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크랙선단

Search Result 3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상하좌우 대칭으로 분포된 작은 크랙근방에서의 중앙크랙의 역학적 거동

  • 조재웅;이억섭;김상철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4 no.4
    • /
    • pp.873-882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작은 크랙이 중앙 크랙선단 주위에 대칭으로 배치 분포되어 있 는 유한 평판의 경우에 대한 것으로, 우선 균일분포하중을 받는 정방형판에 분포크랙 이 있는 경우 분포크랙의 위치에 따른 중앙 크랙 선단에서의 응력확대계수의 변화를 유한요소법으로 해석하여 등응력확대계수 곡선들로 나타냈다. 그리고 크랙들 사이의 상호 간섭에 의해 일어나는 소성영역도 고려하여 그 안정성을 검토하여 보았는데, 특 히 크랙들이 서로 가까와 지면 그 크랙들 간에 상호간섭이 커져 소성영격이 크랙선단 주위에 크게 발생되므로써 크랙들은 쉽게 연결되고 합체로 인한 크랙성장이 되어 파괴 됨을 예측할 수 있고 중앙 크랙선단 주위의 분포크랙의 위치에 따른 소성영역 변화도 유한요소법으로 해석하여 도식적으로 나타냈다.

Analysis of Fatigue Crack Opening: Belhlavioll Using Direct Measuring Method (직접측정법에 의한 피로크랙 개구거동의 해석)

  • Song, Sam-Hong;Kim, Hyu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6 no.8
    • /
    • pp.1493-1502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loading variables on fatigue crack opening behavior, using structural steel SS41. To use various stress ratios, three kinds of the methods varying stress ratio were used; .DELTA.P const., P$_{max}$ const., and P$_{min}$ const.. To measure the opening load, the direct measuring method which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wo micro indentations 20 .mu.m behind crack tip and the elastic compliance method were used. As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obtained. First, using the direct measuring method, it was possible to measure the COD at any location behind crack tip. Second, as measuring point becomes farther from crack tip, opening load becomes smaller. Third, the acceleration of da/dN near notch is due to crack opening behavior. Finally, opening ratio is a function of not only R, but .DELTA.K.K.K.

과대, 과소응력하에서의 피로크랙발생 전파거동(I)

  • 송삼홍;원시태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9 no.3
    • /
    • pp.301-308
    • /
    • 1985
  • 본 논문에서는 불규칙 하중을 받는 부재에 대한 연구의 고초로서 간단한 응력 모델을 설정하고 이들 변동응력이 가해지는 시기를 명확히 구분하여 크랙전파곡선의 거동을 고찰하였다. 특히 부하되는 응력 진폭의 크기에 따라서 크랙선단부의 미시적 인 변화의 크기가 다르고 이로인하여 크랙전파에 대한 피해의 정도가 달라진다고 하면 크랙전파의 지연 및 가속현상이 나타날 것이 예측이 되고 따라서 이때 나타나는 피해 정도의 크기를 미소 경도치로 환산하여 그것과 피로크랙 전파 특성과를 비교 검토 하 였다.

Fatigue Short Cracks-Critical Aspect of Non-Propagation and Tolerant Microflaw (피로 미소크랙의 정류현상과 허용결함 크기와의 관계)

  • Kim, Min Gun
    • Journal of Industrial Technology
    • /
    • v.8
    • /
    • pp.39-46
    • /
    • 1988
  • 탄소강 평활재 및 미소결함재를 사용하여, 미소 정류크랙의 크랙 개폐구거동의 상세한 관찰과 초기결함을 상정한 미소 원공과의 상호 한계크기의 비교 검토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평활재의 정규크랙은, 피로과정중에 압축잔류응역이 크랙선단의 개구를 억제하는 것에 의하여 정류하게 되고, 그 크기는 평활재의 피로한도를 저하시키지 않은 미소 원공의 한계크기와 거의 일치하여, 두 경우가 역학적으로 거의 등가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 PDF

A Study on Evaluation of Crack Opening Point in Fatigue Crack Propagation Course ( I );Measurement of Crack Opening Point by Experiment (피로크랙 진전과정에서의 크랙열림점 평가에 관한 연구(I))

  • 최병기;윤한용;박창언;정태권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5 no.3
    • /
    • pp.924-930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크립게이지와 스트레인게이지를 사용하여 정확한 크랙 열림점 의 값을 제시하고져 한다.

Photoelastic Analysis of Stress Field in the Neighborhood of a Mixed Mode Crack Tip (혼합모드 크랙 선단응력의 광탄성해석)

  • 백태현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6 no.11
    • /
    • pp.2072-2081
    • /
    • 1992
  • Theoretical fringe patterns were calculated and regenerated by using power series type Williams equations and coefficients estimated from the photoelastic data. Results of calculated values were evaluated by comparing experimental data points with the regenerated theoretical fringe loops. Statistical accuracy evaluation between regenerated fringe values and experimental ones showed that standard deviation was minimum and correlation coefficient was maximum when the first four terms of Wiliams equations were used.

A Study on Evaluation of Crack Opening Point in Fatigue Crack Propagation Course (II);Parameter Sensitivity Study of Crack Opening Ratio by Using Numerical Calculation (피로크랙 진전과정에서의 크랙열림점 평가에 관한 연구(II))

  • 최병기;윤한용;박창언;정태권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5 no.3
    • /
    • pp.931-935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유효응력확대계수로서 피로크랙 진전수명을 평가할 수 이용되 는 크랙열림비(본 논문에서는 후술하는 최대응력에 대한 크랙 열림응력의 비를 크랙 열림비로 하다)가 진전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것으로서, 제1보에서는 실 험에 의하여 크랙 열림점을 실측한 결과 측정입치에 따라 다른 값을 나타내며 수명평 가법 크랙 선단으로부터 떨어진 곳(크립게이지를 이용한 크랙마우스등)에서 측정한 크 랙 열림점 값을 이용함이 보다 정확함을 밝혔다.본 제2보에서는 크랙열림비가 수명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상기의 파라미터 영향도 평가수법을 이용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Various Dynamic Behavior of Three Point Bend Specimens under Rapid Loading (빠른 하중을 받고 있는 3점 굽힘 시험편들의 다양한 동적거동)

  • Lee, Ouk-Sub;Cho, Jae-Ung;Han, Moon-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6 no.4 s.97
    • /
    • pp.178-188
    • /
    • 1999
  • 충격하중을 받는 시험편 높이의 1/4 길이의 notch를 가진 3점 굽힘시험편들의 기계적 거동에 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하고 이 시뮬레이션에 대한 실험적 검증도 하여 그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시험편들의 양쪽 가장자리(지지점)에서 작용되어지는 여러 가지의 하중속도에 대한 경우들과 탄소성 von Mises 재질인 모델들을 시뮬레이션에 포함시켰으며 이들에 대한 결과들을 간극 개구 변위, 반력, 크랙선단 개구 변위 및 변형률등이 속도에 의존되는 재질(점소성 재질)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여러가지의 동적 하중을 받는 상황하에서의 안정성이 본 연구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비교되었으며 그 차이점들이 규명되었다.

  • PDF

Evaluaton of Fatigue Crack Propagation Rate Using Parameter of Fatigue Strain Intensity Factor (피로변형확대계수 $\Delta$A를 이용한 피로크랙 전파속도 평가)

  • 박영철;오세욱;허정원;권혁동;김영광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5 no.2
    • /
    • pp.76-84
    • /
    • 1991
  • 본 연구는 피로수명 평가를 위한 새로운 파괴역학적 parameter의 확립에 관한 연구이다. 실질적으로 피로파괴가 일어나는 피로 균열선단의 국소영역에서 변형분포를 미소원형격자측정법을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명확히 밝혀내었다. 그리고 이 결과를 기초로 하여 국소피로 변형율장을 대표할 수 있는 피로변형율 확대계수 $\Delta$A를 제안하였다. 또한 새로운 parameter $\Delta$A의 유효성을 여러 피로조건에서 검토한 결과, 균열선단 국소 영역에서 피로 변형율 확대계수 $\Delta$A에 의하여 피로 균열전파 속도평가를 일의적으로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Evaluation of the Stress Intensity Factor for a Crack in Bimaterial Plate by the Boundary Method (경계요소법에 의한 이종재료내 크랙의 응력확대계수 평가)

  • Kim, Sang-Cheol;Im, Won-G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9 no.2
    • /
    • pp.108-115
    • /
    • 1992
  • 이종재료의 접합면에 수직으로 존재하는 크랙에 대하여 경계요소 해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 실용가능한 수치 근사해을 얻을 수 있었다. 크랙을 정확히 모델링하기 위하여 크랙표면을 분리영역으로 하는 영역분할법을 채택하였으며, 해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등매개 2차요소로의 경계분할과 함께 크랙선단에서 표면력의 특이성을 나타내도록 하였다. 응력확대계수는 크랙표면상 절점의 상대변위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또한 이종 재료내 크랙에 대하여 응력확대계수를 간단히 구할 수 있는 간편해석법을 제안하고 이의 적용 가능한 범위를 제 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