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콘텐츠 설계

Search Result 3,22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evelopment and Use of Universal Accessibility Guidelines for Contents Developers and Designers (콘텐츠 개발자와 설계자를 위한 보편적 접근성 가이드라인의 개발과 활용)

  • Ahn, Mi-Lee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8A no.1
    • /
    • pp.33-3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use the e-learning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s to improve contents accessibility for the non-technical developers and designers. The accessibility guidelines used for web or digital contents are usually technical, field dependent, or specific that are not friendly for many developers or designers. In this study, the e-Learning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s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he guidelines could be used to map the necessary skills for the developers and the instructional designers. In this study, 5 users with different disabilities tested 6 e-learning contents, and surveyed e-learning experts to identify core elements for accessibility guidelines. Due to the limited accessibility of the contents, we need to offer manuals and training for developers and designers, need collaborative efforts between different stake holders, include accessibility in quality assurance guidelines, and further research to improve accessibility for many existing Flash contents.

Design of the Moving Interests Carrying Social Web Contents in Real World (실세계에서 소셜 웹 콘텐츠를 운반하는 Moving Interests의 설계)

  • Lee, Tae-Ho;Ahn, Gu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d
    • /
    • pp.151-154
    • /
    • 2010
  • Proactive Display 시스템은 소셜 웹 콘텐츠를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여 실세계에서의 상호관계 증진을 도울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지금까지의 Proactive Display 시스템은 개인적인 웹 콘텐츠를 표현할 수 있지만 표현하는 콘텐츠에 초점이 맞춰진 상호활동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웹콘텐츠 소유자에게 초점이 맞춰진 상호활동에서 소셜 웹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하여 새로운 구조의 Proactive Display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적인 소셜 웹 콘텐츠를 소유자가 이동함에 따라 주변에 배치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현하도록 하는 Moving Interests 시스템의 설계에 대하여 기술한다. 설계된 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는 외모뿐만 아니라 생각과 관심사 등을 드러내어 자신을 소개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사용자의 상대방도 내형적인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하여 시스템 사용자와 상호관계를 맺을 수 있으므로 설계된 시스템을 이용하면 보다 폭 넓고 깊은 상호관계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 PDF

Design of Contents Routing Based on Web Service (웹서비스에 기반한 콘텐츠 라우팅 설계)

  • 이준희;조용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a
    • /
    • pp.595-597
    • /
    • 2004
  • 인터넷 트래픽 관리(ITM: Internet Traffic Management)는 네트워크의 물리적인 속도의 한계를 논리적인 기술을 적용해 극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요의 증가와 서비스 품질(QoS) 보장을 위해서 효율적인 콘텐츠 라우팅 설계는 매우 중요하다. 콘텐츠 라우팅 기술의 핵심 기능은 서비스 사용자에게 최적의 경로를 선정해 서비스 속도 향상과 콘텐츠 제공자에게는 콘텐츠를 분산 장애가 발생시 서비스의 우회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 서비스를 지원하는 XML 기반의 복수의 능동 에이전트를 이용해서 효율적인 트래픽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QoS를 보장하는 설계를 제안한다.

  • PDF

Design and Development of Realistic Game Contents Using a Physics Engine (물리엔진을 활용한 실감형 게임콘텐츠의 설계 및 제작)

  • 최종화;권기달;신동규;신동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670-672
    • /
    • 2003
  • 일반적인 게임 콘텐츠에 있어서 수행되는 현실세계에 대한 표현은 물리적으로 연속적이지 않다. 이는 실제 콘텐츠의 이용적인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유발시키기도 하여 게임의 재미를 반감시키기도 한다. 이 논문에서는 물리엔진을 활용한 실감형 게임콘텐츠의 설계 및 제작을 통해서 실시간적인 오브젝트에 대한 물리현상을 물리엔진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기법을 보여준다. 또한, 오브젝트의 물리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물리엔진의 설계에 대해서 보여주며 물리엔진과 연동되는 렌더링 엔진 및 그것을 이용한 콘텐츠의 제작에 대해서도 서술한다.

  • PDF

Design & development of e-learning game contents in elementary math class (초등 수학교과의 게임형 콘텐츠 설계 및 개발 사례)

  • Cho, Eun-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35-3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develop internet-based game content in elementary mass class. The design of Internet-based learning game content should be different from general game contents in terms of achieving learning goal, challenging learning steps, and learning motivation. This study presents the design and development strategies in the second grade multiply mass class. This study concludes that internet-based game content should consider the importances of the process of game, accumulations of game results to remind learners of what to achieve during the internet class not to enjoy the game itself.

  • PDF

Mobile Application Design and Development on Fashion Contents Distribution Model (모바일 앱기반 패션 콘텐츠 비지니스 모형의 설계와 구현)

  • Seo, Dong-Bok;Lee, Ja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427-428
    • /
    • 2013
  • 패션콘텐츠의 모바일 유통을 목적으로 콘텐츠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고자 하였으며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다. 단순 패션콘텐츠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패션콘텐츠의 활용을 높이기 위한 정보공유 방법과 사용자의 자가 코디를 지원하는 콘텐츠 직접생산, 활용 및 거래 시스템을 구현하고 사용시장의 확대를 위한 접근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OSMU Video UCC Learning Content Authoring Tool Design Using Content Sources Created by Others (외부 콘텐츠 소스를 활용한 OSMU 동영상 UCC 학습 콘텐츠 에디터 설계)

  • Oh, Jung-Min;Kim, Kyung-Ah;Moon, Nam-M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349-352
    • /
    • 2009
  • 최근 정보의 형태는 텍스트나 이미지 기반에서 벗어나 복합 멀티미디어, 즉 동영상 위주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특히 사용자에 의해 제작되고 유통되는 동영상 UCC의 급격한 부상은 사용자의 정보 생산력과 정보 공유, 소비 형태를 능동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PC 뿐 아니라 IPTV에서도 주요 서비스 모델로 관심을 받는 동영상 UCC는 향후 지식 결부형 학습 콘텐츠로 옮아갈 것이라 예상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수익 모델의 개발과 저작권 보호 이슈가 해결해야 할 선결 과제로 인식된다. 이에 본 논문은 방송 콘텐츠 제공 표준 기술인 TV-Anytime, 학습객체메타데이터인 LOM(Learning Object Metadata)을 기반으로 OSMU 동영상 UCC 학습 콘텐츠 서비스 모델을 위한 에디터를 설계하고 외부 콘텐츠 소스를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 저작 시나리오에 기반한 메타데이터를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다양한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UCC 학습 콘텐츠 서비스 모델 발굴과 콘텐츠의 확대 재생산에 있어서 적극적인 저작권 보호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 PDF

Design and Development of e-Learning Contents for the NCS Vacational Core Competencies: Focusing on Interpersonal Competency (NCS 직업기초능력 교육을 위한 이러닝 콘텐츠 설계 및 개발 : 대인관계능력을 중심으로)

  • Koo, Yang Mi;Chung, Mi Kang;Jung, Young-Sook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7 no.4
    • /
    • pp.243-25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omponents and design strategies of e-learning content for the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competency, one of NCS vocational core competencies. In order to standardize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content of interpersonal competency, this study has referred to the educational handbook of NCS vocational core competencies that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has developed. Based on such standardized content, e-learning content components and design strategies were extracted by analyzing related studies and e-learning cases as well as by conducting surveys and interviews with experts and instructors of the field. Applying components and design strategies extracted through those investigations, the e-learning content for the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competency was developed. Its design's validity and educational effect were evaluated by interviews and surveys with students, professors, and experts. The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the e-learning content was appropriately designed and was effective in learning interpersonal competency as one of NCS vocational core competencies.

Design of Healthcare Game Contents using IOT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헬스케어 게임콘텐츠 설계)

  • Yoon, SeonJeong;Lee, SangWh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225-226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걷기운동을 재미있게 할 수 있는 게임형 콘텐츠의 설계 및 구현, 효과에 대한 검증사례를 소개한다. 이 콘텐츠는 비콘이 설치된 계단을 걸음으로써 소모 칼로리를 계산하고 지속적으로 활동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운동효과를 향상시키도록 설계되었다. 본 콘텐츠의 설계 목표는 바쁜 현대인들이 활동 공간 안에서 가볍게, 재미있게, 지속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 효과는 걷기 행사에 참여한 다수 사용자의 후기를 통하여 확인되었다. 본 콘텐츠는 여러 유형의 헬스 케어 시스템에 융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ractive Mobile AR Contents Builder (인터랙티브 모바일 AR 콘텐츠 빌더의 설계 및 구현)

  • Jeon, Ji Young;Chun, JiYoon;Choi, Yoo-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474-477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AR 프로그래밍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용자가 쉽게 모바일 AR 콘텐츠 제작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마커와 가상모델 그리고 인터랙션의 형태와 가상모델의 반응형태를 인터랙티브하게 연결하는 인터랙티브 모바일 AR 콘텐츠 빌더 프로토타입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우선, 모바일 AR 콘텐츠에서 인터랙션과 반응형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AR 앱들을 수집하여 앱의 특성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사용되는 인터랙션의 종류 및 반응형태를 조사하였다. 조사내용을 바탕으로 사용되는 모바일 AR 콘텐츠 빌더에 포함시킬 인터랙션의 종류 및 반응형태의 메뉴항목들을 설계하였고, 단위 AR 객체를 정의하기 위한 클래스와 이를 저장할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설계하였다. 또한, 정의된 단위 AR 객체의 내용을 다른 응용 프로그램들에서 쉽게 읽고, 가시화 시킬 수 있는 모바일 AR 가시화 클래스를 포함한 모바일 AR 콘텐츠 빌더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