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클러치 시험기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4초

스탭핑 모터에 의한 수동변속기 차량의 클러치 제어 개발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Clutch Control for Manual Transmission Vehicle based on Stepping Motor)

  • 박용국;박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3849-3855
    • /
    • 2012
  • 본 논문은 스텝핑 모터를 이용하여 수동변속기 차량의 클러치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알고리즘 및 제어로직 구현 결과를 기술한 것이다. 기본제어 알고리즘은 차량의 통신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전자 의지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클러치 연결 혹은 해제 시점을 파악하여, 이에 따른 구동신호를 발생시키고 클러치의 위치 및 이동거리는 구동신호의 펄스 개수에 의하여 계산된다. 제어로직을 마이크로프로세서에 탑재하는 과정은 자동코드생성기법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프로토 타입 제어기에 탑재하여 기본 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군용차량 클러치 내구수명 향상에 대한 연구 (Design Technique for Durability Improvement of Military Vehicle Clutch System)

  • 신철호;강태우;김성곤;김선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17-124
    • /
    • 2019
  • 국군이 운용중인 대부분의 군 전용차량은 개발이 완료된지 15년이 넘었으며, 개발 당시의 기술력과 정비성을 고려하여 수동변속기를 채택하고 있다. 수동변속기는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동력을 조절/차단하는 클러치를 포함한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2.5톤 군용차량은 수동변속기와 클러치 시스템을 적용하고, 클러치 커버와 릴리스 베어링 간극을 수동으로 조절해야 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클러치 디스크 조기마모, 클러치 커버 파손 등의 품질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는 발생된 품질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클러치 커버와 릴리스 베어링의 간극을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하고 클러치 디스크 자체의 성능도 향상시키는 과정을 거쳤다. 개선된 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해서, 단시간에 기어변속을 하는 가속내구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군인이 직접 운전을 하여 차량에 적용하였을 때 이상이 없음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활동을 통해, 클러치 간극을 조정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차량 정비 인력의 정비시간을 단축하였다. 또한, 클러치 간극을 조정해 주지 못함으로써 발생되는 품질문제를 해소하여, 근본적인 개선책을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자동변속기 클러치 디스크 마찰특성의 실험적 분석 (Experimental Analysis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Clutch Disk Friction Characteristics)

  • 정규홍;박동훈;나두현
    • 드라이브 ㆍ 컨트롤
    • /
    • 제15권3호
    • /
    • pp.14-20
    • /
    • 2018
  • Wet clutches in an automatic transmission enable the transmission of the engine power by the frictional torque experienced and noted between disk and plates. Since the clutch frictional torque considerably affects the shift quality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as well as the durability of the machinery, its friction characteristics must be carefully examined to meet the design requirements. The SAE No. 2 friction test machine is a well-known standard to evaluate mainly the friction characteristics of plate clutches along with the required automatic transmission fluids. This paper reviews the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wet clutch friction characteristics by using the exclusively developed clutch test machine which is capable of controlling the clutch test procedure, in accordance with the applicable test standard and processing of the experimental data automatically. As the clutch test machine is designed for the accommodation of dual clutches which is applied to the real transmission, it can evaluate not only the clutch friction characteristics, but also an actuation performance of a measured clutch piston. In respect to friction characteristics involving dynamic friction coefficients, the energy absorbed in a clutch disk and the recorded temperatures of clutch plates during braking actions and procedures are also investigated. Additionally, the change of friction coefficients by the use of the repeated clutch application is also observed with the endurance test functions of an accurately calibrated and dedicated clutch test machine.

수동변속기용 클러치의 관성시험장치에 관한 연구 (Study on a Full-Size Tester for Manual Transmision Clutches)

  • 이병수;신현명;허만대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101-109
    • /
    • 2004
  • Three models with various degree-of-freedom for a manual transmission clutch full-size tester have been developed and the models' reliability and accuracy have been verified using the measured data. A simulation study has also been conducted to understand dynamic behavior of the tester. The model for this simulation study includes clutch disk friction and damper dynamics. The developed model is very accurate in terms of maximum torque exerted on the clutch, slip duration and the vibration response except a slight difference compared to the measured data. In a history graph of the clutch torque, the maximum torque response from simulation is flat but the measured is sunken with a noticeable curvature. This phenomenon is found to be irrelevant to the dynamics of the full-size tester but is originat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utch itself. Thus, the full-size tester has been proven to be a reliable tester for clutch's power and torque transmission capability. To obt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clutch's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 between full-size tester and other testing methodologies, future research directions have been suggested.

내페이드와 힐스타트 가상 시험을 통한 수동변속기 클러치 시스템의 온도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emperature Predictions for Manual Transmission Clutch System via Anti-fade and Hill Start Virtual Test)

  • 박기종;김동원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122-129
    • /
    • 2015
  • Excessive overheating to a manual transmission clutch system under operating conditions can be considered the main reason of its performance degradation. The clutch system has to be ensured with its service life by showing that it passes the extreme tests called anti-fade test and hill start test in a certain design step. In general, design feedbacks from these kinds of the experiments are adapted to the system to enhance its performance. However, it usually takes much time and costs a lot due to the repetition of the tests. In this research, a process to calculate temperature of the clutch system was developed to determine whether the design can be passed the anti-fade test and hill start test in the design phase. The process incorporates many CAE techniques such as heat transfer analysis using 1D dynamic simulation method, system dynamics, CFD and parametric optimization. CFD is utilized to analyze 3-dimensional heat transfer of the clutch system and fluid dynamics of air in the clutch housing. The process was applied for the clutch systems in several vehicle models. The results w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experiment. The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process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predicted results with experimental results.

자동화 수동변속기용 자동변속로직 및 변속맵 설계 (Design of Auto Shifting Logic and Shifting Map for AMT)

  • 임진강;이동건;김관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70-671
    • /
    • 2016
  • 자동화 수동변속기는 수동변속기에 액츄에이터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수동변속기를 변속할 수 있게 한 변속기로써,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조작 편의성과 수동변속기 수준의 높은 연비로 인해 대형 상용차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대형 상용차에 적용되는 12단 자동화 수동변속기는 다른 자동 변속기와 마찬가지로 자동변속로직과 변속맵에 의해 변속시점을 결정하지만 기존의 방식으로는 변속충격, 클러치 마모, 연비저하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은 12단 자동화 수동변속기에 알맞은 변속로직 및 변속맵의 설계와 성능확인시험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 PDF

무단변속기 장착차량의 발진성능 해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개발 (A Development of the Simulation Program for Launching Performance of a Passenger Car equipped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 김정윤;이장무;여인욱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7권7호
    • /
    • pp.157-166
    • /
    • 1999
  • This paper describes the launching characteristics of a passenger car using a Push-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CVT) which equipped a wet type multi-plate clutch asa starting device and a solid flywheel with a torsional damper for a torsional coupling device. To reduce the torsional vibration of the drive-line , some torsional coupling devices were used for the passenger car equipped CVT having the clutch as a starting device especially .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computer simulation program to investigate the launching characteristics of a passenger car equipped CVT using the mathematical models of this system. For the mathematical models of the vehicle, the CVT, the we type multi-plate clutch and the torsional damper, we obtained the specification and the necessary data through the reverse engineering of those. For the verification of our analysis, we performed the test of prototype car with different throttle positions at road and dynamometer. The launching characteristics of a passenger car considered here an acceleration performance and an ascending performance.

  • PDF

자동변속기 오일 소요유량 시험법개발 및 측정데이터 분석 (Development of the Oil Consumption Rate Test Method and Measurement Data Analysi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System)

  • 정헌술;오석형;이재신;임진승
    • 유공압시스템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0-16
    • /
    • 2009
  • Automatic power transmission systems consisted of a torque converter and several planetary gear sets, clutches and brakes are controlled by a hydraulic shift control circuit and an electronic transmission control unit. The hydraulic circuit serves for the operation of the torque converter and lubrication oil supply of the transmission system as well as for the actuation of clutches for the automatic gear shift. The complicated hydraulic control circuit constructed by many spools, solenoids, orifices and flow passages are integrated into one small valve block and it is powered by one hydraulic pump. In this paper, a test equipment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oil consumption of each component at various wide operating conditions. Test data about 730 sets acquired from five test items are analyzed and discussed on the oil capacity of the circuit.

  • PDF

잡곡 수확용 25 kW급 소형 콤바인 시작기 설계 제작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Prototype of 25 kW Small Combine for Harvesting Miscellaneous Cereal Crops)

  • 이범섭;지금배;김성찬;유수남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78-78
    • /
    • 2017
  • 현재 국내에 공급되고 있는 잡곡류 수확기는 보행형 예취기, 탈곡기 위주의 저능률 기계화 수준으로 고능률의 콤바인 수확기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잡곡류가 소규모 경작지의 영세농가 위주로 재배되어 저가격의 소형 콤바인 수확기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규모 밭의 두류 및 잡곡 수확작업에 적응성이 뛰어나며, 농기계 임대사업소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여성과 고령자도 쉽게 운전할 수 있어 수확작업의 노동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저가격의 25kW급 자주식 소형 콤바인을 개발하고자 시작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시작기의 주요부로 엔진은 25kW/2600rpm 3기통 디젤엔진을 탑재하였으며, 동력전달부는 주변속 3단, 부변속 2단의 선택맞물림 기어식의 변속장치를 이용하였다. 주행부는 궤도형으로 조향클러치와 습식 원판식 제동장치를 채용하였다. 전처리부는 선단거리 1700 mm의 디바이더와 상하좌우 수동 조절되는 회전속도 약 42 rpm의 정오각형 릴로 구성하였으며, 전처리부의 최대 승강높이는 740 mm이었다. 작물이송부는 돌기부착 오거와 체인컨베이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탈곡부는 단동형 축류식의 직경 440 mm, 길이 1180 mm의 급동과 높이 65 mm, 지름 10 mm의 46개 강봉형 급치, 격자형 수망으로 구성하였으며, 회전속도는 약 325 rpm으로 작동하도록 하였다. 선별 정선부는 요동 송풍선별식으로 곡립판, 볏짚체, 곡립체, 송풍팬으로 구성하였고 송풍팬의 회전속도는 약 850 rpm, 요동진동수는 약 5.8 Hz로 작동하도록 하였다. 곡물이송부와 재처리부는 수평이송 외경 103 mm, 수직이송 외경 110 mm의 피치가 모두 82 mm인 스크류컨베이어를 이용하였으며, 곡물탱크는 용량이 250 로 2개의 배출구로 곡물을 포대에 담도록 하였다. 그 외 시작기는 운전조작부, 유압장치부, 전기장치부 등을 갖도록 설계 제작하였다. 전체적인 기체의 크기는 길이${\times}$${\times}$높이 $3935{\times}1900{\times}2440mm$이었으며, 기체 중량은 약 1753 kg이었다. 콩 대상 기초 성능시험 결과 시작기의 작업속도는 약 0.5 m/s, 작업능률은 약 11 a/h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