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쾌적설정온도

Search Result 2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n Approach of Indoor thermal Environment Control and Energy Saving Using the PMV Index (PMV지표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난방제어에 따른 온열환경 및 에너지소비량 시뮬레이션)

  • Seong, Nam-Chul;Yoon, Dong-Won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 no.1
    • /
    • pp.19-25
    • /
    • 2010
  • Thermal comfort provide satisfaction of thermal environment and affects productivity of occupants in residential building. However, temperature control can not provide the thermal comfort at all the time. because thermal comfort is influenced by many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ir velocity, radiation temperature, activity level and clothing ins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predicted mean vote(PMV) index is used as control. And, Thermal comfort is evaluated both PMV control and temperature control by simulation. Each other cases were compared, in which set-point temperatures of $22^{\circ}C$ and $24^{\circ}C$ and, set-point PMV index through the respective heating season in the simulation. The results show that PMV control is better to maintain comfort state and save energy than temperature control.

Evaluation of Thermal Comfort for the Vertical Room Air Temperature Difference and for the Control of Air Stream based on Physiological Signal Analysis (실내 상하온도차와 기류방식 제어에 따른 온열쾌적성 평가를 위한 생리신호분석)

  • 이낙법;임재중;배동석;금종수;최호선;이구형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 no.1
    • /
    • pp.147-155
    • /
    • 1999
  • 온열쾌적감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들로는 온도, 습도, 기류 등의 물리적 요인과 성별이나 체질 등 뿐만 아니라 온열환경에서 느끼는 인간의 감성적인 측면도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온열 환경 중에서 실내의 상하온도차와 기류방식의 제어에 따른 생체반응의 변화, 및 감성의 변화를 관찰하여 온열환경에 따른 인간의 온열쾌적감을 평가하기 위해 생리신호를 측정, 분석하였다. 인간에게 가장 쾌적함을 주는 최적의 실내 상하온도차와 기류제어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평가방법으로 MST(mean skin temperature)분석 및 HRV(heart rate variability) 분석과 EEG 주파수 스펙트럼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실내의 상하온도차는 23$^{\circ}C$의 머리부위 온도에서 발 부위와의 온도차가 -3$^{\circ}C$일 때 가장 쾌적한 조건으로 나타났고, 기류제어방식은 감성기류조건에서 가장 쾌적함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실내의 상하온도차와 기류방식에 대한 온열환경의 쾌적조건을 설정하였고, HRV 분석과 EEG의 주파수 분석이 주판신소설문평가와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어 이러한 생리신호의 분석이 인간의 감성적 측면을 고려한 온열쾌적성을 펑가하는데 보다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평가지표로 이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Evaluation of Thermal Comfort on Air Flow Velocity Changes using HRV Analysis (기류속도 변화에 따른 온열쾌적성 평가를 위한 HRV 분석)

  • 이낙범;배동석;임재중;이기섭;금종수;이구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03a
    • /
    • pp.163-167
    • /
    • 1999
  • 사회와 생활수준의 발달로 인간은 자연환경하에서 생활보다 인공적 환경하에서의 생활이 증가하게 되었다. 따라서 인간은 쾌적한 생활공간을 요구하게 되었고 이를 위한 온열환경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져 왔다. 이러한 생활공간에서의 쾌적한 온열환경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요인으로는 온도와 습도 그리고 기류 등이 있다. 또한 온열환경에 대한 인간의 감성적 측면도 쾌적한 온열환경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겨울철 대류난방시 인간에게 가장 쾌적한 환경을 제시할 수 있는 기류 속도의 범위를 찾고, 이를 평가하는데 객관적인 지표를 설정하기 위해 온도에 따른 기류조건을 제시하고, HRV 분석을 통하여 인체의 자율신경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18$^{\circ}C$, 21$^{\circ}C$, 24$^{\circ}C$ 각각의 온도에서 draft를 초래하지 않는 0.15m/sec의 기류속도일 때 가장 높은 MF/(LF+HF) 값을 보여 쾌적한 기류조건으로 나타났고 이는 쾌불쾌감신고(CSV)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심전도 신호를 통한 HRV 분석은 기류조건에 따른 온열쾌적성의 평가에도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지표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른 환경하에서의 감성평가 척도로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어진다.

  • PDF

Evaluation of Thermal Comfort in Ceiling Heating System (천장복사난방이 인체에 미치는 쾌적성 평가에 관한 연구)

  • 이주연;이소다노리오;조관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104-108
    • /
    • 2001
  • 복사에 의한 냉난방은, 장시간 재실하는 방이나 소음, 기류에 민감한 장소에 적합하고 에너지 절약면에서도 유효한 냉난방 방식이라고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바닥난방은 실온의 수직분포가 균일함으로서 인체에 쾌적한 난방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에 비해, 바닥의외의 벽, 천장을 활용한 냉난방설비의 쾌적성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히 검토되고 잇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물순환식 복사 냉난방장치를 이용하여 겨울철의 천장복사난방이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심리적영향을 밝히고 복사난방의 유용성에 대해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험은 일본 나라여자대학 인공기후실을 이용하였고, 실험조건은 실온 18$^{\circ}C$, 21$^{\circ}C$, 24$^{\circ}C$ 천장온도 $25^{\circ}C$, 3$0^{\circ}C$, 35$^{\circ}C$의 조건을 조합하여 7조건으로 설정하였다. 또, 상대 습도 40%, 기류속도 0.1m/s 이하로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생리적반응으로는 피부온14점과 직장온을 30초 간격으로 측정하였고, 혈압, 심박수, 체중, 체지방율을 측정하고 심리적반응으로는 온열감, 쾌적감등의 항목을 10분간격으로 측정하였다.

  • PDF

비타민 E 섬유가 인체생리 반응에 미치는 영향

  • Lim, Sun;Jeong, Myeong-Hui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4.04a
    • /
    • pp.87-88
    • /
    • 2004
  • 본 연구는 피부의 노화방지 및 미백 효과에 탁월한 비타민 E를 섬유에 부착시켜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반응을 보기 위하여 온열감, 습윤감, 쾌적감의 주관적 감각평가와 심박수, 피부온, 의복내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였다. 연구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은 온도 30±1℃, 상대습도 50±15%, 기류 0.2m/s 이하로 설정된 인공기수실에서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평균연령 21세의 건강한 성인여자 5명으로, 체중, 신장 및 체표면적의 평균치는 52.2㎏, 161.2cm 및 155㎡이다. (중략)

  • PDF

A Study on Estimating Reduction of Heating Energy and CO2 by Indoor Setting Temperature with Clo (착의량별 실내설정온도에 따른 난방에너지 및 온실가스 저감량 산정 연구)

  • Yoon, Jong-Ho;Lee, Chul-Sung;Kim, Hyo-Jung;Park, Jae-Wan;Shin, U-Chul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4a
    • /
    • pp.115-120
    • /
    • 2009
  • The studies for mechanical performance development have been examined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in building construction field. However, The energy consumption using in building for heating is impacted by not only system performance but also PMV particularly at temperature and clo. Most energy using in building part is mainly consumed for heating and cooling to keep comfort temperature. Heating energy consumption is bigger than cooling energy in Korea because of temperature difference in winter in comparison with summer at apartment building. This means that energy consumption can be changed by occupancy's comfort setting temperature in apartment building. This study evaluate actual comfort temperature range by clo and examined heating energy consumption by Esp-r and CO2 reduction possibility. The results show that keeping ASHRAE standards can reduce heating energy up to 23%; also, wearing underclothes with ASHRAE standard can reduce heating energy up to 47.8%. Option 4 showing Maximum CO2 emission reduction indicates that kerosene. LNG and electricity can reduce 1.5t, 1.7t, 2.46t respectively in comparison with option 2.

  • PDF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Heating Energy and CO2 Reduction depending on a Indoor Set Temperature and Clo value (착의량과 실내설정온도 관계에 따른 난방에너지 및 온실가스저감량 평가 연구)

  • Lee, Chul-Sung;Yoon, Jong-Ho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30 no.4
    • /
    • pp.49-54
    • /
    • 2010
  • Most energy using in building part is mainly consumed for heating and cooling to meet occupancy's comfort temperature. Generally, heating energy consumption show high value than cooling energy in Korea because of high temperature difference in winter season as compared with summer in apartment building. The efforts to develope mechanical performance have been studied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in building energy field until now. However, the energy consumption in building is impacted by not only system performance but also PMV particularly at temperature and Clo value. This means that energy consumption can be changed by occupancy's comfort setting temperature in apartment build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assibility of overheating in apartment building by occupant' slow Clo and its setting temperature from preceding research and then the heating energy consumption by setting temperature was calculated with ESP-r. The effects of heating energy and $CO_2$ reduction are also evaluated quantitatively with Clo value. The results showed that keeping ISO-7730 standards can reduce heating energy up to 21% in compared with option 2; also, wearing underclothes with ISO-7730 standard can considerably reduce heating energy consumption up to 50%. As compared with option 2, the reduction of $CO_2$ emission for option 3 showed 0.63TCO2 of kerosene, 0.49TCO2 of LNG and 1.09TCO2 of electricity. The option 4 can be reduced by 1.48TCO2 of kerosene, 1.16TCO2 of LNG and 2.57TCO2 of electricity respectively.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imulation-based Simplified PMV Regression Model for Indoor Thermal Comfort Control (실내 온열환경 쾌적 제어를 위한 단순 PMV 회귀모델의 적용에 관한 시뮬레이션 연구)

  • Kim, Sang-Hun;Yun, Sung-Jun;Chung, Kwang-Seop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4 no.1
    • /
    • pp.69-77
    • /
    • 2015
  • The PMV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is model based on a database of the PMV variables. PMV regression model simplification was completed through sensitivity and data analysis. The simplified PMV regression model's and Fanger PMV model was confirmed through MAE and RMSE. And the EMS in EnergyPlus was used to establish a simplified PMV regression analysis-based thermal comfort control. Also, the thermal comfort controls based on simplified PMV model and the Fanger PMV model were applied to the building model, it was confirmed that both controls met the thermal comfort range in more than 90% of cases during the air conditioning period.

Evaluation of Comfort Performance for Modernized Hanok: Targeting Hanok Residence at the Jamjeong-Haetsal Village in Hwasun, Jeonnam Province (신한옥의 쾌적성능 평가: 전남 화순 잠정햇살마을 한옥단지를 대상으로)

  • Choe, Seung-Ju;Lee, Mihyang;Kim, Jae-Hyang;Han, Seung-Hoon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2 no.2
    • /
    • pp.99-108
    • /
    • 2021
  • With increasing interest in living in hanoks, there's a growing need for more quantitative data on the thermal comfort performance of modern hanoks. With that in mind, this research project studied a modern hanok located in Jamjeong-Haetsal Village in Hwasun, Jeollanam Province as a case study to evaluate the Predicted Mean Vote (PMV) of modernized hanoks. Based on environmental data collected at the hanok and computer simulation both Life-Cycle PMV (L.C.PMV) and Normal PMV (N.PMV) were calculated for the hanok. Study results showed that during the summer and winter seasons the PMV and heat index at major heat and major cold weather points significantly deviated from the comfort zone. The rate of change in PMV was also greater in the winter than in the summer. The study found that the modern hanok lacks proper thermal insulation for maintaining thermal comfort.

Heated-Glass Temperature Control System by using TRIAC ON/OFF Method (TRIAC ON/OFF를 통한 4kW급 발열유리 온도 제어 시스템)

  • Lee, Su-Hyeong;Lee, Chang-Yeol;Kim, In-Dong;Nho, Eui-Cheol;Choi, Changh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07a
    • /
    • pp.238-239
    • /
    • 2011
  • 겨울철이나 추운지역에서는 선박용 및 건축용의 창유리에 결로, 결빙현상이 쉽게 발생하고 쾌적한 시야확보 및 청결유지를 방해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발열유리 온도제어 시스템을 사용한다. 기존의 아날로그 발열유리 시스템은 정확한 온도설정, 상태표시 및 고장검지가 어렵다. 또한 통신에 의한 중앙제어가 어렵다. 이와 같은 기존시스템의 단점을 해결하기위해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한 TRIAC제어를 이용하여 4[kW]급 발열유리의 온도제어 시스템을 설계한다. 그리고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확인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