호법(ECC)이 RSA암호법을 대체할 것으로 기대되면서ECC의 연산속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인 유한체의 연산 속도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odified 최적 정규 기저의 성질 규명과 GF(q)(q=2$^{k}$ , k=8또는 16)위에서 GF(q$^{m}$ )(m: 홀수)의 Mofdified trinomial 기가 존재하는 m들을 제시하고, GF(r$^{n}$ )위에서 GF(r$^{nm}$ )dml Modified 최적 정규기저와 Modified trinomial 기저를 이용한 연산의 회수와 각 기저를 이용한 연산의 회수와 각 기저를 이용한 유한체 GF(q$^{m}$ )의 연산을 S/W화한 결과를 비교 하였다.

유한체위에서의 근점기저를 이용한 고속 타원곡선 암호법 (Fast Elliptic Curve Cryptosystems using Anomalous Bases over Finite Fields)

  • 김용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387-393
    • /
    • 2015
  • 유한체위에서 ECC를 기반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또는 비밀통신에서 송수신자가 서로 다른 기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저변환으로 인한 통신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기저를 사용하는 H/W와 S/W 구현 시스템 사이의 비밀통신 또는 전자서명에 소요되는 기저변환의 횟수를 분석하여, 그로 인한 통신지연을 제거하기 위해서, All One Polynomial(AOP)을 사용하는 유한체위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현 모두에 효과적이면서, 기저변환이 필요 없는 근점 기저를 소개하였다. 제안하는 근점기저를 사용한 곱셈기의 H/W 구현 결과, 삼항식과 다항식기저를 사용하는 곱셈기보다 연산 시간이 약 25%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