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콜라게나제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초

합환피(合歡皮) 약침액(藥鍼液)의 사람 피부아세포의 콜라게나제 활성 및 프로콜라겐 합성과 티로시나제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bizziae Cortex Pharmacopuncture Extracts on the Collagenase Activity and Procollagen Synthesis in HS68 Human Fibroblasts and Tyrosinase Activity)

  • 임강현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125-131
    • /
    • 2011
  • 목적 : 본 연구는 합환피약침액(合歡皮藥鍼液)이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의 콜라게나제 활성 및 프로콜라겐 합성에 미치는 영항과 티로시나제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 HS68 사람 정상 섬유아세포에 UVB 조사 후 합환피(合歡皮) 약침액(藥鍼液)가 type I procollagen 생성과 콜라게나제 효소활성에 미치는 효능과 티로시나제 효소활성에 미치는 효능을 평가하였다. 결과 : 합환피약침액(合歡皮藥鍼液)은 UVB 조사된 세포의 콜라게나제 효소활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억제하였고, 티로시나제 활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그러나 티로시나제 억제활성의 정도는 미백효능으로 활용하기에 약간 약한 경향이 있었다. 결론 : 합환피약침액(合歡皮藥鍼液)의 콜라게나제 억제효능은 주름개선 약침치료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약침액(藥鍼液)의 사람 피부아세포의 콜라게나제 활성 및 프로콜라겐 합성과 티로시나제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ukmigeehwang-hwan Pharmacopuncture Extracts on the Collagenase Activity and Procollagen Synthesis in HS68 Human Fibroblasts and Tyrosinase Activity)

  • 이세나;김명규;김명희;김형준;조학준;김이화;임강현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8권1호
    • /
    • pp.39-46
    • /
    • 2011
  • 본 연구는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약침액(藥鍼液)가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의 콜라게나제 활성 및 프로 콜라겐 합성에 미치는 영항과 티로시나제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 HS68 사람 정상 섬유아세포에 UVB 조사 후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약침액(藥鍼液)가 type I procollagen 생성과 콜라게나제 효소활성에 미치는 효능과 티로시나제 효소활성에 미치는 효능을 평가하였다. 결과 :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약침액(藥鍼液)은 UVB 조사된 세포의 콜라게나제 효소활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억제하였고, 티로시나제 활성과 L-DOPA oxidation 활성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그러나 티로시나제와 L-DOPA oxidation 억제활성의 정도는 미약하였다. 결론 :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약침액(藥鍼液)의 콜라게나제 억제효능은 주름개선 약침 치료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버드나무 속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 및 콜라게나제 저해 활성 연구 (Studies on Antioxidant, Anti-Inflammation, and Collagenase Inhibitory Effects of Extracts from Plants of The Salix genus)

  • 정용운;박영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35-341
    • /
    • 2018
  • 본 연구는 버드나무 속 식물의 화장품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버드나무 속 식물 중 갯버들, 능수버들 및 키버들 70% 에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 분석을 통한 항산화 활성을 평가한 결과 모든 추출물이 대조군에 비해 DPPH radical 소거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3종의 버드나무 속 식물 추출물 처리는 RAW 264.7 세포의 nitric oxide (NO) 생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여 항염 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모두 콜라게나제 저해 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갯버들 추출물이 가장 높은 콜라게나제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갯버들 추출물의 용매 분획물에 대한 추가적인 콜라게나제 저해활성을 분석한 결과, 물 및 부탄올 분획물이 가장 높은 콜라게나제 저해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버드나무 속 식물 중 갯버들은 높은 콜라게나제 저해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향후 효과적인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흑효모를 이용한 참도박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티로시나제 및 콜라게나제 저해효과 (Evaluation of Antioxidant, Tyrosinase and Collagenase Inhibitory of Grateloupia elliptica Extracts after Aureobasidium pullulans Fermentation)

  • 부반빈;이경은;강상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9
    • /
    • 2020
  • 연구에서는 흑효모(Aureobasidium pullulans)를 이용한 참도박(Grateloupia elliptica) 발효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및 발효하지 않은 참도박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과 항산화, 티로시나제와 콜라게나제 저해효과, 세포독성 및 증식실험을 진행하였다. 흑효모 발효 참도박 추출물과 참도박 추출물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농도의존적으로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높아졌으며, 발효에 관계없이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모든 시료 중 참도박 발효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효과는 1,000 ㎍/mL 농도에서 참도박 발효 에탄올 추출물(GEFEE)이 9.8%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나, 모든 추출물에서 10%이하의 낮은 tyrosinase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Collagenase 저해 효과를 조사한 결과 발효와 관계없이 열수추출물에서는 collagenase 저해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collagenase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참도박 발효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1,000 ㎍/mL에서 50.3%의 시료 중 가장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인간세포(HaCaT, keratinocytes)를 이용하여 세포독성 및 증식실험을 진행하였다. 참도박 및 참도박 발효추출물의 세포독성 및 증식률은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시료의 모든 농도에서 90% 이상의 결과를 나타냈다. 모든 시료 중 참도박 발효 에탄올추출물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 및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참도박 발효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와 주름개선 효능을 가진 화장품의 생리활성 소재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당귀(當歸)의 사람 피부아세포의 콜라게나제 활성과 프로콜라겐합성과 티로시나제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gelica Gigantis Radix Extracts on the Collagenase Activity and Procollagen Synthesis in HS68 Human Fibroblasts and Tyrosinase Activity)

  • 이정헌;이세나;김명규;김명희;김형준;조학준;임강현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9-33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ollagen metabolism and tyrosinase activity of Angelicae Gigantis Radix extracts (AGR). Methods : The effect of AGR on type I procollagen production and collagenase activity in human normal fibroblasts HS68 after UVB (312 nm) irradiation was measured by ELISA method. The tyrosinase activity after treatment of AGR was measured. Results : Type I procollagen production was recovered by AGR in UVB damaged HS68 cells. The increased collagenase activity after UVB damage was significantly recovered by AGR and the tyrosin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However, the L-DOPA oxidation was not changed. Conclusion : AGR showed the anti-wrinkle effects and whitening effects in vitro. These results suggest that AGR may have potential as an anti-aging ingredient in cosmetic herbs.

십전대보탕약침액(十全大補湯藥鍼液)의 사람 피부아세포의 콜라게나제 활성 및 프로콜라겐 합성과 티로시나제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pgeondaebo-tang Pharmacopuncture Extracts on the Collagenase Activity and Procollagen Synthesis in HS68 Human Fibroblasts and Tyrosinase Activity Original Articles)

  • 이세나;김명규;김명희;김형준;조학준;임강현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1-59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ollagen metabolism and tyrosinase activity of Sipgeondaebo-tang Pharmacopuncture extracts (SP). Methods : The effect of SP on type I procollagen production and collagenase activity in human normal fibroblasts HS68 after UVB (312 nm) irradiation was measured by ELISA method. The tyrosinase activity after treatment of SP was measured as well. Results : Type I procollagen production was recovered by SP in UVB damaged HS68 cells. The increased collagenase activity after UVB damage was significantly recovered by SP. The tyrosin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as well. However, the L-DOPA oxidation was not changed. Conclusion : SP showed the anti-wrinkle effects and whitening effects in vitro.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 may be a potential pharmacopuncture as an anti-aging pharmacopuncture treatments.

진생베리 발효추출물의 화장품 약리활성 (Study on Cosmeceutical Activities from Fermented Ginseng Berry Extracts)

  • 김일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8-37
    • /
    • 2020
  • 진생베리는 진세노사이드 Re을 다량함유하고 있고 항염, 항암, 혈당강하 및 미백효과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Rhizopus Oligosporus 균주를 이용하여 진생베리 발효공정을 확립하였으며 진생베리 발효물에 대한 화장품 약리활성을 분석하였다. 발효에 의한 인삼 베리 추출물의 전자 공여 능력은 1,000 ㎍/mL 농도에서 81%를 나타냈다. ABTS+ 라디칼 소거능 1,000 ㎍/mL 농도에서 100.2% 효과를 나타내었다. 피부 미백과 관련된 티로시나 아제 억제 효과는 1,000 ㎍ /mL 농도에서 57%였다. 피부 주름과 관련된 엘라스타제 억제효과는 1,000 ㎍/mL 농도에서 47%였다. 또한, 콜라게나제 억제 효과는 1,000 ㎍/mL 농도에서 33%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진생베리 발효물이 항염과 미백, 주름개선 효능을 가진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진생베리 발효물이 향우 항염 및 항노화 화장품 원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불로초 균사배양 갯버들 추출물이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의 제1형 프로콜라겐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noderma lucidum Solid-state Fermented Salix gracilistyla Extract on Type I Procollagen Biosynthesis in HDFn Cells)

  • 정용운;박영진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53-163
    • /
    • 2019
  • 본 연구는 갯버들(Salix gracilistyla)의 화장품 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기존 일반적인 방법이 아닌 균사배양 방법을 통해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구체적으로는 대표적인 약용버섯인 불로초(Ganoderma lucidum) 균사의 배양을 통하여 그 효능을 확인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라디칼소거능 분석결과에서는, 갯버들 추출물(SGE)이 불로초 균사배양 갯버들 추출물(GLSGE) 보다 높게 평가되었으나, 콜라게나제 활성 억제 평가에서는 불로초 균사배양 갯버들 추출물(GLSGE)이 갯버들 추출물(SGE)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로초 균사배양 갯버들 추출물(GLSGE)은 갯버들 추출물(SGE)을 처리한 경우보다, HDFn 세포의 생존율을 높은 수준으로 증가시켰으며, HDFn 세포의 제1형 프로콜라겐의 생합성 또한 매우 높은 수준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앞선 실험을 통해, 불로초 균사배양 갯버들 추출물이 항노화 활성을 가지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되며, 기능성 소재의 효과를 더욱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불로초 균사의 배양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CCD-986sk 세포 내 참깨 에탄올 추출물의 항주름 활성 연구 (A Study on the Anti-wrinkle Activities of Sesamum indicum L. Ethanol Extracts on CCD-986sk)

  • 주다혜;유단희;이진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77-38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참깨 추출물의 주름개선 화장품 원료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참깨의 70%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엘라스타제 저해능, 콜라게나제 저해능, matrixmetallopoteinases (MMPs)의 단백질, mRNA 발현 저해 효능을 측정하였다. Elastase와 collagenase 저해활성은 $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37.8%와 45%의 효소 활성을 억제를 나타내었다. 섬유아세포에서 참깨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100{\mu}g/mL$ 농도에서 96%의 생존율을 보였다. 참깨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섬유아세포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 matrix metalloproteinase-3 (MMP-3)의 단백질 발현 및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단백질 발현은 $100{\mu}g/mL$ 농도에서 63%, 43%, 49%의 저해율을 나타내었고, mRNA 발현 억제는 최고농도인 $100{\mu}g/mL$에서 각각 82% 79%, 82%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참깨 70% 에탄올 추출물이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커피 은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엘라스타제, 콜라게나제 및 티로시나제 저해효과 (The Coffee Sliver Skin Extracts from Coffee Beans Exhibited Cosmetic Properties with Antioxiant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s for Elastase, Collagenase and Tyrosinase)

  • 이경은;손상혁;강상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9-4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커피생두의 로스팅 과정에서 쉽게 발견되는 커피 은피(coffee silver skin)의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세포독성실험을 진행하였다. 커피 은피의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높아졌으며, 열수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이 항산화력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50{\mu}g/mL$에서 92.26%의 ABTS 라디칼을 소거시켜 양성대조군과 비슷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미백효과의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tyrosinase 저해효과와 DOPA 산화 저해효과를 조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주름개선효과의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elastase와 collagenase 저해 효과를 조사한 결과 elastase와 collagenase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각질형성세포(HaCaT)를 이용하여 세포독성 및 증식실험을 진행하였다. 커피 은피 추출물의 세포생존율은 무처리 대조군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커피 은피는 주름개선, 미백,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므로 화장품에 응용 가능한 기능성 소재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