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콘크리트 구조부재

Search Result 1,02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Experimental Study on Fatigu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Reinforcing Bars (국산철근의 피로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변근주;노병철;송하원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9 no.5
    • /
    • pp.177-187
    • /
    • 1997
  • 철근 콘크리트 구조부재는 철근과 콘크리트로 구성된 합성부재이므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부재의 피로강도는 철근과 콘크리트 고유의 피로특성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철근자체의 피로특성은 철근의 정적강도 특성과 상이함으로, 실험을 통하여 규명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국내 2개사에서 생산되는 철근에 대하여 직접인장 피로실험을 실시하여 이들의 피로특성을 규명하였으며, 철근콘크리트 휨부재 내부의 철근 피로특성과 철근만의 직접인장 피로특성의 비교 분석으로부터 직접인장 피로실험만으로 철근콘크리트 휨부재의 피로특성을 평가할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반복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피로점토를 위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Residual strength of spalled high-performance concrete members subjected to fire (화재시 고강도 콘크리트 부재의 폭렬성상에 따른 잔존강도)

  • Choi, Eun-Gyu;Shin, Ye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8.11a
    • /
    • pp.941-944
    • /
    • 2008
  •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residual strength of fire damaged high-performance concrete flexural and compressive member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specimens is 55MPa and the main parameter for comparison is the exposure time to fire. In case of beams, the cover thickness made the differences in spalled section area, residual strength and serviceability. The exposure time to fire did not affect on the spalled section area in case of compressive members without loading. However, the residual strength and stiffness was reduced by the time exposed to fire.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imate the performance of fire damaged high-strength concrete structural members for reusing and to give the information for repairing and strengthening.

  • PDF

Optimum of Reinforced Concrete Framed Structures by Multilevel Decomposition (다단계분할법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뼈대구조의 최적화에 관한 연구)

  • 변근주;최홍식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 no.1
    • /
    • pp.87-94
    • /
    • 1989
  • 철근콘크리트 뼈대구조와 같이 설계변수가 과다하고, 제약조건식이 복잡한 구조물의 최적화를 위하여는 구조물을 여러개의 부분구조물로 분할하여 최적해를 구하는 분할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분할법에 의한 최적화는 구조해석과정과 고정된 부재력에대한 단면설계변수의 부분최적화 과정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최적해를 구하려면 반복적인 재해석과정만을 수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단계분할법에 의하여 철근콘크리트 뼈대구조의 최적화 문제를 3단계로 형성하고, 분할된 부분최적화문제의 최적화시 전체구조의 강성 및 부재력 변화가 반영되어 부분 구조물의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는 최적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최적화 문제에서 설계변수로는 단면의 크기, 철근량, 모멘트 재분배율등을 취하고,목적함수는 경비함수, 제약조건으로는 강도설계법에 의한 부재강도, 시방서의 요구사항등을 고려하여 문제를 형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다단계 최적화과정의 첫째 단계에서는 탄성해석에 의하여 재분배모멘트의 설계공간을 형성한다. 이 때 부재력변화량추정(forece approximation technique)에 의하여 단면치수의 변화에 따른 부재력의 변화를 제약조건식 내에 포함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단면에서는 첫째 단계에서 구한 부재력변화량추정이 포함된 제약조건식 내에서 무제약최소화기법에 의하여 단면치수를 최적화하도록 하였다. 셋째 단계에서는 재분배 모멘트를 최적화하였으며, 이 때 재분배모멘트의 변화에 따른 단면설계 변수의 변화는 둘째 단계에서 구한 설계민감도(design sensitivity)를 이용하여 반영시키도록 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1층 2경간 및 2층 1경간 뼈대구조에 적용하여 알고리즘의 타당성과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알고리즘은 철근 콘크리트 뼈대구조의 최적설계에 안정성있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Concrete Members Using Impact Echo Method (충격반향기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부재의 비파괴 검사)

  • 김동수;박형춘;이광명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9 no.2
    • /
    • pp.109-119
    • /
    • 1997
  • 토건구조물의 사용연한 증가에 따른 기존 구조물의 손상도 및 적정시공여부을 추정하기 위해 비파괴검사의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격반향기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비파괴시험을 수행하였다. 충격반향기법은 응력파의 전파에 그 기본을 두고 있다. 시험부내는 보형태의 콘크리트부재로서 기지의위치에 공동이 만들어져 있으며, 충격반향기법을 사용하여 아주 작은 오차 범위내에서 공동의 위치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적정시공여부 및 손상도 추정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Behavior of RC Structures under Fire (화재와 철근콘크리트 구조부재의 구조거동)

  • 홍성걸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4 no.2
    • /
    • pp.24-29
    • /
    • 2002
  • 산업화에 따른 인구 집중현상의 결과 도심지의 밀집형 고층주거형 구조물에 발생할 수 있는 화재는 인명과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체계적인 방재 시스템을 요구한다. 구조공학적인 측면에서 내화 특성은 화재에 대한 최후의 방어선으로서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화재로 인한 구조부재의 파괴는 구조체의 강성 및 강도저하가 주요 원인으로 근처 다른 구조부재의 파괴로 발전하면서 종국적으로 전체 구조물이 붕괴할 수도 있다.(중략)

Validity Evaluation of Effective Strength of Concrete Strut using Strut-Tie Model Analysis of Structural Concrete (콘크리트 구조부재의 스트럿-타이 모델 해석을 통한 스트럿 유효강도의 적합성 평가)

  • Jeun, Chang Hyun;Yun, Young Mo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5A
    • /
    • pp.443-462
    • /
    • 2010
  • The strut-tie model approach has proven to be effective in the ultimate analysis and design of structural concrete with disturbed regions. For the reliable analysis and design by the approach, however, the effective strength of concrete struts must be determined accurately. In this study, the validity of the effective strength of concrete struts, presented by the several design codes and many researchers including the author, was examined through the ultimate strength analysis of 24 reinforced concrete panels, 275 reinforced concrete deep beams, and 218 reinforced concrete corbels by using the conventional linear strut-tie model approach of current codes.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the author's approach, resulting in an accurate and consistent evaluation of the ultimate strength of the panels, deep beams, and corbels, may reflect rationally the effects of primary variables including the types of strut-tie model and structural concrete, the conditions of load and geometry, and the strength of concrete in the strut-tie model analysis and design of structural concrete.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접합부의 강도특성실험

  • Yang, In-Hwan;Kim, Gyeong-Cheol;Ju, Geon-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133-135
    • /
    • 2011
  • 플로팅 건축구조용 콘크리트 부유체 구조는 현장 근처의 제작장에서 제작한 후에 제작된 부재를 현장으로 이동하여 가설장비를 이용해 각 부재를 조립해서 부유체 구조를 완성하는 방법인 프리캐스트 부재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연결부의 기능과 구조적 성능을 최대한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적절한 연결기법을 적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부유체 연결부의 강도특성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A Theoretical Model for the Bond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철근 콘크리트 부재의 부착거동에 관한 해석모델)

  • 오병환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3 no.2
    • /
    • pp.77-86
    • /
    • 1991
  • 철근 콘크리트 부재의 부착거동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역학적 거동을 규명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철근 콘크리트의 부착거동을 서술할 수 있는 이론모델을 유도하여 제시하였다. 본 해석모델은 철근 콘크리트부재의 위치에 따라 다랄지는 국부 부착응력과 부착슬립의 관계를 나타내주고 있으며, 이에 대한 실험결과를 잘 설명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부착해석모델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좀더 정확한 해석과 설계를 가능케 할 것으로 사료된다.

콘크리트 모듈 시공이음부의 설계기법

  • Yang, In-Hwan;Ju, Geon-Hyeong;Kim, Gye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195-197
    • /
    • 2011
  • 플로팅 건축구조용 콘크리트 부유체 구조는 현장 근처의 제작장에서 제작한 후에 제작된 부재를 현장으로 이동하여 가설장비를 이용해 각 부재를 조립해서 함체 구조를 완성하는 방법인 프리캐스트 부재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연결부의 기능과 구조적 성능을 최대한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적절한 연결기법을 적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함체 연결부에 적용할 수 있는 연결기법을 연구하였다.

  • PDF

Shear Behavior and Shear Analysis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Containing Steel Fibers (강섬유를 혼입한 철근 콘크리트 부재의 전단거동 및 전단해석에 관한 연구)

  • 오병환;임동환;이형준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5 no.2
    • /
    • pp.171-180
    • /
    • 1993
  • 본 논문에서는 강섬유를 혼입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전단거동에 관한 실험 및 이론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강섬유가 혼입된 구조부재를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여 강섬유의 전단보강 효과를 규명하였으며, 부재의 연성, 극한전단강도 및 초기균열 전단강도 등을 모두 만족하는 최적의 강섬유 혼입량 및 전단 철근 배근량을 제안하였다. 본 실험으로부터 강섬유의 혼입으로 인하여 연성의 증가뿐 아니라, 초기균열강도는 크게 향상되었으며, 극한전단강도 역시 만족할만큼 증가함을 알수 있었다. 위의 실험결과로부터 강섬유 혼입량(체적비)1%,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전단철근 필요량의 75%가 가장 만족스러운 조합임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강섬유가 혼입된 철근 콘크리트부재가 극한 전단강도 예측기법이 제시되었으며, 앞으로 강섬유 콘크리트는 연성을 필요로 한는 내진구조물등에 효율적으로 이용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