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케이블 센서

Search Result 15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Elasto-Magnetic Sensors-based Cross-sectional Loss Monitoring of Steel Cables (E/M 센서를 이용한 케이블 단면 손실 모니터링)

  • Kim, Ju Won;Park, Seunghee;Lee, Jong Jae;Yim, Jinsu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92-92
    • /
    • 2011
  • 최근 건설기술의 발전과 함께 강재 케이블을 이용하는 시설물의 시공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현수교, 사장교와 같은 초장대 교량에 사용되는 케이블은 주거더 및 상판에 의한 하중의 대부분을 지지하는 핵심부재이다. 하지만 이러한 케이블 부재는 부식, 파단 등으로 인한 단면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손상부의 응력집중으로 인해 시설물 전체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진다. 따라서 조기에 단면손실을 찾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강재 케이블 비파괴 검사 기술기반의 건전성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효율적인 건전성 모니터링을 위해 스마트 센서를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중 대표적인 스마트 센서중 하나인 마그네틱 센서는 높은 신뢰도와 어디에나 적용 가능한 재현성 때문에 구조물 건전성 평가에 적용하기 유용한 기술로 그 적용범위가 선박, 항공등으로 점점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마그네틱 센서는 그 적용대상에 따라 다양한 마그네틱 특성을 활용할 수 있는데, 최근에는 투자율 계측을 통해 케이블의 장력 측정이 가능한 Elasto-Magnetic 센서(E/M 센서)가 개발되었고 그 활용성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M 센서를 이용한 강재 케이블 모니터링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E/M 센서는 본래 케이블의 장력측정을 위해 개발되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강재 케이블 부재의 단면손실 검색을 위해 적용하였다. 제안된 기술의 실험적 검증을 위해 E/M 센서를 이용하여 4가지의 다른 직경을 가지는 강봉시편을 E/M 센서헤드의 1차 코일을 통해 자화시키고, 각각의 직경에서 출력전압을 2차 코일을 이용하여 계측하였다. 그 결과 강봉의 직경이 감소함에 따라 출력 전압이 감소함을 보였다. 반복실험을 통해 해상도 및 선형성이 확보되는 최적의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워킹포인트를 선정하였고, 선정된 조건에서 강봉시편을 일정 간격으로 스캔한 결과 단면감소에 따른 선형적인 출력전압 감소와 동시에 단면 변화 지점에서는 추세선에서 크게 벗어난 출력전압 계측값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을 통해 제안된 E/M 센서를 이용한 강재 케이블 모니터링 기술의 유용성 및 적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Fabrication and Reliability Properties of Optical Fiber Sensor Cable for Detecting Intruders (침입자 감지용 광섬유 센서 케이블 제작 및 신뢰성 특성)

  • Kim, Jun-Hyong;Jung, Yoon-Seok;Sung, Tae-Kyung;An, Bo-Young;Park, In-Chul;Lee, Hyu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9.06a
    • /
    • pp.208-208
    • /
    • 2009
  • 최근 광섬유 센서기술의 수요는 전 산업분야에 걸쳐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비례하여 기업 간, 국가 간 경쟁이 첨예화되고 있다. 또한 소형화, 경량화, 고성능화 센서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어 종래의 각종 센서들의 형태와 개선을 위한 연구개발이 매우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으므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광섬유 센서의 수요가 급격히 늘어날 전망이다. 기존 침입자 감지 시스템은 태풍, 낙뢰, 폭설, 폭우 등의 기상변화나 지반 흔들림, 통행차량 진동 및 전자기 간섭 등에 영향을 받아 오작동, 오경보가 빈번히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 광섬유 센서 케이블을 이용한 시스템이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군부대, 공항을 중심으로 펜스와 휴전선 철책에 힘입자 감지를 위하여 도입되고 있다. 광섬유 센서 케이블을 사용하는 광망경비시스템은 광섬유 센서 케이블을 그물망 형태(광망)로 만들어 경계 지역에 설치된다. 광망경비시스템의 원리는 광섬유에 광펄스를 입사시켜 순환시키는데 침입자가 광망을 절단하거나 외력을 가할 경우 발생되는 레일리 산란에 기인하는 후방산란과 접속점과 파단점에서 생기는 반사광을 OTDR(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로 검출하여 침입상황 및 침입위치를 탐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침입자 감지를 위한 광망경비시스템의 핵심부품인 광섬유 센서 케이블은 기존에 전량 해외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며, 지금까지 국내에서 생산하기 위한 제작 기술과 노하우가 초보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광섬유 센서 케이블 제작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 패키징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광섬유 센서를 일반적인 피복 구조로 패키징하게 되면, 센서 고유의 특성이 패키징 과정과 운반과정, 포설과정에서 변하게 되고 센서로써의 신뢰성이 크게 저하된다. 본 연구에서는 힘입자 감지용 광섬유 센서 케이블의 설계와 제작을 위한 제조공법을 확립하고, 이를 이용해 제작된 광섬유 센서 케이블의 신뢰성 특성을 평가하였다. 설계 제작된 광섬유 센서 케이블의 구조는 멀티모드광섬유(MMF) 에 0.9 mm Tight buffer를 코팅하고, 광심선 주위에 아라미드 얀을 삽입시킨 후 고문자 수지를 적용하여 외부 피복 (jacket)을 하였다. 제작된 광섬유 센서 케이블의 외경 측정결과 기준치 ($2.95\;{\pm}\;0.03$ mm)를 모두 만족하였고, 850 nm 파장에서의 광 손실 측정 결과 4.0 dB/km 이하였다. 또한 주요 항목의 신뢰성 특성 시험결과, 인장강도는 8~10 kg의 인장력을 갖으며 온도순환시험 ($-30^{\circ}C\;{\sim}\;+75^{\circ}C$)에서의 광 손실은 0.6 dB 이하로 나타나 침입자 감지용 광섬유 센서 케이블로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Comparative Study of Cable Tension Measurement Methods by In-situ Measurements on a Cable-stayed Bridge under Construction (시공 중 사장교 실측을 통한 케이블 장력 추정 기법 비교 연구)

  • Cho, Soo-Jin;Yim, Jin-Suk;Shin, Sung-Woo;Jung, Hyung-Jo;Yun, Chung-Bang;Wang, Ming.L.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48-51
    • /
    • 2011
  • 사장교에서 케이블은 하중을 지지하는 주요 부재로, 케이블 장력은 사장교의 건전성과 안전도 평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이다. 케이블 장력을 추정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로드셀을 이용한 직접법과 진동 계측 자료를 이용한 간접법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자기장-응력 관계를 이용한 EM(Elasto-Magnetic) 센서 측정법이 개발되어 케이블 장력 추정에 적용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세 가지 장력 추정 기법을 실제 시공중인 사장교에 적용하여, 그 성능을 상호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KAIST와 미국 Northeastern 대학교의 공동연구로 수행되었다. 대상 교량은 부산 화명동과 김해 초정리를 연결하기 위해 현재 건설중인 화명대교이다. 화명대교의 교량 형식은 2주탑 콘크리트 사장교 (주탑 경간장 270m, 총 사장교 구간장 500m)이며, 사장재로는 MS (Multi-Strand) 형 케이블이 사용되었다. 실험 당시 화명대교는 중앙경간의 폐합 후 선형관리를 위한 장력조정작업을 수행하였으며, 케이블 재긴장시의 정확한 장력관리를 위하여 로드셀을 이용한 Lift-off test방법으로 케이블의 장력을 측정하였다. 이와 동시에 두 개의 케이블을 대상으로 진동 가속도 센서와 EM 센서를 설치하고 장력 계측을 수행하였으며, 재긴장 단계별 장력 변화치를 지속적으로 계측하였다. 계측된 결과를 바탕으로 케이블 장력 추정 기법의 정확성 및 실교량에서의 활용성을 비교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Magnetic Sensor for Measurement of the Cable Tension of Large Scale Bridge (대형교량 케이블 장력 측정을 위한 자기센서 개발)

  • Park, Hae-Won;Ahn, Bong-Young;Lee, Seung-Seok;Kim, Jong-W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27 no.4
    • /
    • pp.339-344
    • /
    • 2007
  • Safety of large scale cable in bridge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may cause the unwanted catastrophic failure. Although the proof load were considered at the design stage, its soundness must be monitored continuously because the cable may be broken out without warning by the variable external load. The cable tension of in-use structures has been mainly measured by the resonance method and its use has been limited because of relatively large measurement uncertainty. Recently a new magnetic method was developed and its reliability is known to be good for evaluating the cable tension. In this study a system which can deliver the calibrated load to the cable was developed and the measurement reliability of developed magnetic sensor according to the change of external load was analyzed quantitatively. The effect of magnetization frequency, bias magnetic field, and temperature on the sensor output was also evaluated.

Partial Discharge Sensor Characteristics for Distriminating Location in Power Cable (전력 케이블의 부분방전 위치 추정용 센서 특성 연구)

  • Nam, S.H.;Shin, D.S.;Kwon, Y.H.;Lee, S.J.;Kim, D.W.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11b
    • /
    • pp.326-32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케이블 내전압 시험 및 부분 방전 측정 시험에 사용될 수 있는 전구 차단 장치의 차단 기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케이블 부분방전 센서의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부분방전 발생시 부분방전 발생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센서의 종류 및 구조를 주파수 특성과 시간 특성을 함께 측정한 결과를 보고한다.

  • PDF

Deformation Measuring of Tensegrity Structure by Optical Fiber Bragg Grating Sensor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를 이용한 텐서그리티 구조물의 변형 계측)

  • Lee, Seung-Jae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8 no.6
    • /
    • pp.95-100
    • /
    • 2008
  •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verify possible to monitor the deformation of cable in the tensegrity structure. Also, always monitoring system of tensegrity structure using Fiber Bragg Grating Sensor is described. We carry out experiments with measuring deformation of cable in the tensegrity structure based on loading conditions. In the result of experiment, the Fiber Bragg Grating Sensors shows accurate response to the loading conditions. Therefore, we can make sure the possibility of Fiber Bragg Grating Sensor in health monitoring of the cable structure like tensegrity structure.

  • PDF

Estimation of Cable Damages using Piezo Disk and Optical Fiber Sensors (압전소자와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케이블의 손상평가)

  • Park, Kang-Geun;Kim, Ie-Sung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9 no.3
    • /
    • pp.67-74
    • /
    • 2009
  • Presently means of utilizing sensors such as Piezoelectric(PZT) Element for evaluating the affect of oscillator, strain gauge for analyzing physical changes and use of Fiber Bragg Grating(FBG) Sensor are widely practiced in the field. In this study, PZT and FBG sensors were used to tearing damage of cable systems in these sensors. Cable systems are a construction of elements carrying only tension and no compression or bending in membrane structure. But damage detection of cable systems by using existing safety diagnosis is difficult to detect the characteristic change of overall structural action. If cable snaps are occurred to cable release and tear in tension structures, these are set up a vibration. So, we used piezo-electric materials and result of experiment using this was compared with result of experiment using FBG senso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of damage detection method of cable system in tensile stress.

  • PDF

Measuring Deformation of Cable in the Tensegrity Structure by Optical FBG Sensor (FBG센서를 이용한 텐서그리티 구조의 변형 계측)

  • Lee, Seung-Jae;Lee, Chang-Woo;Ju, Gi-Su
    • Proceeding of KASS Symposium
    • /
    • 2008.05a
    • /
    • pp.189-194
    • /
    • 2008
  • The main object of this paper is that it's possible to monitoring the deformation of cable in the tensegrity structure. always monitoring system of Fiber Bragg Grating(FBG)Sensor is described. The measurement of parts on the cable is very important. We make an experiment with measuring deformation of cable in the tensegrity structure to the pressure conditions. In the result of experiment, the fiber sensors showed good response to the pressure conditions. Therefore, We could calculate the deformation of cable structure and be possible health monitoring of the tensegrity structure.

  • PDF

A Study on Applicability of Wireless Impedance Sensor Nodes Technique for Tensile Force Monitoring of Structural Cables (구조용 케이블의 인장력 모니터링을 위한 무선 임피던스 센서노드 기술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 Park, Jae-Hyung;Hong, Dong-Soo;Kim, Jeong-Tae;Na, Won-Bae;Cho, Hyun-M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22 no.1
    • /
    • pp.21-31
    • /
    • 2010
  • In this study, a technique that uses wireless impedance sensor nodes is proposed to monitor tensile force of structural cable. To achieve this goal, the following approaches were implemented. First, a wireless impedance sensor node was designed for automated and cost-efficient prestress-loss monitoring. Second, an impedance-based algorithm was embedded in the wireless impedance sensor node for autonomous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of structural cables. Third, a tensile force monitoring technique that uses an interface plate for structural cables was propos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wireless impedance sensor node such as its narrow-band measurable frequency ranges. Finally, the applicability of the wireless impedance sensor node and the technique that uses the interface washer were evaluated in a lab-scaled prestressed concrete (PSC) girder model with internal and external tendons for which several prestress-loss scenarios were experimentally monitored with the wireless impedance sensor nodes.

Field Application of a Cable NDT System for Cable-Stayed Bridge Using MFL Sensors Integrated Climbing Robot (누설자속센서를 탑재시킨 이동로봇을 이용한 사장교 케이블 비파괴검사 시스템의 현장 적용)

  • Kim, Ju-Won;Choi, Jun-Sung;Lee, Eun-Chan;Park, Se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34 no.1
    • /
    • pp.60-67
    • /
    • 2014
  • In this study, an automated cable non-destructive testing(NDT) system was developed to monitor the steel cables that are a core component of cable-stayed bridges. The magnetic flux leakage(MFL) method, which is suitable for ferromagnetic continuum structures and has been verified in previous studies, was applied to the cable inspection. A multi-channel MFL sensor head was fabricated using hall sensors and permanent magnets. A wheel-based cable climbing robot was fabricated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to the cables, and operating software was developed to monitor the MFL-based NDT research and control the climbing robot. Remote data transmission and robot control were realized by applying wireless LAN communication. Finally, the developed element techniques were integrated into an MFL-based cable NDT system, and the field applicability of this system was verified through a field test at Seohae Bridge, which is a typical cable-stayed bridge currently in 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