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쾌락적 소비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6초

카셰어링 서비스의 쇼핑가치가 브랜드 충성도 및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opping Value of Car Sharing Service on Brand Loyalty and Intention to Use)

  • 송정란;김준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27-133
    • /
    • 2018
  • 최근 공유경제의 관심과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카셰어링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카셰어링 서비스에 대해 소비자가 인지한 쇼핑가치가 브랜드 충성도 및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이러한 관계를 각각 실용적(utilitarian), 쾌락적(hedonic) 쇼핑가치로 구분하여 비교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364명의 카셰어링 이용자로부터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용적 쇼핑가치와 쾌락적 쇼핑가치가 모두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충성도는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카셰어링의 이용 상황을 소비 속성을 고려하여 지각된 쇼핑가치를 제안한 점에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공유경제에 대한 소비자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한 것을 함의한다.

골프웨어 브랜드의 소비가치가 태도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sumption value of golf wear brands on attitude and purchasing behavior)

  • 신진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743-750
    • /
    • 2023
  • 본 연구는 골프웨어 브랜드 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골프웨어 브랜드의 소비가치가 태도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 국민들 중 골프웨어를 구매했던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표본으로 선정했으며, 496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도입했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빈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및 내적일관성을 실시했다. 더불어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으며, 모든 자료처리는 SPSS(ver. 21.0) 프로그램을 활용했다. 본 연구 결과, 첫 번째로 골프웨어 브랜드의 소비가치가 쾌락성, 심미성, 상징성 순으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웨어 브랜드의 태도가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웨어 브랜드의 소비가치가 쾌락성, 심미성, 상징성 순으로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소비자의 인터넷탐색가치유형과 인터넷쇼핑에 대한 혜택-위험 지각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vel of Perception to Internet Shopping′ Benefit - Risk in Relation to the Internet Searching Value Types of College Student Consumers)

  • 홍은실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61-173
    • /
    • 2002
  • This study explored the Internet searching values(utilitarian searching value and hedonic searching value) of college student consumers, typed the Internet searching values to four types, and analysed the level of perception to Internet shopping' benefit-risk according to the Internet searching value types. The subjects were 361 college students. We used Cronbach'$\alpha$, multiple regression,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as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According to the Internet searching values, college student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 high utilitarian/high hedonic type, high utilitarian/low hedonic type, low utilitarian/high hedonic type, and low utilitarian/low hedonic type. 2) Both high utilitarian/high hedonic type and low utilitarian/high hedonic type had high level of perception to Internet shopping' benefit-risk.

대학생의 쇼핑가치유형 및 소비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Consumption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Shopping Value Types of College Students)

  • 서인주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4권3호
    • /
    • pp.1-1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consumer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shopping value, (2) to reveal the effects of shopping value on consumer competenc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6 university students dwelling in Seoul. A questionnaire was used as the survey method. The data was analyzed by Cronbach's alpha, frequencies, percentile, mean, factor analysis, K-mean cluster analysis, t-test,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s, multiple linear regressions. Computations were conducted by SPSS WIN 12.0. The study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college students can be categorized into 3 shopping values by K-means Cluster analysis of 13 items: the hedonic shopper (shopping value), the utilitarian shopper (shopping value) and the balanced shopper (shopping valu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ades, satisfaction with life and shopping value. That is, grade 3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group had a higher level of consumer competency. Third, the variable that influenced consumer competency was the utilitarian shopping value, influencing consumer attitude and consumer skill. These results imply that consumers should be constantly educated and that there needs to be a campaign to promote utilitarian shopping value.

  • PDF

식품 소비 성향에 따른 토종닭 구매요인 분석 (The Consumption Patterns of Korean Native Chicken)

  • 박서영;김나영;최수현;문정훈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47-254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토종닭 시장의 활성화 방안을 찾고자 실제 구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토종닭 구매에 영향을 주는 개인의 식품 소비 성향을 살펴보았다. 농촌진흥청에서 주관하는 소비자패널 654가구를 대상으로 친숙한 브랜드 소비 정도, HACCP 및 GAP 제품 구매 정도를 토대로 한, 식품 안전 중시 소비 정도, 쾌락적 제품 구매 정도를 토대로 한, 건강 중시 소비 정도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익숙한 브랜드를 주로 소비하면서, 식품안전과 건강을 중요시하는 소비패턴을 보이는 전업주부일수록 토종닭을 지속적으로 구매할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식품안전을 우려하는 성향이 높을수록 토종닭의 첫 구매자로 연결될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저조한 토종닭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토종닭에 대한 안전성을 강조하여 마케팅한다면, 토종닭을 처음 구매하는 소비자의 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프랑스 토종닭 인증제도 및 브랜드 사례와 같이, 토종닭 자체 브랜드의 반복적 노출 및 강조 그리고 토종닭의 건강적 이점을 강조하여 마케팅한다면 토종닭 소비층의 구매 의사 상승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공신력 있는 인증제도를 통해 건강과 안전을 중시하는 소비자의 구매 의사를 자극시킬 수 있으며, 저조한 국내 토종닭 시장 점유율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온 오프라인 환경에 따른 경험의 활용과 경험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 Design and Practical Use of Experience by On- and Off-Line Environment)

  • 윤세균;김태균;김민수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5-14
    • /
    • 2005
  • 과거의 소비자는 있어야 하는 진에 대한 결핍상태로부터 원래의 균형상태로 나아가고자 하는 공리적(utilitarian)이고 방어적인(defensive) 소비를 추구하였다. 그러나 오늘날의 소비자는 이를 넘어서서, 감각(sensation) 그 자체는 아닐지라도 쾌락적(hedonic)이고 창의적인(creative) 이유로 더 많은 소비를 하고 있다. 제품, 서비스의 특징이나 사용편익, 품질 등을 통해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소비에서 제품, 서비스 등이 제공하는 독특한 가치체계와 생활양식 그리고 이를 사용하면서 얻게 되는 총체적인 '경험(experience)'을 더 중요하게 추구하는 '경험소비의 시대'를 맞게 된 것이다. 오늘날 경험은 온 오프라인을 아우르는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기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는 디자인의 영역에서도 경험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험디자인(experience design)을 탄생시켰고, 그에 대한 기초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경험디자인이 어떠한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어떠한 목적을 가지고 있는지 조차 이해하지 못한 채 수행되는 연구나 적용은 그 과정이나 방법이 본질을 벗어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 경험을 경제적 가치로 인식하고 이를 실질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경험의 활용 개념과 한계를 밝혀 디자인 영역에서 적용될 수 있는 경험의 의미적 체계를 확립하고 수용되고 소통될 수 있는 경험디자인의 개념과 목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환경에서 활용되는 경험의 주된 개념은 오프라인 환경에 익숙해져 있는 사용자 경험을 온라인 환경에 반영하여 그 환경을 친밀감 있고 익숙하게 구현해줌으로써 그 매체를 사용자가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사용성 증진을 위한 개념임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사용자를 놀랍게 만든다 거나 흥미와 재미를 유발시키는 경험이 아니라 사용자를 편하게 만들 수 있는 경험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오프라인 환경에서 활용되는 경험의 개념은 사용자의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도구로써, 미래지향적 새로운 소비자 가치를 창조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요약될 수 있었다. 이는 소비자 행동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더욱 뛰어난 감각적 경험과 감성적 경험 등을 복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소비 경험을 극대화하고 고정된 제품 특성에서 확장된 새로운 경험을 창조하도록 하여 기존 경험을 강화하고자 한다. 또 즐거움과 재미, 기타 독특한 체험을 통해 소비자에게 유희라는 쾌락적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역할완화 소비: 선행변수로서의 소비관련 변수와 결과변수로서의 패션의식 (Role-relaxed consumption: Consumption related variables as antecedents and fashion consciousness as a consequence)

  • 박혜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22권3호
    • /
    • pp.411-43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 of role-relaxed consumption. Consumption-related variables were considered as antecedents, and fashion-related variable was considered as a consequence. Hedonic consumption, impulse buying, value consciousness, and brand sensitivity were included as consumption-related variables and fashion consciousness was included as a fashion-related variable. It was hypothesized that hedonic consumption, impulse buying, value consciousness, and brand sensitivity influence rolerelaxed consumption and then influence fashion consciousness. Data were gathered by surveying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using convenience sampling. Two hundred twenty seven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SPS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AMOS. While hedonic consumption, impulse buying, value consciousness, and brand sensitivity were uni-dimensions, role-relaxed consumption and fashion consciousness were multi-dimensions. Factor analysis of role-relaxed consumption revealed two dimensions, 'self-centered decision making' factor and 'importance of intrinsic value' factor. In addition, factor analysis of fashion conscious revealed three dimensions, 'individualism' factor, 'dressing style' factor, and 'appearance' factor. Tests of the hypothesized path show that impulse buying and brand sensitivity negatively influence 'self-centered decision making' and that hedonic consumption and value consciousness negatively influence 'importance of intrinsic value'. While 'self-centered decision making'negatively influence 'dressing style' and 'appearance, 'importance of intrinsic value' negatively influences all factors of fashion consciousnes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also discussed.

코로나19 이후 문화예술경험에 따른 문화예술 소비성향 분석 - 문화예술 인식에 따른 차이분석 - (Analysis of art & culture consumption propensity according to art & culture experience after COVID19: analysis of differences by art & culture perception)

  • 소은혜
    • 예술경영연구
    • /
    • 제60호
    • /
    • pp.155-19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 인식에 따른 문화예술 경험이 문화예술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함이다. 이에 문화예술 소비자의 경험을 통해 나타나는 소비성향은 문화예술 마케팅 전략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으며, 문화예술을 향유하는 소비자의 행동을 측정하였다.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문화예술 소비자의 경험과 소비성향을 설문조사하였으며, 연구자료는 판단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행동, 감성, 관계요인이 쾌락적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행동, 감성, 감각, 관계 요인이 과시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행동, 감성적 요인은 계획적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를 통한 시사점은 첫째, 관계요인이 전반적인 소비성향에 부(-)의 영향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문화예술을 향유할 때 소비자의 불안감이 표출되었음을 시사한다. 둘째, 문화예술을 제공하는 아티스트에게 양질의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기업 및 소비자로부터 후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에는 문화예술을 향유하는 소비자 뿐 아니라, 문화예술을 제공하는 공급자, 아티스트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연구한다면 문화예술 생태계를 보다 심도 깊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와 컬래버레이션 제품반응에 대한 브랜드 신뢰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Trust on Consumers' Perceived Value and Collaboration Product Response)

  • 성정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255-260
    • /
    • 2021
  • 기업 간의 비교 우위를 판단하고 공유하여 상호 보완하고자 하는 컬래버레이션이 요즘은 동종 업계뿐 아니라 이종업계 간에 일상적이지 않은 새롭고 이색적인 컬래버레이션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는 즐거움과 재미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관심을 증대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색적인 컬래버레이션이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 수는 없으며 오히려 모든 기업들이 컬래버레이션을 하다보면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반응이 항상 긍정적일 수는 없기 때문에 소비자의 이해를 기반으로 소비가치와 브랜드 신뢰성을 통해 컬래버레이션의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대한 소비자반응을 탐색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브랜드 신뢰성이 컬래버레이션을 구매하고자 하려는 의도와 제품태도에 브랜드 신뢰성이 매개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가치와 브랜드 간의 협업제품에 대한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기업의 입장에서는 소비자의 이해를 기반으로 이색적인 컬래버레이션 전략을 통한 브랜드 관리와 전략을 수립하는데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실버 소비자의 친환경 제품에 대한 소비 가치가 만족도, 신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하이브리드 카를 중심으로 - (The Empirical Research on Relationship of Consumption Value, Satisfaction, Trust, Loyalty of Green Product in Elderly Consumer)

  • 허원무;안준희
    • 한국노년학
    • /
    • 제29권1호
    • /
    • pp.195-213
    • /
    • 2009
  • 본 연구는 실버 소비자들의 친환경 제품에 대해 소비가치가 만족과 신뢰를 통해 충성도로 이어지는 과정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표적인 친환경 제품인 하이브리드 카를 보유하고 있는 미국의 실버 소비자 314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서 연구를 수행했다. 분석 결과, 첫째, 실버 소비자들이 지각한 사회적 가치는 친환경 제품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쾌락적 가치는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친환경 제품의 기능적 가치와 친환경적 가치는 친환경 제품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친환경 제품에 대한 만족은 친환경 제품에 대한 신뢰로 이어졌다. 마지막으로 친환경 제품에 대한 신뢰는 친환경 제품에 대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실버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친환경 제품에 대한 신뢰와 충성도를 제고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연구를 위해 실버 소비자의 친환경 제품에 대한 소비가치를 도출하였고, 소비가치가 만족, 신뢰, 충성도로 연결되는 메커니즘을 분석함으로써 관계마케팅 차원에서 친환경 마케팅 접근 가능성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