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콘크리트 배합

검색결과 1,195건 처리시간 0.041초

슬래그시멘트의 콘크리트 배합설계 연구 (A Study of Concrete Mix Proportioning Design for Blast-furnace Slag Cement)

  • 김진춘;공양식;김동석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4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15-220
    • /
    • 1994
  • 본 연구의 목적은 당사 콘크리트 배합설계 프로그램인 쌍용배합설계시스템(Ssangyong Mix Proportioning Design System ; 이하 SMPD라 칭한다)을 기본으로해서 슬래그시멘트에 대한 콘크리트 배합설계(안)을 제안함으로써 콘크리트 현장에서 합리적으로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연구 내용은 슬래그시멘트와 보통시멘트간의 콘크리트 물성차이를 실험실적으로 규명하기 위해서 슬래그 함유량 및 양생 온도별로 슬래그시멘트의 콘크리트 강도발현특성, 물시멘트비, 단위수량변화 및 응결특성 등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를 이용하여 슬래그시멘트의 콘크리트 배합설계를 시행, 표준배합과 현장배합표를 제시하였다.

  • PDF

경량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자동화를 위한 연구 (A Study for Automation of Lightweight Concrete Mix Design)

  • 최재진;송진우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329-330
    • /
    • 2010
  • 구조용 경량콘크리트 배합설계의 전산화를 위하여 ACI211.2-98 (구조용 경량콘크리트 배합설계의 표준 방법)의 배합설계이론을 고찰하고 Jandel사의 Table Curve 2D 및 3D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그 배합설계과정을 수식화 하였다.

  • PDF

목동 현대 하이페리온 현장 - 매스 콘크리트 시공사례(B동) (Products and Execution of Mass Concrete)

  • 윤재령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82-85
    • /
    • 2002
  • 매스 콘크리트 타설전 배합 및 적용 실험을 실시함으로써 현장의 여건에 알맞은 최적의 배합비를 도출하며 실내 배합 실험을 실시하고 배치 플랜트에 적용하여 실제 현장에 실용시킬 수 있다.(중략)

최대 밀도 이론을 이용한 고성능콘크리트의 배합 설계 (Mix Design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Using Maximum Density Theory)

  • 이승한;정용욱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377-383
    • /
    • 2007
  • 최근 콘크리트의 품질과 구조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고성능콘크리트의 현장 적용이 늘고 있다. 이러한 고성능콘크리트의 배합 설계 방법으로는 모르타르-굵은골재 2상계 배합 이론과 페이스트-골재 2상계 배합 이론이 있다. 이 중 모르타르-굵은골재 2상계 배합이론은 모르타르의 레올로지 특성을 부여함에 있어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서 그 값을 결정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페이스트-골재 2상계 배합 이론은 최적 잔골재율과 단위결합재량과의 관계 및 콘크리트의 충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한계 골재 용적비 등이 고려되어 있지 않아 고성능콘크리트에의 적용 예가 없는 실정이다. 또한 이들 고성능콘크리트의 배합 설계 이론은 일반콘크리트와는 달리 유동성 및 충전성에 중점을 두고 있어 배합 설계에서 강도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사용 재료의 단위량은 일반콘크리트와 같이 시행착오법으로 결정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성능콘크리트의 배합 설계에 최대 밀도 이론을 도입하여 사용 골재의 공극이 최소가 되는 최적 잔골재율 산정으로 배합 설계 시 시행착오를 줄이고, 강도를 고려한 최소 단위 결합재량의 결정으로 강도와 유동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합리적이며 간편한 고성능콘크리트의 배합 설계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배합 설계법은 최소 공극을 갖는 최적 잔골재율 사용과 최소 단위 결합재량 이상의 결합재를 사용함으로써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어 자기충전성을 갖는 고성능콘크리트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고강도 콘크리트의 성능기반형 배합설계방법 (Application of Performance Based Mixture Design (PBMD) for High Strength Concrete)

  • 김장호;오일선;판덕헝;이근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6A호
    • /
    • pp.561-57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Bayesian 통계법을 이용한 성능기반형 배합설계방법(Perfomance Based Mixture Design, 이하 PBMD)을 고강도 콘크리트 배합설계에 활용하여 요구성능을 만족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배합비를 찾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PBMD 방법은 Bayesian 통계법을 통해 얻어진 만족도 곡선을 활용한 성능중심의 콘크리트배합설계과정으로서 어떠한 조건이나 환경에서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여 현재의 설계기준을 대체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생각된다. 고강도 콘크리트의 여러 가지 재료 성능 변수들을 구하기 위해 수행한 여러 가지 실험들의 결과를 바탕으로 고강도 콘크리트 배합설계 시 PBMD 방법의 적용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지역에 따른 환경조건, 사용 가능한 재료, 적용 가능한 콘크리트생산기술 등을 고려하여 목표성능을 만족시키는 최적의 콘크리트 배합비를 구하는 과정을 PBMD 방법을 적용한 예제를 통해 나타내었다. PBMD 과정을 적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의 현장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ACI에 기술된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그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LMC)의 결합재량에 따른 배합 및 염화물 이온 확산 특성 (Properties of Latex Modified Concrete by Binder Content and Effect on Chloride Ion Diffusion)

  • 박성기;원종필;박찬기;이상우;성상경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949-952
    • /
    • 2008
  •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LMC)는 일반 콘크리트에 라텍스라는 폴리머 개질제를 첨가하여 일반 콘크리트의 성능을 개선시킨 콘크리트로서 내구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는 재료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라텍스 재료 자체의 가격이 매우 높아 사용에 많은 제약이 있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교면포장으로 주로 사용되어온 LMC의 배합특성을 검토하여 보다 경제적인 배합의 결정을 위하여 다양한 배합인자별 영향을 검토하고 이로부터 얻어진 배합에 대하여 내구특성 평가를 위한 염소 이온 확산계수를 산정하였다. 라텍스 첨가량의 변화에 따른 배합의 특성을 라텍스 첨가량을 시멘트 중량 대비 $5{\sim}10$%까지 감소시킨 배합의 설정이 가능하였으며, 이러한 배합에 대한 염소이온 확산계수 실험결과에서도 매우 낮은 확산계수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탄소 콘크리트 구조적 거동

  • 손기상;권성대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1년도 공동학술대회
    • /
    • pp.175-178
    • /
    • 2001
  • 탄소는 활성탄으로 제조되어 다른 재료와 접촉시에 수분을 많이 흡수하여 콘크리트와 배합시 과정이 활성적으로 진행되는 점을 이용하여 조직이 좀더 밀도 있게 콘크리트 자체의 일부 단점을 보완하여 강도개선 특히 인장강도 개선을 밝히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시행착오 방법을 사용하여 콘크리트에 배합을 해나가는 과정으로 배합비를 처음 소량에서부터 점점 증가시켜나가는 방법을 택하였다. 배합에서 비 숙련에 의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K 건설레미콘에서 20년 경력자에 의해서 배합관리 되었고 $17^{\circ}$ $\pm$$3^{\circ}C$ 자동온도 조절기에 의해서 양생되었다.(중략)

  • PDF

양방향 DNN 해석을 이용한 삼성분계 콘크리트의 배합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lculation of Ternary Concrete Mixing using Bidirectional DNN Analysis)

  • 최주희;고민삼;이한승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19-630
    • /
    • 2022
  •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와 압축강도 평가는 지속가능한 구조물의 내구성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콘크리트 배합설계는 최근 배합요소의 다변화 등의 이유로 인하여 정확한 배합요소 산정이나 기준값 설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기법 중 하나인 딥러닝 기법을 사용하여 삼성분계 콘크리트의 배합요소를 산정하는 양방향 해석의 예측모델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콘크리트 배합요소 산정을 위한 DNN 기반 예측모 델은 층 수, 은닉 뉴런 수를 변수로 한 총 8개의 모델을 사용하여 성능평가 및 비교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학습된 DNN 모델을 사용하여 소요압축강도에 따른 콘크리트 배합 산정 결과를 출력하였다. 모델의 성능평가 결과, 콘크리트 압축 강도 인자에 대하여 평균 약 1.423%의 오류율을 나타내었으며, 삼성분계 콘크리트 배합인자 예측에 대하여 평균 8.22%의 MAPE 오차를 만족하였다. DNN 모델의 구조별 성능평가 비교 결과, 모든 배합인자에 대하여 DNN5L-2048 모델이 가장 높은 성능을 보였다. 학습된 DNN 모델을 사용하여 30, 50MPa의 소요압축강도를 가지는 삼성분계 콘크 리트 배합표 예측을 진행하였으며, 추후 학습을 위한 데이터 세트 확장과 실제 콘크리트 배합표와 DNN 모델 출력 콘 크리트 배합표 간의 비교를 통한 검증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콘크리트의 파괴에너지와 다른 재료특성을 이용한 배합설계법에 관한 실험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Mix Design Method using the Fracture Energy and the other Parameters in Concrete.)

  • 강성후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149-160
    • /
    • 1992
  •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설계의 규준이 될 경우 배합비를 결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파괴에너지 및 탄성계수와 같은 규준이 주어질 경우 배합비 결정에 적용하는 방법은 거의 없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콘크리트 재료성질의 관계에 관한 배합설계도(Mix design diagram)를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시멘트량, 물-시멘트 비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탄성계수, 할렬인장강도, 파괴에너지 그리고 콘크리트 특성길이(Characteristic length)에 주는 영향을 실험에 의하여 규명하였다. 시편제작을 위하여 각기 다른 물-시멘트비와 워커빌리티를 갖는 6종류의 무근콘크리트 배합이 사용되었다.

자화수를 이용한 코크리트 내구성(=강도)증진에 관한 연구 (A Study to Increase Strength of Concrete using of Magnetic Water)

  • 한상묵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I)
    • /
    • pp.25-29
    • /
    • 1998
  • 일반적으로 동일한 배합에서 콘크리트의 강도를 증진시키는 방법중에서 혼화재를 넣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는 첨가된 혼화재의 양만큼 생산비용이 증가하며, 본 실험에서 콘크리트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한 자화수는 자석을 통과시켜 만든 물이며 제작방법 이 매우 간편하고 자석이라는 비소모성 및 무동력의 장치를 사용하여, 또한 화학물질을 사 용하지 않고 얻을 수 있다. 이때의 자화수는 외관상으로는 보통물과 아무런 차이가 없으며 무색무취이다. 즉 강력한 자장속에 보통 물을 통과시켜서 이온화된 자화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실례로 러시아 "샤프스쿠스크" 철근 콘크리트 제품공장에서는 자화수를 사용해서 매년 약 15%의 시멘트절약에 성공하고 있고, 모스크바의 철근콘크리트연구소에서 자주 자 화수의 전문회의가 열리며, 매번 좋은 결과를 서로 보고하고 있다고 한다. 본 실험에서는 자 화수에 의한 강도증진효과를 보기 위해서 동일배합에서 보통물과 자화수를 배합수로 하여 각각의 콘크리트 공시체를 제작해 압축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보통물을 사용해 제작한 공시체 보다 4~13% 가량 강도증진효과를 보았다. 따라서 다른 혼화재를 사용하지 않고 오 직 자화수를 배합수로 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강도를 높임으로써, 동일한 배합강도를 얻기 위해서 보통물을 배합수로 제작된 콘크리트에 비해 시멘트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이에 따 른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본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여러 가지변수에 따라 자화수 가 콘크리트 강도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았다.는지를 알아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