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키토산 비드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6초

키토산 분자량 변화에 따른 키토산 비드 제조에 관한 연구

  • 이승원;김동석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303-306
    • /
    • 2003
  • autoclaving을 이용하여 키토산의 분자량을 변화 시켜서 납 중금속제거 실험을 하였다. 또한 이 키토산을 이용하여 비드를 만들어서 분말 상태의 키토산과 제거능 비교실험을 하였다. 먼저 분말상태의 키토산과 분말상태의 키토산을 비드로 만들었을때의 납 제거량은 비드가 분말보다는 많이 제거 되는 것으로 나왔고, 분말 상태에서의 제거된 순서는 15 min > 60 min > 0 min으로 나타났고, 비드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15 min > 60 min > 0 min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볼 때 autoclaving 처리 시간은 15 min이 가장 적당했으며, 이를 비드로 만들었을 때에는 분말상태의 키토산보다는 제거량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키토산 비드에 의한 중금속 이온의 고정층 흡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xed-bed Adsorption of Heavy Metal Ions over Chitosan Bead)

  • 정경환
    • 공업화학
    • /
    • 제10권1호
    • /
    • pp.166-172
    • /
    • 1999
  • 폐수중 중금속 이온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키토산 비드에 의한 금속 이온의 고정층 흡착 특성을 조사하였다. 게껍질로부터 키틴을 추출하고 이를 탈아세틸화 반응시켜 키토산을 제조하였다. 키토산은 비드로 만들어 중금속 흡착제로 사용하였다. 키토산 비드에 대한 $Cu^{2+}$, $Co^{2+}$, $Ni^{2+}$ 이온의 단성분 평형 흡착 실험 결과로부터 Freundlich와 Langmuir 흡착등온식을 결정하였다. 흡착등온식에 의하면 키토산 비드에 대한 중금속 이온의 흡착 세기는 $Cu^{2+}$>$Co^{2+}$>$Ni^{2+}$의 순서로 나타났다. 키토산 비드에 대한 중금속 이온의 단성분 또는 다성분계 고정층 흡착 실험으로부터 흡착 파과곡선을 구하였다. 단성분 흡착등온식으로 다성분 흡착 평형을 예측할 수 있는 IAS (ideal adsorbed solution) 이론을 적용하여 LDFA (linear driving force approximation)에 의한 고정층 흡착 모델식을 수치해 기법으로 모사하여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LDFA에 의한 모델식을 적용한 결과 키토산 비드에 대한 중금속 이온의 단성분 및 다성분계 고정층 흡착거동을 잘 모사할 수 있었다.

  • PDF

키토산 유도체를 이용한 화장품용 중공 마이크로비드의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Hollow Microbeads Using Hydroxypropyl Chitosan)

  • 하병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24
    • /
    • 1998
  • 게 껍질로부터 얻은 키틴을 탈아세틸화하여 키토산을 얻었으며, 얻어진 키토산의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알칼리 조건에서 고압반응ㅇ기를 사용하여 프로필렌옥사이드와 반응시켜 치환율 3.5의 히드록시프로필 키토산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히드록시프로필 키토산은 고체상 CP/MAS 13C-NMR, 1H-NMR, FT-IR을 통해 반응이 키토산의 6번 탄소의 수산기와 2번 탄소의 아민기에 주로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X-선 회절분석을 통해 키토산의 결정성이 프로필렌옥사이드와의 반응에 의해 크게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고, 그 결과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현저히 증가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한편, 히드록시프로필 키토산을 수상에 녹인 후 W/O 에멀젼상에 서 알칼리 촉매를 사용항 에피클로로히드린과 가교반응을 실시한 결과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마이크로비드를 얻을 수 있었다. 전자현미경을 통한 분석결과 중공 마이크로비드의 껍질의 내부에는 스킨층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외부 표면은 다공성이 높은 비대칭 막으로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개에서 키토산 비드를 이용한 cefadroxil 방출제어 (Controlled Release of Cefadroxil from Chitosan Beads in Dogs)

  • 김대근;박승춘;김태완;이근우;오태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75-180
    • /
    • 2005
  • 본 연구는 개에서 키토산 비드를 이용한 cefadroxil 방출에 영향을 주는 인자, 약물을 함유한 최적의 키토산 비드의 제조, 그리고 키토산 비드로부터 약물의 방출을 평가하는 것이다. 키토산 비드는 tripolyphosphate (TPP)와 이온결합으로 생성되며 비드의 크기는 1 mm 미만이었다. 비드로부터 cefadroxil 방출은 여러 인자에 영항을 받는다. TPP의 pH가 감소할수록 cefadroxil의 비드내 함유량은 증가하지만, 비드로부터 방출량은 감소한다. Cefadroxil의 방출속도은 TPP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한다. 결합시간이 길어지면, 방출량이 감소한다. Cefadroxil을 함유한 키토산 비드를 50 mg/kg 용량으로 건강한 개 4두의 피하에 이식한 결과, cefadroxil의 혈청내 농도는 1 ${\mu}g/ml$ 이상으로 7일간 유지되었다. 따라서 cefadroxil을 함유한 키토산 비드는 개의 농피증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사료되며 약물방출을 통제할 수 있는 약물수송체가 이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키토산을 이용한 중금속(Cu2+) 흡착 (Adsorption of Cupric Ions on Chitosan)

  • 김태영;김경진;문희;양재호
    • 공업화학
    • /
    • 제10권2호
    • /
    • pp.268-274
    • /
    • 1999
  • 평균분자량이 $8.2{\times}10^5$, 탈아세틸화도가 85%인 키토산을 2 wt % 초산 수용액에 용해시킨 후 졸-겔법에 의해 키토산 비드를 제조하였다. 졸-겔법에 의해 제조된 키토산 비드는 SEM 사진과, BET 측정으로 다공성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공성 키토산 비드에 의한 $Cu^{2+}$의 흡착평형은 Sips식으로 잘 묘사할 수 있었으며, 키토산 비드 내부에서의 확산과정은 세공 및 표면확산 기구로 설명할 수 있었다. 고정층에서 $Cu^{2+}$의 흡착거동은 linear driving force approximation (LDFA)으로 잘 묘사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에 사용된 다공성 키토산 비드는 $Cu^{2+}$을 회수하는데 우수한 흡착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Gly-His-Lys 펩타이드가 결합된 키토산과 그의 세포증식 효과에 관한 연구 (Gly-His-Lys Conjugated Chitosan and its Cell Proliferation Effects)

  • 하병조;이윤식;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99-404
    • /
    • 2004
  • 새로운 Gly-His-Lys (약자로 GHK)가 결합된 키토산을 $N^{\alpha}-Fmoc$ 아미노산과 BOP 커플링 시약을 사용한 고상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이를 위해 키토산 마이크로 비드를 W/O 에멀젼 상분리법으로 평균 입자크기 70 마이크로미터로 얻었다. GHK 펩타이드는 순차적으로 고상법에 의해 키토산 마이크로비드 위에 커플링 하였다. 아미노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 Gly, His, kys의 비율이 1.02:1.13:0.96의 비율로 나타나 이론치와 거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GHK 펩타이드가 결합된 마이크로비드의 세포증식 효과는 MTT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GHK 펩타이드가 결합된 키토산 마이크로비드는 대조군인 펩타이드가 결합되지 않은 키토산 마이크로비드 자체에 비해 높은 세포증식 효과를 보였다.

Bisamino-PEG가 함유된 키토산 비드의 팽윤성 및 방출 특성 (Swelling Properties and Releasing Characteristics of Chitosan Beads Containing Bisamino-PEG)

  • 하병조;이옥섭;이윤식
    • 공업화학
    • /
    • 제7권1호
    • /
    • pp.59-66
    • /
    • 1996
  • 양말단에 아미노기가 결합된 일련의 bisamino-PEG($Jeffamine^{(R)}ED$)를 함유한 키토산 비드들을 알칼리 용액을 사용한 capillary extrusion method에 의해 제조하였다. 제조된 각각의 비드들에 대한 swelling kinetics를 조사한 결과, 키토산비드 내부에 PEG 사슬이 길어질수록 팽윤이 늦게 진행되었다. 또한 키토산 비드에 함유된 bisamino-PEG들의 방출현상을 정량적으로 알아 보기 위해 양말단의 1차 아민기에 fluorescamine을 결합시킨 후, UV spectra로 방출과정을 추적하였다. 실험결과 키토산 비드 내부에 있는 PEG 사슬이 길수록 방출시간은 $Jeffamine^{(R)}ED$-600 < $Jeffamine^{(R)}ED$-900 < $Jeffamine^{(R)}ED$-2001 순으로 지연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PEG 사슬이 길어질수록 키토산과의 수소결합에 의한 상호작용이 강화되고 그 결과 방출기간이 지연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미생물 기반 콘크리트 자기치유를 위한 미생물 담체 최적화 및 균열치유성능 분석 (Investigation of Crack Healing and Optimization of Microbe Carrier for Microbial Self-healing of Concrete Crack)

  • 이윤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8권4호
    • /
    • pp.62-67
    • /
    • 2024
  • 이 논문에서는 콘크리트 내 미생물을 보호하는 최적의 미생물 담체로서 세포 친화적이며 높은 수분 흡수율과 미생물의 생체광물형성 조건을 효과적으로 부여하면서 균일한 제작 및 보관이 가능한 키토산 기반 고분자 미생물 비드 담체를 개발·최적화하고 이를 적용한 모르타르의 자기치유성능을 분석하였다. 원형 모양의 미생물 내생포자를 혼입하기 위하여 키토산과 알지네이트 고분자를 조합한 원형 형태의 미생물 비드 담체를 개발하였으며, 담체 내 조성물질의 조절로 탄산칼슘 생성량을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었다. 키토산을 포함한 하이드로젤 비드담체에서 생체광물 형성량과 결정의 크기가 최대로 나타났으며, 이를 적용한 모르타르 균열의 경우, 균열 발생 후 96시간 이내에 최대균열폭 0.3mm의 균열이 자기치유가 완료됨을 확인하였다.

몇 가지 키토산 비드들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n Several Chitosan Beads)

  • 하병조;이옥섭;이윤식
    • 공업화학
    • /
    • 제7권1호
    • /
    • pp.186-193
    • /
    • 1996
  • 몇 가지 키토산 비드들을 W/O 에멀젼법과 capillary extrusion법에 의해 제조하여, SEM 사진을 통해 표면 구조와 표면적의 차이를 관찰하였고, BET법으로 표면적을 측정하였으며, 피크린산 적정에 의해 유효 아민함량을 측정하여 상기 결과들과의 상관관계를 알아 보았다. W/O 에멀젼법에 의해 제조한 비드의 경우 capillary extrusion법에 의해 제조된 비드들보다 입자의 크기가 작았으며, 반대로 표면적, 유효 아민함량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비드의 표면적, 유효 아민함량, 겉보기 밀도(apparent density) 및 기계적 강도(hardness)는 제조시 건조방법에 따라 매우 큰 편차를 나타내었다. Hardness 측정결과 solvent dehydration법에 의해 건조된 비드들이 동결건조법에 의해 건조된 비드들에 비해 높은 강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겉보기 밀도에 있어서도 solvent dehydration한 비드들이 동결건조한 비드들에 비해 높은 겉보기 밀도를 보였다. SEM 사진 분석결과 solvent dehydration법에 의한 비드들은 매우 작은 pore들이 비드의 표면에 무수히 존재한 반면 동결건조한 비드에서는 벌집모양의 pore들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피크린산 적정결과 solvent dehydration한 비드의 경우 동결건조한 비드보다 약 10배의 높은 유효 아민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비드의 표면적이 클수록 유효 아민함랑은 높게 나타났다. 또한 fluorescamine을 반응시킨 후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비드의 표면과 내부의 pore 주위에 노출된 1차 아민의 존재를 정성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