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타당화연구

검색결과 547건 처리시간 0.027초

초등학생용 공간 시각화 검사지 개발 및 표준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patial Visualization Test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 박성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7권2호
    • /
    • pp.159-171
    • /
    • 2014
  • 본 연구는 초등학생용 공간시각화 검사지를 개발하고 표준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총 24문항으로 구성된 초등학생용 공간시각화 검사지를 개발하였으며, 초등학생 1482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용 공간시각화 검사지의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는 Cronbach's ${\alpha}$=.794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검사지의 24문항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 검사지의 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검사지 24문항에 대한 문항난이도는 .200에서부터 .886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문항난이도는 .544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생용 공간시각화 검사지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것으로 보이므로, 초등학생들의 공간시각화 능력을 측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판 무조건적 긍정적 자기존중 척도의 타당화 연구 (Validation of the Korean Unconditional Positive Self-Regard Scale)

  • 윤효정;주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577-588
    • /
    • 2020
  • 본 연구는 로저스의 인간중심상담 이론을 바탕으로 Patterson과 Joseph이 개발한 '무조건적 긍정적 자기존중(Unconditional Positive Self-Regard; UPSR) 척도'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타당화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원척도 번안 및 수정의 과정을 거쳤으며 신뢰도 및 타당도와 요인구조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예비검사는 번안한 12개 문항의 척도를 남·녀 대학생 및 대학원생 13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신뢰도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3개의 항목을 삭제하였다. 남은 9개의 문항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 2개의 하위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최종 선정된 2요인 9개 문항의 내적 합치도는 .89로 나타났다. 본 검사에서는 성인 남·녀 419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인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수렴 및 변별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른 5개의 척도들과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체로 선행 연구와 일치하였다.

주관적 에이징웰 척도의 타당화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ubjective Agingwell Scale)

  • 홍지웅;주해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415-424
    • /
    • 2021
  • 본 연구는 노년의 행복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주관적 에이징웰 척도(Subjective Agingwell Scale: SAS)를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주관적 에이징웰, 주관적 안녕감, 낙관주의, 지각된 통제력, 건강준수 행동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최종 342명의 응답결과가 사용되었다.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신뢰도 분석결과, 11문항의 SAS의 전체 및 하위 척도 신뢰도는 수용할만한 수준이었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 및 상관분석 결과, SAS는 구성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요인(인지, 정서, 영) 구조의 적합도는 양호한 편이었고, 주관적 에이징웰과 주관적 안녕감, 낙관성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회귀분석 결과, 주관적 에이징웰은 건강행동 준수를 예측하였고 준거타당도가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주관적 관점의 에이징웰 측정도구를 국내 노인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타당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한국판 물질주의척도의 타당화 연구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Material Values Scale)

  • 유지혜;설경옥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4권3호
    • /
    • pp.385-410
    • /
    • 2018
  • 물질주의 가치 추구는 한국인의 정신건강 및 심리적 안녕감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변인일 수 있다. 이 연구는 물질주의 연구를 활성화하고 신뢰로운 측정을 하고자 물질주의 가치 척도로 가장 자주 사용되는 Richins와 Dawson(1992)의 물질주의 가치 척도(Material Values Scale)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타당화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 1은 번안한 한국판 물질주의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417명(표본 1)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원척도의 요인과 동일한 3요인을 확인하였다. 원척도가 제시한 하위요인을 한국어로 번역하여 성공판단, 소유중심, 행복추구라 명명하였다. 이 과정에서 요인부하량이 낮은 3개의 문항은 물질주의 가치 척도의 다른 언어로의 타당화 연구를 참조하여 삭제하였고, 총 15문항으로 한국판 물질주의척도를 구성하였다. 연구 2에서는 표본 1과 유사한 성격을 지닌 대학생 650명(표본 2)을 대상으로 한국판 물질주의척도를 검증한 결과 수렴 및 변별타당도, 동시타당도, 예측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경제활동을 하는 직장인 392명(표본 3)과 대학생(표본 2)을 대상으로 다집단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판 물질주의척도를 대학생과 직장인에게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표본 3)을 대상으로 검증한 결과 예측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대학생 408명(표본 4)을 대상으로 6개월 간격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검사-재검사 신뢰도 또한 양호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판 물질주의척도가 성인을 대상으로 한 개인의 물질주의 가치 수준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평가하는 도구임을 의미한다.

중·고등학생용 또래관계 검사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ventory of Peer Rel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김성근;함경애;최희숙;천성문
    • 직업교육연구
    • /
    • 제30권4호
    • /
    • pp.143-15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중 고등학생들의 또래관계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측면들을 평가할 수 있는 청소년용 또래관계검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예비문항 내용의 적절성 및 타당성을 검토하고 최종검사를 개발하기 위하여 부산시 소재 3개 중학교와 3개 고등학교 학생 600명(남 306명, 여 29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이로부터 4개의 주요 요인을 추출하고 문항의 의미를 고려하여 최종 42문항, 5점 평정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또래관계검사를 타당화하기 부산시 소재 2개 중학교와 2개 고등학교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타당도 조사에서는 이미 개발되어 있는 2개의 또래관계 관련 척도들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또래관계검사 문항의 타당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상을 요약하면 본 또래관계검사는 내적합치도, 신뢰도, 타당도 측면에서 신뢰롭고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청소년 또래관계의 가장 기본적인 측면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뿐만 아니라 예비규준을 제시하여 집단과의 비교가 가능하게 하여 청소년들의 또래관계의 현황을 파악하고 상담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아동용 인과추론능력검사 개발 예비 연구 (A Study on Validating Causal Reasoning Ability Test for Children)

  • 신종호;이현주;김정하;황혜영;권희경;심정아
    • 교육심리연구
    • /
    • 제22권2호
    • /
    • pp.367-384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과추론검사에 대한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인과추론능력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기 위한 예비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인과추론의 대상 영역을 행동, 심리, 자연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에서의 인과추론능력을 측정하는 그림 검사를 개발하였다. 예비 검사와 본 검사를 통하여 2차에 걸쳐 문항을 선별하였고, 구인타당화, 공인타당화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졌다. 총 59문항에 대한 선별 과정을 통하여 예비 검사에서 18문항, 본 검사에서 최종 12문항을 확정하였다. 최종 12문항으로 이루어진 인과추론능력검사의 신뢰도는 Cronbach ${\alpha}=.72$로 나타났고, 구인타당화를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본 검사가 가정한 세 가지 하위 구인인 행동, 심리, 자연의 삼요인이 추출되었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본 연구가 가정한 행동, 심리, 자연의 삼요인 모형의 이론적 요인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준거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한국교육개발원의 추리능력검사를 사용하였고, 이 검사와의 상관은 .55로 두 검사가 추론이라는 공통 구인을 측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검사의 총점 및 하위 점수에서 성차가 발견되지 않았고, 성에 따른 문항의 차별적 기능 분석결과 2문항만이 차별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년별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검사가 성차에 상대적으로 편파적이지 않으면서도 연령에 따른 인과추론 발달 추이를 어느 정도 반영하는 검사도구임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아동용 인과추론능력검사는 아동의 사고능력에 대한 평가뿐만 아니라, 사고력 발달에 있어 지체나 장애를 나타내 보이는 아동들을 선별하는 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미래 교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Future Teacher Competency Diagnostic Scale for Pre-service Teachers)

  • 백종남;김수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31-339
    • /
    • 2020
  • 본 연구는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미래 교사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미래 교사역량으로 지식, 실천, 인성 등 3차원에서 각각 기초역량과 직무역량으로 위계화하여 가설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가설모형을 바탕으로 54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으며, J지역 237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역량 진단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 미래 교사역량은 지식 차원 6개 요인 18개 문항, 실천 차원 6개 요인 17개 문항, 인성 차원 6개 요인 18개 문항 등 총 53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둘째, 미래 교사역량 진단 모형의 적합성은 비교적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고,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논의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연구 제언을 제시하였다.

한국판 신체태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Grindler Body Attitude Scale)

  • 주은선;임민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56-26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Grindler(1991)가 개발한 신체태도 척도(Grindler Body Attitude Sale)을 한국어로 번안하여 한국판 신체태도 척도를 구성하고 이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55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문항의 내용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공인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문항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 한국판 신체태도 척도는 총 3요인 모형과 35문항 구조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은 신체에 대한 인식태도, 신체에 대한 평가태도 신체에 대한 관리 태도로 명명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3요인 모델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척도의 공인 타당도 및 변별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관련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 반응과는 부적상관, 신체 존중감, 주관적 안녕감, 신체 만족도와는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예비유아교사 교사효능감 척도(PS-TES) 타당화 (The Validation of Pre-service Teacher Efficacy Scale for Preschool Teachers)

  • 이채호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7-12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Ohio State Teacher Efficacy Scale(OSTES)을 활용하여 예비유아교사 교사효능감 척도(PS-TES)를 타당화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본 연구는 G지역에 소재한 3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재학생 42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Cronbach's ${\alpha}$)계수, 상관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 교사효능감 척도(PS-TES)의 하위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3개의 하위요인(교수전략 효능감, 학생참여 효능감, 교실관리 효능감)으로 나타났으며 총 문항은 12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예비유아교사 교사효능감 척도(PS-TES)의 하위요인 신뢰도는 '교수전략 효능감' .82, '학생참여 효능감' .72, '교실관리 효능감' .76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신뢰도는 .87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 교사효능감 척도(PS-TES)의 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한 결과 모델 적합도는 CMIN/DF = 1.59, RMSEA = .05, SRMR = .05, NNFI = .96, CFI = .97로 나타나 예비 유아교사 교사효능감 척도(PS-TES)가 적합한 측정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한국 단축형 사랑중독 척도(Korean-Love Addiction Questionnaire-Short Form: K-LAQ-SF) 타당화 연구 (Validation of Korean Love addiction Questionnaire-Short Form (K-LAQ-SF))

  • 송연주;하문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6권4호
    • /
    • pp.501-524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 적용될 수 있는 한국 단축형 사랑중독 척도(Korean-Love addiction Questionnaire-Short Form: K-LAQ-SF)를 타당화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Peabody(2005)의 사랑중독 질문지(Love addicts 40 Questions)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5요인, 15문항을 선정한 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척도의 모형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동등성 검증 결과는 축약된 척도의 이론적 구조가 남녀별로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K-LAQ-SF와 원척도와의 상관분석 결과는 본 척도에서 타당화된 단축형 척도가 원척도를 비교적 충실히 대표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관계중독, 사랑유형, 우울 변인과의 상관분석 결과 통해 수렴, 변별 및 준거타당도를 확보하였다. K-LAQ-SF는 안정적인 신뢰도와 타당도를 바탕으로 짧은 시간에 간편하게 한국 성인의 사랑중독 특성을 측정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