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Use of Universal Accessibility Guidelines for Contents Developers and Designers

콘텐츠 개발자와 설계자를 위한 보편적 접근성 가이드라인의 개발과 활용

  • 안미리 (한양대학교 교육공학과)
  • Received : 2011.01.07
  • Accepted : 2011.02.15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use the e-learning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s to improve contents accessibility for the non-technical developers and designers. The accessibility guidelines used for web or digital contents are usually technical, field dependent, or specific that are not friendly for many developers or designers. In this study, the e-Learning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s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he guidelines could be used to map the necessary skills for the developers and the instructional designers. In this study, 5 users with different disabilities tested 6 e-learning contents, and surveyed e-learning experts to identify core elements for accessibility guidelines. Due to the limited accessibility of the contents, we need to offer manuals and training for developers and designers, need collaborative efforts between different stake holders, include accessibility in quality assurance guidelines, and further research to improve accessibility for many existing Flash cont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닝 콘텐츠의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에 근거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개발자와 설계자의 역할에 따른 가이드라인의 활용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웹은 연령과 장애에 구애 없이 정보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손쉽게 정보를 나눌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하듯이 이러닝으로 제공되는 콘텐츠 또한 사용자 모두에게 접근이 가능해야 한다. 국내 이러닝 콘텐츠의 빠른 접근성 개선을 위해서 기술적으로 복잡하지 않은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에 근거한 접근성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6개 이러닝 콘텐츠에 대한 장애별 사용자의 분석결과와 전문가의 접근성에 대한 설문결과로 보편적 이러닝 콘텐츠 접근성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 개발자와 설계자의 역할에 따라 구별하였다. 국내 Flash 이러닝 콘텐츠의 접근성이 특히 시각장애인과 신체 장애인에게 접근이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설계자와 개발자의 접근성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고, 개발자와 설계자의 역할에 따라 구분된 활용이 가능하며, 접근성의 정착화를 위해서는 관련 기관의 협력, 질 관리에 포함, 매뉴얼 개발과 연수, 그리고 기존의 Flash 콘텐츠의 접근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안미리, 노석준, 김성남(2009). 이러닝콘텐츠 접근성 개선 추진 전략. 한국정보화진흥원.
  2. 웹 접근성 연구소 http://www.wah.or.kr/ index.asp.
  3. 안미리, 김성남, 황윤자, 부향숙(2009). 이러닝 콘텐츠 접근성 현장. 한국정보처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16(2).
  4. 안미리(2010). 제2회 다문화사회 모두를 위한 정보 포럼, 행정안전부.
  5. The WCAG 2.0 Documents. http://www.w3.org/TR/WCAG20.
  6.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9). 디지털 교과서 접근성 설계.평가 지침,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7. 송승훈,박두순, 홍민(2008). 시각장애인의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콘텐츠 개발,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1(2), pp45-53.
  8. 문태은, 문형남(2008). 국내 사이버대학교 웹사이트 평가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논문지, 14(2), pp137-156.
  9. 장상현(2010). UDL 가이드라인에 따른 디지털교과서 접근성 향상 방안 연구. 컴퓨터교육회논문지, 13(3), pp65-75.
  10. 최정임, 신순남(2009). 보편적 학습설계(UDL)를 반영한 디지털 교과서 설계 원리. 교육공학연구, 25(1), pp29-59.
  11. Ahn, M. & Hwang, Y.(2010). How Accessible is EDUNET Contents?, International Journal for Educational Media and Technology, 3(1), pp79-87.
  12. 정보통신부(2005). 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1.0.
  13. IMS/GLC(2002). IMS Guidelines for Developing Accessible Learning Applications.
  14. 안미리, 김선태, 손경아, 한태인, 김용, 고범석(2005). 이러닝 품질관리(QA) 종합계획수립,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15. 안미리, 노석준, 김성남(2010). 보편적 학습설계, 접근 가능한 교육과정과 디지털 테크놀로지, 서울: 한양대학교출판부.
  16.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8). 교육정보 메타데이터 확장 표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