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타르

Search Result 1,413, Processing Time 0.069 seconds

A Study on reforming product characteristics by gas phase secondary pyrolysis (기상2차 열분해에 의한 개질 생성물 특성에 관한 연구)

  • Son, Young-Il;Yoon, Sang-Jun;Choi, Young-Chan;Ra, Ho-Won;Lee, Jae-Go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243-246
    • /
    • 2008
  • 목질계 바이오매스 가스화 발전에 있어서는 가스화 가스중에 함유되어있는 타르를 가능한 한 가연성 가스로 전환하여 냉가스효율을 향상시키는 것 및 잔유하는 타르는 후단기기에 악영향을 초래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타르를 저감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기 수증기를 사용하여 타르개질 프로세스의 개선을 위해서 타르에서 가스성분으로의 전환에 관한 개질 실험을 실시하여 Wood chip 타르의 열분해 개질 생성물 거동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Wood chip 열분해로 생성된 타르의 원소분석 및 $^1H$ NMR분석의 결과로 타르를 치환기를 가지지 않는 방향족, alkyl-기를 가지는 방향족, 산소 함유 방향족, 지방족의 4개로 분류하였다. 개질제에 의해 경질 타르, 중질 타르 모두 감소하였다. 개질 공기는 타르를 연소시키지만 그 속도는 가연성 가스와 경합하고 $900^{\circ}C$에서는 타르의 연소는 나타나지 않았다. alkyl-기를 가지는 방향족은 메탄과 치환기를 가지지 않는 방향족으로 전환되고, 치환기를 가지지 않는 방향족은 수소와 soot로 전환되고, 산소 함유 방향족은 일산화탄소와 치환기를 가지지 않는 방향족으로 전환되는 것을 알았다. 또한, 개질제에 의해alkyl-기를 가지는 방향족, 치환기를 가지지 않는 방향족, 산소 함유방향족 모두가 일산화탄소,이산화탄소로 전환되는 것을 알았다.

  • PDF

Physical Properies of Polymer Cement Mortar Using Ground FRP Wastes (분쇄된 FRP 폐기물을 사용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물성)

  • 이병기;이범재;황의환;노재성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0 no.5
    • /
    • pp.217-225
    • /
    • 1998
  • 분쇄한 FRP(Fiver-Reinforced Plastics) 폐기물을 사용한 폴리머 모르타르의 물성에 고나하여 조사하였다. 분쇄한 FRP 폐기물을 시멘트 모르타르의 세골재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세골재에 대하여 0~50wt% 치환.사용하였고, FRP 폐기물의 사용으로 나타나는 강도 저하현상을 보완하기 위하여 3종류 폴리머 혼화제의 첨가량을 변화시켜 각종 공시체를 제작하였다. 폴리머 혼화제로서는 styrene-bytadiene rubber(SBR) 라텍스, polyacrylic ester(PAE) 에멀젼 및 ethylene-vinyl acetate(EVA)에멀젼을 사용하였다. 분쇄한 FRP 폐기물을 사용한 시멘트 모르타르에 폴리머 혼화제를 첨가하여 만든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는 폴리머 혼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모르타르보다 압축 및 휨강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폴리머 시멘트비 10wt%에서 세골재 대용으로 분쇄한 FRP 폐기물의 적정 치환량은 20wt%로 나타났다. 8$0^{\circ}C$에서 가열양생하여 제조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는 폴리머 시멘트비 10wt%이하에서 표준양생한 모르타르보다 강도가 저하되었다. 폴리머 시멘트 포르타르의 흡수율은 폴리머 시멘트비가 증가함에 따라 크게 감소하였다.

Hight Efficiency Gasification of Biomass and Tar Reduction by Waste Metal (폐금속을 이용한 바이오매스의 고효율 가스화 및 타르 발생량 저감)

  • Sung, Hojin;Horio, Masayuki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179.2-179.2
    • /
    • 2011
  • 바이오매스 가스화 프로세스 개발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해결과제는 고발열량의 합성가스 제조, 냉가스 효율의 향상, 타르 발생량 저감 및 제거이다. 가스화 효율 향상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 적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타르 발생량 저감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있지 않다. 타르는 분자량이 큰 방향적 탄화수소로 응축되면 점성이 높아 배관폐쇄, 정제설비의 압력손실 증가로 인해 운전정지 및 가스화율 저하의 원인이 된다. 가스화로에서 타르 발생량을 저감시키는 방법 중에는 Ni계 촉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카본 누적에 의한 활성저하, 알칼리금속에 의한 응집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철산화물은 합성가스 중의 C2-C3계의 타르를 분해하는데 효과가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적벽돌, 염색슬러지 회재 등에는 철산화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에 착안하여 폐기물중의 폐금속을 이용한 바이오매스 가스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점토광물계 폐기물인 적벽돌 파쇄물($SiO_2$ 67.2%, $Al_2O_3$ 19.7%, $Fe_2O_3$ 8.7%, $K_2O$ 2.0%, $TiO_2$ 1.2%, MgO 0.7%)을 전처리 한 후 유동매체로하여 우드펠렛을 가스화한 결과, 가스 생성량이 증가하고, 타르 및 탄화수소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타르는 후단의 타르 트랩에서 타르가 거의 검출이 되지 않았다. 전처리를 하지 않은 적벽돌 파쇄물은 반응시간이 경과한 후에 가스화율이 증가함에 따라 철화합이 가스화로내에서 환원되어 타르를 분해하는데에는 어느 정도의 반응시간이 필요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Hydrogen Production from Biomass Tar by Catalytic Steam Reforming (바이오매스 타르로부터 수소생산을 위한 촉매 개질 특성 연구)

  • Yoon, Sang-Jun;Choi, Young-Chan;Kim, Yong-Gu;Lee, Jae-Go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598-601
    • /
    • 2007
  •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으로 구성된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가스화의 경우 30%의 리그닌 성분이 열에 안정한 상태인 타르로 형성되면서 가스화 후단공정에서의 정제, 발전 등에 직접 사용하기 어려우며, 가스화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의 문제 해결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촉매를 이용한 수증기 개질 반응을 통하여 타르를 합성가스로 개질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다양한 온도, 촉매, 스팀 주입량 및 촉매크기에 따른 전환율, 생성가스 특성을 알아보았다. 타르 대상 물질로는 타르 내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톨루엔을 이용하였다. 일반적으로 반응온도, 스팀 주입량이 증가할수록 수소 생성량이 증가하였으며, 지르코니아로 증진된 니켈 촉매의 경우 600$^{\cdot}C$ 에서도 100%의 높은 전환율을 보였다. 일반적인 가스화기에서 배출되는 타르의 농도보다 10배 높은 조건에서도 100%의 높은 전환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하여 실제 공정으로의 적용시에도 후단 공정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개질기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PDF

A Study on Tar Removal in Syngas Produced from Woodchip Gasification Using Oxidation Catalyst and Utilization of Syngas by Co-combustion (산화촉매를 이용한 우드칩 가스화 합성가스 내 타르 제거 및 합성가스 혼합연소 이용기술 연구)

  • Yoon, SangJun;Kim, YongKu;Lee, JaeGo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175.1-175.1
    • /
    • 2011
  • 우드칩을 포함하는 화석연료대비 발열량이 낮은 바이오매스를 가스화를 통하여 활용하는 경우 타르 및 수트를 포함하는 저열량의 합성가스가 생성된다. 이러한 합성가스를 엔진을 통한 발전, 스팀, 수소 및 화학제품 생산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고효율의 타르 정제 및 제거가 필수적이다. 특히 착화가 어렵고 연소온도 및 연소율이 낮으며, 화염구간이 좁은 저열량의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스팀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많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향류식 가스화기를 이용하여 우드칩을 연료로 합성가스를 제조하였으며, 합성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타르 및 수트와 같은 미반응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집진, 세정장치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특히 고효율 타르의 제거를 위하여 두 종류의 산화촉매를 이용한 합성가스 내 타르의 제거 연구를 수행하였다. Ru 촉매를 이용하는 경우 합성가스 내 타르의 농도를 100ppb 정도까지 저감이 가능하였다. 정제된 합성가스는 유류 혼소 버너를 통하여 보일러 연소실에서 혼합연소되어 30만kcal/h의 열을 공급함으로써 스팀을 생산 하였으며, 생성된 스팀은 블록 건조 시설에서 이용하였다.

  • PDF

One mg Tar Cigarettes-From the components point of view (초저타르 담배의 설계-요소별 분석)

  • Baskevitch, Nicolas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obacco Science Conference
    • /
    • 1997.10a
    • /
    • pp.91-113
    • /
    • 1997
  • One mg tar cigarettes represent a growing segment of the market, in various parts of the world but specially in the Far East. Cigarette design of ultra low tar cigarettes is not easy to manage: a simple extension of the techniques used in the design of the low tar segment will usually lead to tasteless cigarettes. A detailed analysis of the design of commercial ultra low tar cigarettes in different countries shows that no 《dominant design》 has yet been adopted. Blend composition, blend density, filter design, degree of filter ventilation all vary in a large range from cigarette brand to cigarette brand, and will influence the puff number, the tar concentration in each puff and ultimately the taste. We will report and comment on the detailed analysis of 17 commercial brands of ultra low tar cigarettes. We will then review the specific influence of tobacco chemical composition, introduction of reconstituted tobacco, influence of cigarette paper characteristics, selection of filter ventilation components on the burn characteristics and tar delivery; to conclude that the commercial success of an ultra low tar cigarette is linked to a very delicate balance between this techniques and... good marking of course!

  • PDF

Evaluation on the Performance of Mortars Made with Calcium Aluminate Cement (칼슘알루미네이트 시멘트 모르타르의 성능 평가)

  • Lee, Seung-Ta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9 no.6
    • /
    • pp.80-87
    • /
    • 2015
  • In this study, several properties of mortars made with calcium aluminate cement (CAC) such as hydrated products, strength characteristics, absorption, surface electric resistivity and chloride ions penetration resistance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properties of CAC mortars were compared to those of ordinary portland cement (OPC) mortars. From the test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main hydrated products for CAC mortars were of $C_2AH_8$ and $CAH_{10}$, while CH, ettringite and calcite for OPC mortars. The surface electric resistivity and chloride ions penetration resistance of CAC mortars were significantly beneficial compared to those of OPC mortar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sorption properties of CAC mortars were negatively examined. Thus, it needs to have more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surface absorption of CAC matrices. In addition, the combined mixture of CAC and OPC were ineffective to improve some performances of mortars.

A Study on the Deicing Performance of Cement Mortar through the Addition of Water-repellent (발수제 혼입에 따른 시멘트 모르타르의 표면 얼음 제거성능에 관한 연구)

  • Kang, Suk-Pyo;Hong, Seong-Uk;In, Byung-Eun;Kim, Sang-Ji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2 no.6
    • /
    • pp.597-606
    • /
    • 2022
  • This paper examined the effect of water repellent type and addition among various factors on the deicing performance of cement mortar surface according to incorporation. As a resul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water repellentcement mortar compared to the cement mortar,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oligomer-based water repellent morta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onomer-based water repellent. The contact angle of the water-repellent mortar was increased compared to the additive mortar, and the oligomer water-repellent agent compared to the monomer-based water-repellent.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ice formation time of cement mortar due to the mixing of the water repellent, the ice formation was delayed until 25 minutes for mortar to which the water repellent was added. the measurement of the ice attachment load mortar without water repellent with water repellentwhen the water repellent was added to mortar, deicing performance was increased.

타르스키의 논리상항의 정의에 대한 연구

  • Choi, Byeong-Il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3
    • /
    • pp.95-113
    • /
    • 2000
  • 타르스키는 최근 발표된 그의 유고에서 흥미 있는 논리상항의 정의를 제공하였다. 그의 정의는 그가 1927년이래 린덴바움과 함께 연구하였고, 1935년에 강연으로 발표하였던 메타 논리적 탐구의 결과들에 근거하는 것으로서, 1966년과 1973년의 강연들에서 제공하였던 '논리적 개념들'(logical notions)의 정의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타르스키의 논리상항의 정의는 역사적으로는 클라인의 에어랑겐 프로그램(Erlangen Programme)의 논리학에 대한 적용이라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마우트너의 유사한 시도와 함께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또한 그의 정의는 논리상항을 논리적 형식의 개념에 의존하지 않고, 보다 중립적인 '모든 변환에 있어 불변적임'(invariance under all transformations)이라는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흥미있는 시도로서 여겨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타르스키의 논리상항의 정의와 그 확장에 대하여 논의한 뒤, 몇 가지 비판적인 논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타르스키의 정의가 과연 중립적이고 순환적이지 않은가 하는 문제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논리상항의 정의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확보하고자 한다.

  • PDF

Tensile Strength of Cement Mortar using Pitch-based Carbon Fiber Derived from Oil Residues (석유피치 재활용 탄소섬유를 혼입한 모르타르의 인장 특성)

  • Rhee, Inkyu;Lee, Jun Seok;Kim, Jin Hee;Kim, Yoong Ahm;Kim, Woo
    • Resources Recycling
    • /
    • v.26 no.6
    • /
    • pp.20-28
    • /
    • 2017
  • The direct tensile strength of the mortar specimen containing pitch-based carbon fiber was ranged between 1/27~1/22 as compared to the average 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 It was found that the direct tensile strength of the mortar containing the same amount of PAN-based carbon fiber was around 1/15. While the case of the control specimen without the carbon fiber was around 1/29. One the other hands, the flexural tensile strength of the mortar containing pitch-based carbon fibers was about 1/12 as compared to the average compressive strength. In case of the mortar specimen with PAN-based carbon fiber and control mortar were 1/10 and 1/13.5, respectively. The tensile performance of the mortar with pitch-based carbon fiber was found to be intermediate between control mortar and the reinforced mortar incorporated with the PAN-based carbon fi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