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코로나19 펜데믹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6초

코로나19 펜데믹이 대학교육만족도에 미친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University Educational Satisfaction)

  • 오종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6호
    • /
    • pp.245-252
    • /
    • 2024
  •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펜데믹이 대학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대학교육만족도 조사와 초점집단면접(FGI)을 수행했다. 대학교육만족도 조사는 재학생 82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학년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사후검정을 실시했다. 초점집단면접에서는 코로나19 펜데믹 시기에 대학에 입학한 3학년(2020학번) 학생 6명을 대상으로 대학교육만족도에 대한 인식을 확인했다. 교육만족도 설문조사 결과, 3학년 학생 집단이 타 학년 집단에 비해 대학교육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모든 하위요인에서도 낮게 나타났다. 초점집단면접에서도 코로나19 펜데믹으로 인한 비대면 중심의 대학생활 경험이 대학교육만족도를 낮추는 핵심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비대면 수업으로 인한 대학 존재에 대한 의문, 성적평가의 공정성, 전공실습 어려움, 대학의 활기 상실, 대인관계 형성 미흡 등으로 인해 교육만족도가 낮아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대학교육만족도 제고 방안으로 대면·비대면 통합적 학사 운영 체계 확립, 에듀테크를 활용한 실험·실습 방법 다면화, 동료·선후배·교수와의 긍정적 상호작용 경험 확장 등을 제언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청소년의 생활 변화와 주관적 행복감 연구 (A Study on Adolescents' Life Changes and Subjective Happiness resulted from COVID-19 Pandemic)

  • 김봉화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75-8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팬데믹의 사회적 거리두기 일환으로 가정에서의 생활시간 급증, 학교생활의 온라인수업 등 급격한 환경변화에 따른 청소년의 정신적, 신체적, 정서적, 건강상태와 일상 생활의 변화 등이 어느 정도 나타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러한 변화가 청소년들이 느끼는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코로나 상황이 장기화됨으로서 이와 같은 상황에 대비한 청소년들의 건강과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전략을 제시하고 과제를 제안하고자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지역 9~23세까지의 270명이다. 통계방법으로는 기술통계, 빈도분석, t-검정, 교차분석, 다중회귀분석 검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 19 펜데믹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에 놓여있는 청소년들의 주관적 행복감은 전체평균 3.94로 대체로 행복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둘째, 코로나 19로 인한 개인의 일상 변화는 대외적 활동은 감소하는 대신 디지털기기 사용 시간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수면시간이 줄어들었다. 셋째, 청소년들이 코로나 19 상황에서 가장 힘들어하는 부분은 감염 위험에 대한 걱정이 가장 많았고,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인한 주변과의 단절에 대해 우려하는 경우가 많았다. 넷째, 일상생활 변화에 대한 연령별 차이를 보면 연령대가 낮을수록 평일 등교하지 않는 날에도 식사를 잘 한다고 응답하였고 반면 연령이 높을수록 식사를 제때 하지 않는 불규칙적인 생활을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코로나 19 펜데믹 상황에서 청소년들의 행복감 영향요인 검증을 통하여 재난 상황에서의 청소년들의 행복감을 위한 이론적 및 실천적 논의와 함의를 제시하였다.

의학과 신학의 융합 교육과정 개발, 의료선교의 역사적 사례, 연구개발 성과에 관한 연구 (The Design of Convergence Curriculum, the Historical Case of Medical Mission and the Research Initiative Outcome of Medicine and Theology)

  • 손문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5권
    • /
    • pp.133-161
    • /
    • 2021
  • 이 연구는 코로나-19 펜데믹의 상황 속에서 우리 사회의 취약성에 주목한다. 중증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2019는 사스-코비드-2 바이러스의 심각성을 파생하고 그것의 의학적 치료 속에서 새로운 회복 탄력성의 희망을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기독교 여성실천신학의 생태적 관계 속에서 사회와 환경의 지속가능한 회복 가능성을 제공한다. 연구자는 코로나-19 시대의 침체와 우울감을 절망과 통합의 기독교교육적 내러티브 속에서 해석학적 대안으로 제안한다. 특히 의학과 신학의 융합교육 과정 개발은 노인세대를 위한 의료선교와 코로나-19 시대의 새로운 교육적 모형으로 제네바대학교가 제공하는 역사적 사례로서 칼빈의 MOOC 강좌를 사례를 통해 제공된다. 이와 같은 의학과 신학의 융합 교육과 연구의 개발 성과는 코로나-19의 심각성을 극복하며 신앙공동체의 새로운 회복과 복지를 위한 기독교교육의 도덕적 함의를 제공함으로 의미 있는 공헌을 하게 된다.

코로나19 펜데믹 전후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관련 전공의 제4차 산업혁명중심 교과과정 변화 분석 (Analyzes the Changes in the Curricula of Computer and Software-Related Majors in Lin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mparing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 최진일;최철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25-632
    • /
    • 2024
  • 본 논문은 4차 산업 혁명에 필요한 핵심 ICT 관련 기술을 교육하는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관련 전공의 코로나19 펜데믹 전후의 교과과정 변화를 분석하였다. 대학교육 편제단위 표준분류에 따라 응용소프트웨어공학, 전산학·컴퓨터공학, 그리고 인공지능공학으로 분류된 172개 전공을 대상으로, 2023학년도와 2019학년도 교과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제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도입된 사물인터넷과 모바일, 클라우드와 빅데이터, 인공지능, 그리고 정보보안의 분야의 교과과정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각 교육과정 군에 대해 코로나19 팬데믹 전후로 관련 교과과정 도입이 약2.6%p 증가(2023 84.2%, 2019 81.6%)하였으며, 교육영역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계산한 4차산업혁명 대응지수(100점 만점)는 9.5점 상승(2023 37.0점, 2019 27.5점)하였으며, 이는 인공지능과 클라우드 및 빅데이터 분야의 교과 개설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COVID-19 펜데믹 상황에서 영유아를 둔 어머니의 코비드감염 불안, 분리개별화 문제가 양육스타일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Style by Infection Anxiety and Separation Individiaulization Problems in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 김영경;박완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17-432
    • /
    • 2022
  • 본 연구는 COVID-19 펜데믹 상황에서 영유아를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코비드 감염불안, 분리개별화가 어머니의 양육스타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어머니들의 양육에 도움이 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한 조사연구이다. 양육스타일인 온정적 양육과 통제적 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계수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분리개별화가 온정적 양육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β=-.40, p<.001). 그리고 코비드감염 불안은 통제적 양육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β=.21, p=.002), 분리개별화는 통제적 양육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β=-.26, p<.001). 즉 분리개별화 문제가 있으면 온정적 양육은 낮고, 코비드감염 불안이 높을수록 통제적 양육은 높으며, 분리개별화 문제가 있으면 통제적 양육도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COVID-19 펜데믹 상황과 같은 위기에서 영유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고, 어머니가 주체가 되어 자녀를 지도하고 양육하는 것이 아동의 올바른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사료된다.

재세계화와 지경학적 분절화: 코로나 19 이후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의 한국 시장 진출을 사례로 (Reglobalization and Geoeconomic Fragmentation: A Case Study of Chinese E-commerce in the Post-CO VID-19 Era)

  • 백일순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3-73
    • /
    • 2024
  • 글로벌 펜데믹으로 인한 보호무역주의의 강화, 지역 가치사슬로의 재편 등으로 인해 글로벌 생산 공급망은 펜데믹 쇼어링(니어쇼어링, 프렌드쇼어링 등)과 같이 우방국 혹은 동맹국 중심으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소비 공급망의 경우 정치적인 것보다 경제적 요인이 여전히 유효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C-commerce)의 급성장의 원인은 코로나 19 종식 이후 (1) 소비 진작을 위해 도입된 관련된 규제 완화(관세, 통관절차) (2) 제한된 소득 대비 더 많은 소비를 원하는 패턴 증가(가성비를 추구하는 소비) (3)글로벌 소비 시장의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기형적 기업 운영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현상을 통해 생산-소비 네트워크는 더욱 분절되고 탈동조화된 형태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소비 네트워크는 재세계화 현상인 디지털 기술 전쟁에 영향을 받아 더욱 파편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AR(증강현실)전시 유형 연구 (A Study of AR Art Exhibitions in a Post-COVID World)

  • 연규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264-273
    • /
    • 2021
  • 본 논문의 목적은 코로나-19 이후 뮤지엄 운영이 차질을 빚고 있는 상황에서 발달하고 있는 VR 전시의 한계에 대해 논의하고, 그 대안으로 현재까지 소개된 여러 유형의 AR 전시를 뮤지엄 중심으로 연구하여 코로나 시대에 디지털 콘텐츠가 어떻게 효과적으로 변화하고 활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VR/AR 전시를 코로나-19를 전후로 살펴본 결과, VR은 대부분 현실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소개하고 있어 미학적 현장감부재와 HMD 장비운영 문제를 드러낸다. 주로 보급률이 높은 모바일을 이용한 AR은 특정 실내 공간에서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는 '뮤지엄용', 개방된 실외 공간에서 이용할 수 있는 '특정 장소형', 디지털 콘텐츠와 인쇄물에 접목하여 우편형식으로 발송 가능한 '불특정 장소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중 특정/불특정 장소형은 실외 공간 및 우편 발송을 통해 가장 높은 비대면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펜데믹 시대의 효율적인 뮤지엄 콘텐츠 개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규범의 전환과 사회문제: 코로나를 중심으로 (The Transformation of Norms and Social Problems: Focusing on the COVID-19 Pandemic)

  • 이장주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8권3호
    • /
    • pp.513-527
    • /
    • 2022
  • 본 연구는 2020년을 전후하여 전세계를 휩쓴 코로나가 끼친 사회문화적인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한 규범의 전환과 사회문제를 고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펜데믹의 대표적인 사례인 14세기 유럽 흑사병이 미친 사회문화적 규범의 변화의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번 코로나를 분석하였다. 흑사병은 기존의 종교 권위와 봉건제도의 권력을 기반으로 한 사회규범을 계몽주의로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인구감소와 노동력 부족 현상은 상업화와 기계화를 촉진시키기도 하였다. 이 시기에 확산된 인쇄술은 지식의 대중화를 이끌었으며 이를 통해 사고의 수준이 높아지고 획기적인 과학적 발전을 이끌어 산업혁명의 토대가 되었다. 최근의 코로나는 흑사병처럼 사회적 규범의 변화를 촉발하였다. 가상과 현실이 혼합된 메타버스라는 기술적 환경은 개인의 정체성을 단일하게 구성되고 유지되어야 한다는 규범에서 벗어나 부캐를 통해 다양한 잠재력을 발휘하는 자유롭고 개방적인 정체성으로 성격을 변화시켰다. 또한 메타버스 상에서 자신과 동일한 세계관을 가지고 있는 이들과 친근하게 지내는 밈(meme)은 비대면 상황에서 고립감을 약화시켜주었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동안 발전된 인공지능(AI)은 인간을 보조해주는 기능을 넘어 창조적 활동에 이용되는 단계에 들어섰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바뀐 사회규범이 만들어 낸 새로운 사회문제는 어떤 것이 있을지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간호대학생의 수업 경험 (Class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in the Post COVID-19 Age)

  • 김서인;박민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8호
    • /
    • pp.97-107
    • /
    • 2022
  •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간호대학생의 수업 경험에 대한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코로나 펜데믹 이후 4학기 동안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을 모두 경험한 1-4학년 재학생 10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12월 9일부터 12월 30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 6개의 범주, 13개의 주제모음, 25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6개의 범주는 '미래에 대한 막연함', '간호 실무에 대한 자신감 결여', '수업 시스템의 안정화', '상황에 대한 수용과 적응', '예비간호사로서 직업적 소명의식을 가짐', '비대면 수업의 개선 방향을 찾음'이었다. COVID-19 발발 이후 만 2년이 지난 현시점에서 간호대학생의 수업 경험에 대한 이해는 향후 교육 방향에 대한 전략을 모색하고 미래 교육의 질을 제고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메타버스 기술에 대한 소고 (Review of Metaverse Technology)

  • 정상훈;이성옥;전성우;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41-344
    • /
    • 2021
  • 메타버스는 코로나19 펜데믹과 더불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분야이다. 다만, 메바터스의 기존 개념에서 오인되거나, 새로운 것이 나타난 것이 아님을 여러 사례에서 살펴 볼 수 있다. 향후 전개될 메타바서스 시대에 본고와 같은 시각의 접근이 도움이 되길 바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