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키오스크 시스템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32초

기록관리기관의 RFID 시스템 기능 개선 연구 (A Study on the Extension of the RFID System Functions of a Records Management Agency)

  • 오진관;최광훈;이연희;최성호;임진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5-77
    • /
    • 2016
  • 최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RFID 서비스 이용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록관리기관에서도 RFID 시스템 도입을 검토하는 기관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기록관리기관에서 사용 중인 RFID 시스템은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의 서고관리를 위한 일부 기능만 구현되고 있어 RFID 시스템 기능 개선을 통한 보다 효율적인 비전자기록물 관리가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록관리기관의 비전자기록물 관리를 위해 도입 중인 RFID 시스템의 활용 현황 분석을 통한 기능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기록관리기관의 비전자기록물 관리 현황 분석을 위해 2007년 최초로 RFID가 도입된 국가기록원과 2016년 RFID가 도입된 지방자치단체 기록관리기관 사례를 조사하였고, 이를 통해 기록관리기관의 RFID 시스템 기능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인체 깊이 정보를 이용한 댄스 학습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Dance Learning System Using Human Depth Information)

  • 김예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627-1633
    • /
    • 2017
  • 인체의 댄스 학습은 실제로 수업을 참여하지 않고는 복잡하고 연속적인 신체 움직임으로 이루어진 전문가의 동작을 효과적으로 따라 하기는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인체 깊이 정보를 이용한 댄스 학습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제안한 시스템에서는 마커 프리 동작 갭쳐를 활용하여 댄스 전문가들로부터 다양한 예제 동작들을 갭쳐하고, 온라인 댄스 레슨에 사용하기 위해 동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학생은 타블렛이나 키오스크 PC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동작을 선택하고, 학습한 후 자신의 동작을 온라인 피드백을 받기 위해 강사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학습 과정에서 본 시스템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학생과 강사가 효율적으로 동작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빠르게 동작을 검색할 수 있는 방법과 다중 모드 화면을 제공한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본 시스템은 학생들의 댄스 스킬을 주어진 시간 안에 향상시킬 수 있다.

멀티터치 인터페이스 회의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Building Plan Research of Meeting System based on Multi-Touch Interface)

  • 장석주;박선희;최태준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55-261
    • /
    • 2014
  • IT산업의 발달은 현대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그 변화는 모든 분야에 적용되어 생활을 점점 더 편리하게하고, 업무는 더 효율적으로 빠른 처리가 가능하게 하면서 사람들을 편리한 삶으로 이끌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인터페이스가 크게 작용하고 있으며, 점점 발전해 현재는 사용자 행동기반의 인터페이스 NUI(Natural User Interface)기술을 사용 중에 있다. NUI는 별도의 입력 장치 없이 터치, 제스쳐 등의 자연스러운 행동을 통해 시스템과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 중 스마트 폰은 NUI 기술을 적용한 대표적인 디바이스이다.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NUI 기술은 키오스크, 대형 테이블 등의 터치스크린에 적용하여 문화, 국방, 광고 산업 등 다양한 분야로 개발 및 활용 중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NUI기술을 활용하여 멀티 터치 테이블 기반의 멀티 터치 회의 시스템을 구축하여 기존의 회의 방식을 개선할 수 있는 효율적인 시스템을 제안한다.

U-헬스케어에 있어서 디지털 의료영상정보의 법률적 보호 (The Legal Protection of Digital Medical Imaging in U-healthcare)

  • 정용엽
    •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23-31
    • /
    • 2005
  • 원격진료 홈네트워크 아파트 진료용 키오스크 모바일주치의 등으로 대표되는 U-헬스케어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것은 의료정보를 디지털화해서 전자적 자료의 형태로 저장 보관하고 이를 송 수신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U-Korea 전략의 하나로 보건복지부가 주축이 되어 2005년 10월 현재 국가보건의료정보화계획(ISP)을 수립하기 위한 작업을 추진중에 있다. 여기서, 예컨대 임상병리검사소견이나 방사선촬영소견 등의 의료정보가 전자적 장치에 의해 디지털화 할 경우 디지털 의료정보가 되는 것이며, 이 가운데 특히 방사선촬영소견 등 방사선분야의 모든 촬영기록이 PACS시스템을 통해 기재되거나 저장 전송될 경우 이를 디지털 의료영상정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디지털 의료영상정보를 포함한 디지털의료정보는 대량적으로 수집 저장되고 유통 내지 공동활용이 보편화되어 감에 따라 그 의료정보의 보호에 관한 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이러한 디지털 의료영상정보가 전자의무기록(EMR) 형태로 저장 보관되는 경우 이는 전자의무기록에 관한 법률규정이 적용되어 법률적 보호를 받게 되며, 그 보호의 강도는 종래 오프라인 상의 의료정보 보호보다 한층 강화된 규정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흐름에 있어서 최근 정부가 국가보건의료정보화계획 수립과 함께 제정작업을 추진하고 있는 가칭 의료정보화촉진 및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안)은 시사점이 크다고 보기 때문에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제어 및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키오스크 개발 (Development of Smart Kiosk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 김진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5권2호
    • /
    • pp.160-164
    • /
    • 2022
  • In this paper,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smart panel (LCD kiosk) controller, contents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be operate in a desired environment by operating the window control and ventila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automatic controller operation based on the set value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sunlight, and rainfall. In particular, the MQTT protocol-based sensor module can be directly manufactured and applied at any time based on various communication and power sources such as wireless, wired, and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to obtain the desired data, as well as fire, power failure, and intrusion in the house. It is also a system that enables operation and monitoring from a remote location based on the cloud environment by connecting sensors. Kiosks are currently being used in many places, and the demand for them is on the rise, and an active influx of young people can be expected through environmental improvement. It is expected to increase interest and understanding for improvement.

U-Commerce System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Development of U-Commerce)

  • 김재필;김영철;이동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767-773
    • /
    • 2010
  • RFID와 Kiosk는 유비쿼터스 사회 기반 조성을 위한 필수적인 기기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시대에 유통매장의 효율적 관리와 고객 만족도 극대화를 위해 차별화되고 다양한 서비스와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는 U-Commerce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상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Kiosk에 탑재된 RFID 리더에 인식시켜 상품의 상세 정보 및 관련된 멀티미디어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고, 바로 구매까지 가능토록 한다. 실시간으로 재고 물품의 수량 및 출고현황을 모니터링 및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 하였다. 제안된 U-Commerce를 위해 설계한 U-Shop Kiosk 시스템은 점원과의 흥정, 결재 단계를 생략 수 있고, 단순한 무인점포의 유비쿼터스형 Kiosk가 아닌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고객 데이터를 수집, 저장, 활용하고 다시 고객에게 피드백 함으로써 유비쿼터스형 CRM의 확장 모델로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디스플레이형 자판기 사용자 분석을 위한 이중 단계 검출 및 분류 망 (2-Stage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Network for Kiosk User Analysis)

  • 서지원;김미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668-674
    • /
    • 2022
  • 시각 정보를 이용한 기계 학습 기술은 주변 상황 인지, 결함 감지, 보안 그리고 사용자 분석과 같이 산업, 서비스 분야에서 활용성이 높아졌다. 그 중 CCTV 영상 분석을 통한 사용자 분석은 시각 정보를 잘 활용하는 실용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임베디드 환경에서의 실용성을 높이기 위한 신경 회로망 경량화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스플레이형 자판기인 키오스크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사람 및 얼굴 검출과 사용자의 나이 및 성별 분류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MobileNet, YOLOv2, 생략 연결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검출과 분류 망을 개별적으로 학습한 뒤 결합한 2-stage 구조를 띈다. 또한 주의 집중 기법을 사용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에 대한 구동과 성능 평가는 소형 그래픽 처리 유닛인 Nvidia Jetson Nano에서 진행하였다.

BaaS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기반 전자투표 시스템 (A Hybrid Blockchain-Based E-Voting System with BaaS)

  • 강명조;김미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2권8호
    • /
    • pp.253-262
    • /
    • 2023
  • 전자투표는 정해진 장소에서의 키오스크 투표, 정해지지 않은 장소에서의 인터넷 투표 등의 행위를 포함한 개념으로, 오프라인 투표 수행 시 많은 자원과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등장했다. 전자투표를 사용하면 투표 및 개표 업무의 효율성 증대, 비용 감소, 투표율 상승, 오류 감소 등 기존 투표시스템에 비해 많은 이점을 가진다. 하지만 중앙집중식 전자투표는 타인에 의한 데이터 위·변조 및 해킹 우려로 투표 결과를 신뢰할 수 없어 공적 선거 및 기업 안건 투표에 주목받지 못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전자투표 시스템을 설계하여 투표정보의 신뢰성 증가, 투명성 확보 등 기존의 전자투표에서 부족한 개념을 보완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본 논문에서는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융합하여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한 전자투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하이브리드 블록체 인은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이용해 느린 트랜잭션 처리 속도와 수수료 문제를 해결하고, 퍼블릭 블록체인을 통해 거래의 투명성과 데이터 무결성 부족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설계한 시스템을 BaaS로 구현하여 블록체인의 타입 변환 용이성 및 확장성을 확보하고 강력한 연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BaaS란, Blockchain as a Service의 약어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중 하나이며 인터넷을 통해 블록체인 플랫폼 및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제안시스템과 국내외에서 진행한 전자투표 관련 연구를 블록체인 타입, 익명성, 검증 프로세스, 스마트 계약, 성능, 확장성 측면에서 비교 분석한다.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의 경계지점 최소거리 행렬 기반 k-최근접점 탐색 알고리즘 (k-NN Query Processing Algorithm based on the Matrix of Shortest Distances between Border-point of Voronoi Diagram)

  • 엄정호;장재우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05-114
    • /
    • 2009
  • 최근 사용자에게 자신과 가장 가까운 k 개의 주유소, 레스토랑, 은행 등의 POI(Point Of Interest) 정보를 추천해주는 위치 기반 서비스가 텔레매틱스,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키오스크(kiosk)등의 어플리케이션에서 필요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k-최근접점 탐색 알고리즘이 제안되었다. 이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에서 각 POI의 네트워크의 거리를 미리 계산한 파일을 이용하여 k-최근접점 탐색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 알고리즘은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확장에 따른 비용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의 경계지점마다 각각에 대하여 최소거리 행렬을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k 개의 POI를 탐색하기 위해, 최소거리 행렬을 이용한 k-최근접점 탐색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미리 계산된 경계 지점 간 최소거리 행렬을 통해 탐색하므로, k-최근 접점 탐색 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의 확장비용을 최소화한다. 아울러 기존 연구와의 성능비교를 통해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기존 알고리즘에 비해 검색시간 측면에서 성능이 우수함을 보인다.

  • PDF

편의점 도서자판기를 활용한 출판문화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Vitalization Plans for the Publishing Culture and Industry with a Book Vending Machine at Convenience Stores)

  • 이유신;안규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247-260
    • /
    • 2022
  • 본 연구는 출판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해 도서자판기를 편의점에 설치하여 유통채널을 확장시키는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먼저 편의점의 의미와 도서자판기의 개념을 정립한 후 편의점 내 도서자판기 설치 및 운영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편의점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서판매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제고할 것이며, 출판업계와 편의점업계 사이의 아웃소싱, 소비자를 위한 옴니채널 서비스 확대,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고객 경험가치 제공 등을 추진할 것이다. 도서자판기의 구성은 스마트 도서관 형태의 자판기로 운영하며 키오스크 프로그램에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다. 이러한 과정을 도식화하였고 실질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성인 3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향후 편의점 도서자판기 설치와 같이 출판물의 판매 및 유통채널을 다변화하는 연구를 통해 출판문화산업 활성화에 따른 국민 1인당 독서량 증가로 국민의 독서환경이 증진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