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Comfort Performance for Modernized Hanok: Targeting Hanok Residence at the Jamjeong-Haetsal Village in Hwasun, Jeonnam Province

신한옥의 쾌적성능 평가: 전남 화순 잠정햇살마을 한옥단지를 대상으로

  • 최승주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토목공학과) ;
  • 이미향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 김재향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토목공학과) ;
  • 한승훈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Received : 2021.06.29
  • Accepted : 2021.07.15
  • Published : 2021.07.30

Abstract

With increasing interest in living in hanoks, there's a growing need for more quantitative data on the thermal comfort performance of modern hanoks. With that in mind, this research project studied a modern hanok located in Jamjeong-Haetsal Village in Hwasun, Jeollanam Province as a case study to evaluate the Predicted Mean Vote (PMV) of modernized hanoks. Based on environmental data collected at the hanok and computer simulation both Life-Cycle PMV (L.C.PMV) and Normal PMV (N.PMV) were calculated for the hanok. Study results showed that during the summer and winter seasons the PMV and heat index at major heat and major cold weather points significantly deviated from the comfort zone. The rate of change in PMV was also greater in the winter than in the summer. The study found that the modern hanok lacks proper thermal insulation for maintaining thermal comfort.

이 연구의 목적은 한옥 거주환경의 쾌적성능에 대한 정량적 자료를 제시하고 개선 요인을 도출하는 데 있다. 먼저 정책적 성공사례로서 현대(신(新))한옥의 하나인 전남 화순군 잠정햇살마을 한옥단지를 대상으로 건구온도, 복사온도, 상대습도, 풍속 등 열쾌적성 평가의 영향 요소를 측정했다. 이어 도출 데이터를 적용하여 PMV(Predicted Mean Vote)를 산출하는 열환경 시험을 수행했으며, 사용자 대사율과 의복량을 변수로 설정하여 L.C.PMV(Life-Cycle PMV)와 N.PMV(Normal PMV)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평가를 진행했다. 그 결과, 여름 및 겨울철 시점을 전후하여 한옥 공간의 PMV 증감 동향이 뚜렷했으며, 특히 대서 및 대한 시점의 PMV는 쾌적구간을 완전히 벗어난다는 시험 결과를 확인했다. 아울러 겨울철 PMV의 변화 속도가 여름철보다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신한옥의 쾌적성능 증진을 위해 단열성 개선이 우선 요인임이 도출되었으며, 설계 및 시공 단계에서 연계 검토가 요구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국토교통부 도시건축연구사업 한옥기술개발연구(21AUDP-B128638-05)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중견연구(NRF-2021R1A2C2011893)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건축공간연구원(2017), 「2017 한옥 통계백서」.
  2. 건축도시공간연구소(2016), 「한옥동향보고서」.
  3. 고효진(2007), "PMV를 이용한 거주자 위치 기반 냉난방 제어 알고리즘", 「한국정밀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07(11): 55~56.
  4. 국가한옥센터(2021), 「대국민 한옥인식 및 수요특성조사」.
  5. 금성건축(2011), 「화순잠정지구 조성공사 설계설명서」.
  6. 농림수산식품부(2009), 「농어촌뉴타운조성사업 시행지침」.
  7. 소진섭(2014), "전동차 실내 PMV 측정 분석",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2(1): 147~150.
  8. 윤용한(2014), "학교 운동장과 녹지공간의 UTCI, PMV, WBGT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8(1): 80~89. https://doi.org/10.13047/KJEE.2014.28.1.80
  9. 한석종(2012), "농촌이주를 고려한 도농복합마을 기반방안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10. 한창우(2006), "강의실에서 환기시스템과 난방시스템의 풍량에 따른 PMV와 CO2 농도 특성 비교",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6: 411~416.
  11. 화순군(2010), 「화순 잠정지구 농어촌뉴타운조성사업을 위한 기본계획」.
  12. American Society of Heating (2010),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thermal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human occupancy (ASHRAE Standard 55-2010)".
  13.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984), "Moderate thermal environment : Determination of the PMV and PPD indices and specification of the conditions for thermal comfort (ISO 7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