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콜라겐

검색결과 521건 처리시간 0.028초

세드롤과 콜라겐 유래 펩타이드의 피부노화 개선효과 (Anti-aging Effects of Cedrol and Collagen-derived Peptide)

  • 류종성;조환일;원지희;전미나;권오선;원보미;임준만;이상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29-235
    • /
    • 2015
  • 피부 노화는 피부 표면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피부 표면의 미세구조와 연관이 있다. 피부 미세구조의 변화는 주름형성, 피부 톤 저하 등 다양한 피부 노화 현상을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주름 기능성 성분인 세드롤(Cedrol)과 콜라겐 유래 펩타이드 성분을 이용하여 시험관 수준(in vitro)에서 타입III 콜라겐 합성 시너지 효과를 평가하였다. 여성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4주 동안 상기 원료가 함유된 크림제품을 사용한 후 피부 미세구조, 스타 형상(star configurations), 보습, 탄력, 피부 밝기, 윤기, 피부 톤, 투명도를 평가하였다. 시험관 수준의 세드롤과 펩타이드를 동시에 처리하면 우수한 수준의 타입III 콜라겐 합성 시너지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크림제형을 이용한 인체적용 시험에서는 사용 4주 후부터 피부 미세구조, 스타형상, 윤기, 피부 톤, 보습, 탄력을 개선시켰으나, 피부 밝기 개선 효능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 주름 기능성 성분인 세드롤과 콜라겐 유래 펩타이드는 세포 수준에서 타입III 콜라겐 합성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화장품에 적용하여 시험한 결과 피부 노화 개선에 도움을 주는 성분임을 확인하였다.

콜라겐 수용액을 함유하는 역미셀의 제조 및 립 제품에 응용 (The Preparation of Reversed Micelle Containing Water Soluble Collagen Solution and Their Application on Lip Make up Products)

  • 김영호;정은지;이동원;이상길;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71-279
    • /
    • 2013
  • 립스틱의 보습력을 개선하기 위해 수용성 콜라겐(30 wt%)을 역미셀 방법으로 립스틱의 유상 내에 포접하였다. 콜라겐을 포함하는 역미셀은 외부상으로서 caprylic/capric triglyceride와 계면활성제인 polyoxyethylene(10) octylphenyl ether (Triton X-100)와 보조계면활성제로 aliphatic alcohol인 1-dodecanol을 이용하여 제조되었다. 콜라겐을 포접하는 역미셀의 형성 조건은 전기전도도와 methylene blue (MB)를 이용한 UV-vis spectrum을 통해 확인하였고, 콜라겐 포접체를 함유하는 역미셀의 립스틱에서 안정성 및 보습력은 레올로지 측정, 수분량 측정 및 아미노산 정량을 통해 확인하였다. 물과 계면활성제의 농도비인 W (water-pool), [$H_2O$]/[Triton X-100]는 10이하에서 안정한 역미셀이 형성되었다. 20 wt%의 콜라겐 포접 역미셀을 함유한 립스틱은 역미셀을 함유하지 않은 립스틱과 경도에서 큰 차이없이 안정하였으며, 수분량은 59%까지 개선되었고, 아미노산 함량은 92.7%였다.

콜라겐 트리펩타이드를 함유한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피부 광노화 예방 효과 (Beneficial effect of collagen hydrolysate containing collagen tripeptides on ultraviolet B-induced skin photoaging)

  • 김애향;하민우;김준일;박철;신용철;신대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466-472
    • /
    • 2019
  • 본 연구는 식용 어류로부터 획득한 콜라겐 중 Gly-Pro-Hyp를 주요 지표로 하는 고함량 콜라겐 트리펩타이드에 대한 피부의 광노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HaCaT 세포와 SKH-1 hairless 마우스를 활용한 전임상 실험을 실시하였다. HaCaT 세포는 UVB 조사 이후 Collagen 1A와 MMP-1 그리고 -13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마우스 실험은 총 50마리의 마우스를 5군으로 구분한 다음 NOR을 제외한 모든 마우스에 UVB를 조사하고 양성대조군인 retinoic acid 혹은 실험물질인 CTP (17, 34 mg/kg)를 섭취시키며 실험하였다. CTP는 HaCaT 세포의 Collagen 1A 증가 및 MMP-1와 -13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UVB 조사를 통해 증가된 실험동물의 피부 주름 수와 깊이 그리고 넓이를 현저히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CTP의 섭취는 UVB 조사에 따라 파괴된 피부조직 내 콜라겐의 양과 밀도를 정상적으로 회복시켰을 뿐만 아니라 Collagen 1A의 발현 증가 및 MMP1과 -13의 발현 감소를 유도함으로써 UVB 조사에 의한 주름 생성을 감소시킨 효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실험은 CTP 섭취가 콜라겐 붕괴에 관여하는 MMPs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키고 이와는 반대로 Collagen 1A의 발현은 증가시킴을 확인함으로써 피부 외관의 주름 수와 넓이 혹은 깊이를 개선시키는 것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셰이빙 스크랩으로부터 콜라겐 펩타이드계 공중합체 합성과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ollagen Peptide Based Copolymer from Shaving Scrap)

  • 박민석;신수범;김호수;김민수;김하선;장재혁;이진규;이동국
    • 공업화학
    • /
    • 제33권6호
    • /
    • pp.581-587
    • /
    • 2022
  • 피혁 산업은 매년 여러 유형의 유해한 피혁 폐기물을 발생시킨다. 그중에서, 셰이빙 스크랩은 크롬이 함유되어 있어 재활용하기 어렵다. 최근에 셰이빙 스크랩을 이용한 흡착제, 충전제 및 가금류 사료와 같은 다양한 부가가치 제품생산에 활용될 수 있는 많은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셰이빙 스크랩으로부터 콜라겐 펩타이드를 추출하고, 이들의 물성을 개선하여 새로운 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먼저,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셰이빙 스크랩에 포함된 크롬을 제거하였다. 그리고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여 농축 및 저온 결정화를 통해 정제하였다. 정제된 콜라겐 펩타이드 농축물을 스프레이 드라이어를 이용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추출 및 정제된 콜라겐 펩타이드와 methacrylic anhyride (MAA)를 반응시켜 이중결합을 도입하였으며, 1H 핵자기공명분광법으로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개질화 콜라겐 펩타이드에 2-ethylhexyl acrylate (2-EHA)와 레독스 중합하여 공중합체를 만들었으며, 적외선 분광분석으로 그라프트 여부를 정성적으로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피혁 폐기물인 셰이빙 스크랩으로부터 콜라겐 펩타이드를 추출한 후 일정한 처리를 통하여 새로운 친환경 재료로 전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가 콜라겐주입술을 이용한 성대구증환자의 치료

  • 최홍식;이준협;정유삼;임영창;김광문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8년도 제10회 학술대회 심포지움
    • /
    • pp.195-195
    • /
    • 1998
  • 성문부폐쇄부전(glottic insufficiency)를 수술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노력은 여러 형태(silicone, hydrogen gel, teflon, etc.)의 성대이물주입술, 갑상성형술등 다양하게 시도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성문부폐쇄부전은 여전히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로 남아있다. 여기에 1995년 Ford 등은 성문부폐쇄부전에 이은 음성장애치료의 새로운 접근방법으로 자가 콜라겐주입술(autologous collagen injection)을 소개하였다. (중략)

  • PDF

돌외 잎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증진 성분 규명 (Constituents of Collagen Synthesis Activation from the Extracts of Gynostemma pentaphyllum Leaves)

  • 임준환;장문식;정욱순;문미연;이하연;김영훈;이기용;이남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89-29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주름개선 화장품 원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돌외 잎 70%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섬유아세포 HDFn에 대하여 콜라겐 합성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돌외 추출물이 세포 독성 없이 농도 의존적으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함을 확인하였다. 돌외 추출물로부터 용매 분획 및 크로마토그래피 분리과정을 거쳐 2개의 활성 성분을 분리하였다. NMR 데이터 및 문헌치로 확인한 결과 이들은 플라보노이드 배당체인 Ombuine 3-O-rutinoside(1) 및 Quercetin 3-O-rutinoside(2)로 규명되었다. 섬유아세포의 type I procollagen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상기 화합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 결과는 화합물 1과 2를 함유한 돌외 추출물의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재조합 Vibrio parahaemolyticus 콜라겐분해효소의 분리 및 특성 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ecombinant Vibrio parahaemolyticus Collagenase)

  • 차재호;김수광;전인준;이재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08-313
    • /
    • 2003
  • 식중독 병원균인 장염비브리오균 (V. parahaemolyticus)의 세포외 분비 효소 중 콜라겐분해효소를 발현벡터인 pET-29b에 클로닝시키고 대장균에서 발현시킨 다음, 부분정제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V. parahaemolyticus collagenase는 $(NH_4)_2So_4$침전, affinity adsorption, 그리고 Sephacryl S-100 gel filtration 과정을 통하여 부분정제 되었다. 이 collagenase는 73%의 회수율과 43.7의 정제도를 나타내었으며, 전기영동시 분자량은 약 35 kDa로 나타났다. 이 효소의 최적 pH 및 온도는 6~12와 $35^{\circ}C$이었고, 온도안정성 조사에서 $55^{\circ}C$까지는 90% 잔존 찬성을 유지하였으나 $60^{\circ}C$이상에서는 급격하게 효소활성이 실활되었다. 기질특이성조사에서 type I collagen과 콜라겐분해효소의 합성기질로 알려진 Z-GPGGPA에서 gelatin과 casein에 비해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이 효소가 진정한 콜라겐분해효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른 온도 조절 상태에서 분자 동역학에서 콜라겐 단백질의 거동 (The behavior of collagen-like molecules in response to different temperature setting methods in steered molecular dynamic simulation)

  • 윤영준;조강희;한석영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397-402
    • /
    • 2020
  • 타입 1 콜라겐 단백질은 인체 내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단백질이다. 이 단백질은 점탄성 거동을 보이며 이는 힘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 방법에는 rescaling 방법과 reassignment 방법으로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rescaling 방법은 온도를 주어진 온도로 책정하는 방법이고, reassignment 방법은 원하는 온도로 맥스웰 분포를 이용하여서 온도를 책정하는 방법이다. 우리는 reassignment 방법에서 콜라겐 단백질의 거동이 시간에 따라서 변화하는 현상을 찾아내었다. 반면에 rescaling 방법에서는 시간에 무관하게 거동하였다. 콜라겐에 다른 속도로 인장을 가하였을 경우, 예를 들어 0.5, 1, 2, 5 Å/ps의 속도로 40 Å까지 힘을 가했을 경우, rescaling 방법에서는 속도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었던 반면, reassignment 방법의 경우 대략 80nm, 100nm, 130nm, 180nm까지 인장이 되었음을 보여준다. 이 현상에 대한 물리학적 의미를 명확하게 규명하지는 못하였지만, 단백질에 관한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주의를 기울여 수행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이 논문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