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클램프

Search Result 27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Evaluation on Damage Weak Part of Rail Fastening System for Concrete Tracks (콘크리트 궤도용 탄성레일체결장치 손상취약부 분석)

  • Choi, Jung-Youl;Kim, Sang-Jin;Chung, Jee-Se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3
    • /
    • pp.265-270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damage weak part of the elastic rail fastening system for concrete tracks (System 300-1). In the concrete tracks, the elastic rail fastening system sticks the rail and the sleeper and reacts all the time when the train is running. Among the components of the rail fastening system, the resilience pad and tension clamp were fatigue members and were constantly deformed in response to compressive and uplift forces. In this study, the residual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he tension clamp according to the period of use were analyzed using by specimens taken on site in the same section for 6, 11, and 16 years on the serviced urban transit. In addition, the damage mechanisms for each component were derived based on finite element analysis. As a result of the numerical analysis, the stress (strain) of each part of the tension clamp according to the external force from the applied clamping force was analyzed to derive the damaged weak part of the tension clamp.

Study of Clamp-type Optical Current Transformer using Faraday Effect (Faraday 효과를 이용한 클램프형 광-전류 변류기 연구)

  • 김수길;이용욱;이병호;임용훈;홍선기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7 no.6
    • /
    • pp.60-65
    • /
    • 2003
  •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oretically design requirement of a clamp-type optical current transformer(COCT)head, and manufactured a COCT head based on design requirement. Also, we measured and analyzed the current of conductor, and change of optical power and sensitivity with incidence angle of light using COCT head, and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of manufactured COCT through those experiments.

Active-Clamp AC-DC Converter with Direct Power Conversion (직접전력변환을 가지는 능동 클램프 AC-DC 컨버터)

  • Cho, Yong-Won;Kwon, Bong-Hwa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07a
    • /
    • pp.348-34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구조의 능동 클램프 ac-dc 컨버터를 제안한다. 제안된 컨버터는 강압형 ac 쵸퍼와 voltage doubler로 구성되며, 직접전력변환을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와 고효율을 가진다. 강압형 ac 쵸퍼는 ac-ac 전력변환과 능동 클램프역할을 하며, 스위치의 전압 스트레스와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 한다. 또한, voltage doubler의 공진 커패시터와 변압기의 누설 인덕턴스는 공진회로를 형성하여 출력 다이오드의 역회복 문제를 해결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회로의 이론적 해석을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 PDF

Performances Comparison of Interleaved Converter for Distributed Power System (분산 전원장치를 위한 중첩형 컨버터의 성능 비교)

  • Moon, Gun-Woo;Yoon, Suk-Ho;Kim, Y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2 no.3
    • /
    • pp.37-44
    • /
    • 1998
  • This paper compared to the operation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an interleaved active clap ZVS forward converter and an interleaved ZVS half-bridge converter in distributed power system. The design for the current-mode control circuit of an interleaved active clamp ZVS forward converter is presented. To simplify the gate drive circuits, N-P MOSFETs coupled active clamp method is proposed. An efficiency about 90% for the 50∼100% load range is achieved.

  • PDF

Implementation and experiment of Three-Phase Current-fed DC/DC Converter with Active Clamp for Fuel Cells (연료전지용 3상 전류형 능동 클램프형 DC-DC 컨버터 구현 및 실험)

  • Cha, Han-Ju;Kang, Tae-Sub;Kim, Woo-Jung;Choi, Jung-W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4b
    • /
    • pp.231-23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큰 부하 변동에도 안정된 동작이 가능한 연료전지용 3상 전류형 능동 클램프 DC-DC 컨버터를 구현하였다. 무부하에서 부하변동에 따른 안정적인 출력 전압을 얻기 위해 연료전지용 3상 전류형 능동 클램프 DC/DC 컨버터에 플라이백 방식으로 입력 인덕터 2차측에 권선을 감아 출력 전압을 확립하였다. 고부하에서의 동작이 적합하도록 입력 인덕터를 교체해 기존 컨버터의 한계용량을 개선시켰다. 실험을 통해 낮은 직류 출력 전압에서 높은 직류 출력 전압으로의 변환시 무부하에서 부하 증가에 따른 안정적인 동작상태를 확인하였으며 출력전압 및 온도, 효율을 분석 하였다.

  • PDF

High Frequency And High Voltage Gain Tapped-Inductor Boost Converter (고주파 및 고승압 탭 인덕터 부스트 컨버터)

  • Lee, Ju-Young;Kim, Sung-Ok;Kang, Jeong-il;Han, Sang-Ky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91-192
    • /
    • 2015
  • 본 논문은 고승압 컨버터의 고밀도화를 위해 Boundary Conduction Mode(BCM)로 동작하는 고주파 전압 클램프 탭 인덕터 부스트 컨버터를 제안한다. 제안된 회로는 모든 반도체 소자가 특정 전압에 클램프 되므로 기존 고승압 탭 인덕터 부스트 컨버터에 비해 손실 스너버가 없어 고효율에 유리하고 전압 스트레스가 낮은 장점을 갖는다. 또한 BCM 동작으로 인해 영전압 스위칭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전압 클램프 탭 인덕터에 의해 다이오드 역회복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1MHz의 고주파 구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원회로에서 큰 부피를 차지하는 리액티브 소자의 사이즈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어 고밀도 전원회로의 구현이 가능한 강점을 갖는다. 제안 회로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이론적인 분석과 LED TV Backlight 구동용 20W급 시작품의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

  • PDF

A Hybrid switching scheme full-brdige dc-dc converter for a wide input range. (넓은 입력범위를 갖는 하이브리드 스위칭 방식의 풀 브릿지 dc-dc 컨버터)

  • Park, Chun-Yoon;Kwon, Bong-Hwa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07a
    • /
    • pp.331-332
    • /
    • 2012
  • 풀 브리지 dc-dc 컨버터는 일차측의 모든 스위치가 ZVS 턴온을 하여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풀 브리지 dc-dc 컨버터의 입력전압의 값이 낮아지면 전압 이득이 낮아서 출력측의 전압도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풀 브리지 능동 클램프 회로를 함께 사용하여 입력전압이 낮아지더라도 출력전압을 원하는 값을 유지하도록 한다. 일반적인 전압의 입력에서는 위상변이 방식의 풀브릿지 dc-dc 컨버터로 동작하며, 입력전압이 낮아질 경우 능동 클램프로 제어하게 된다. 일반적인 전압의 입력에서는 위상변이 방식의 풀브릿지 dc-dc 컨버터로 동작하며, 입력전압이 낮아질 경우 능동 클램프로 제어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넓은 입력 범위를 갖는 풀 브리지 dc-dc 컨버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dc-dc 컨버터의 구조와 제어 방식을 소개하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회로의 타당성을 확인한다.

  • PDF

Quasi-Resonant Boost-Half-Bridge Converter with Reduced Turn-off Switching Losses for Fuel Cell Application (연료전지 응용을 위한 낮은 턴오프 전류를 갖는 준공진형 부스트 하프브리지 컨버터)

  • Park, Chansoo;Choi, Sewan;Na, Jaehyeong;Lee, JinHee;Lee,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07a
    • /
    • pp.31-32
    • /
    • 2012
  • 능동클램프 타입의 전류원 컨버터는 입력전류 리플이 작으며 클램프로 서지제거는 물론 스위치의 ZVS 턴온을 가능하게 한다. 그 중 부스트 하프브리지 컨버터는 변압기 턴비와 다이오드 정격이 낮고 모든 소자가 대칭적 구조를 가지며 변압기의 마그네타이징 오프셋이 없으므로 연료전지와 같은 대전류 고승압 응용에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준공진 기법을 적용하여 스위치 턴오프 전류를 크게 감소시킨 능동클램프 타입의 부스트 하프브리지 컨버터를 제안한다. 16V, 1.2kW급 시작품으로 기존 방식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제안하는 방식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 PDF

Light-load Efficiency Optimization Control Strategy for Active Clamp Forward Converter (액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에 적용 가능한 경부하 효율 최적화 제어 기법)

  • Kim, Dongmin;Lee, Young-Dal;Kim, Chong-Eun;Moon, Gun-W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20.08a
    • /
    • pp.142-144
    • /
    • 2020
  • 본 논문은 액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ACFC)에 적용 가능한 경부하 조건 효율 최적화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액티브 클램프 포워드 컨버터는 경부하 조건에서 과도한 프리휠링 전류로 인해 큰 도통 손실이 발생하여 높은 효율을 기대하기가 어렵다. 제안하는 제어 방식은 복잡한 추가 회로 없이도 전도 손실을 줄이면서 경부하 효율을 유의미하게 개선할 수 있다. 제안하는 제어 방식의 실현 가능성 및 성능은 범용 AC 입력 및 65W 최대 출력에서 설계된 USB PD 어댑터 프로토타입 회로 구성을 통하여 실험 검증된다.

  • PDF

A Experiment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gle of a Locker and the Clamping Force of Wedge Type Rail Clamp (Locker의 물림각과 쐐기형 레일클램프의 압착력에 관한 실험적 고찰)

  • Han Dong-Seop;Shim Jae- Joon;Han Geun- Jo;Lee Kwo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5.10a
    • /
    • pp.247-252
    • /
    • 2005
  • The wedge type rail clamp has the operating mechanism: First, the jaw pad clamps a rail with small clamping force Next as the wind speed increases, the clamping force of the jaw pad is increased by the wedge. In order to design the wedge type rail clamp, we need to determine the proper wedge angle to minimize the sliding distance of a roller and the proper clamping angle of a locker to generate the initial clamping force of a jaw pad. The researches for the proper wedge angle have conducted, and in this study we conducted the investigation to determine the proper clamping angle of a locker in the rail clamp with wedge angle of $10^{\circ}$. Because the initial damping force of the jaw pad was determined by the clamping angle of the locker, in order to carry out the clamping force of a jaw pad, we measured the locking force applied to a locker with respect to the clamping angle of a locker, such as $3^{\circ},\;4^{\circ},\;5^{\circ},\;6^{\circ},\;$ using a pressure gauge,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e FEA resul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