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컴퓨터 교육 경험

Search Result 42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 Analysis of Students' Secondary School Computer Learning Experiences for the Undergraduate Computer Education (대학 컴퓨터 교육을 위한 중등 컴퓨터 교육 경험의 실태분석)

  • Kim, Jong-S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1 no.2
    • /
    • pp.177-18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computer education experience of high school graduates that were taught under the 7th curriculum and present insight into the making of required computer course for college. To achieve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college freshmen to fill out about computer education performed not only during middle school, but also outside of the classroom. For suggestions towards computer courses for college students, how students are being taught the use of computers, how students are using computers, and how the computer proficiency of the students were assessed.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computer education experiences, this study suggests a guiding principle in freshmen's computer education.

  • PDF

Software Education based on Experiential Education (경험 중심 교육을 기반으로 한 소프트웨어 교육 방안)

  • Jin, Kwang-Hun;Lee, Myu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327-330
    • /
    • 2019
  • 본 연구는 기존의 소프트웨어 교육 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존듀이와 프레네의 경험 중심 교육 방법에 기반을 둔 새로운 소프트웨어 교육 모델을 제안한다. 경험 중심 기반의 새로운 소프트웨어 교육 방법은 학습자들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일상생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문제 해결력을 기르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유로운 사고방식으로 일상생활의 다양한 문제를 발견할 수 있는 능력과 다양한 경험을 통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체계화된 소프트웨어 교육 모델을 구성할 것이며 이를 통해 소프트웨어 교육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Difference of Computational Thinking by Programming Experience (프로그래밍 경험에 따른 Computational Thinking의 차이에 관한 연구)

  • Sung, Jung Sook;Kim, Minja;Kim, Hye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699-1701
    • /
    • 2013
  • 최근 프로그래밍 교육이 새로운 방식의 사고력을 길러준다는 점에서 컴퓨터 공학 전공자뿐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해 길러지는 새로운 사고 과정인 computational thinking 관련 연구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에 의존적인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측정하고 있으며 프로그래밍 경험 자체가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현상의 문제 해결을 위한 computational thinking에 영향을 주었는지를 연구한 결과는 아직 명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경험 유무에 따라 computational thinking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 프로그래밍 경험이 있는 학생이 일상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문제를 더 논리적이고 상세하게 추상화하고, 구조화를 통해 더 명확한 모델링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프로그래밍 경험 유무에 따라 computational thinking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computational thinking의 함양을 위해 프로그래밍 교육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An Analysis of Students' Secondary School Computer Education Experiences (중등 컴퓨터 교육 경험의 실태분석)

  • Kim, Jong-S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8a
    • /
    • pp.223-22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computer education experience of high school graduates that were taught under the 7th curriculum and present insight into the making of required courses for college. To achieve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college freshmen to fill out about computer education performed not only during middle school, but also outside of the classroom. For suggestions towards computer courses for college students, how students are being taught the use of computers, how students are using computers, and the computer proficiency of the students were assessed.

  • PDF

An Analysis o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for Disadvantaged student (소외계층 학생의 인공지능 교육 실태 조사)

  • Kim, Seong-Won;Kim, Youngmi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235-23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교육에서 소외계층의 지원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소외계층과 일반 학생의 인공지능 교육과 관련된 여러 요인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실태 조사 결과를 소외계층과 일반 학생을 비교하여, 소외계층의 인공지능 교육에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인공지능 교육 관련 실태를 조사할 수 있는 설문을 구성하였으며, 온라인을 통해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소외계층 662명과 일반 학생 1,482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소외계층은 일반 학생보다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프로그램이 언어나 피지컬 컴퓨팅을 경험한 학생 비율이 높았다. 또한, 인공지능 직&·간접적 경험의 비율은 일반 학생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하지만 인공지능 교육 경험 비율은 일반 학생이 약 20% 높았다. 이러한 내용을 종합하였을 때,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인공지능 교육을 받는 학생의 비율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n Correlation Analysis of Software Education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Teacher Variables (초등 교사의 변인에 따른 소프트웨어 교육 교수효능감 상관 분석)

  • Yi, Soyul;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213-214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초등 현직 교사 14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소프트웨어 교육 교수효능감 검사지(Software Education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E-TEBI) 조사 결과에 따라 교사의 성별, 지역, 경력, 연수 경험 및 시간, SW 교육에 대한 태도와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변량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프트웨어 교육 교수효능감(Software Education Teaching Efficacy, SE-TE)에 가장 높은 관련성을 보이는 것은 SW 교육에 대한 태도였으며, 그 다음의 관련성을 보이는 것은 연수 경험 및 시간이었다. 성별은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지역과 경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초등 교사의 SE-TE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SW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수 경험을 제공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 PDF

A Study on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중학생의 인공지능 리터러시 조사)

  • Kim, Seong-Won;Lee, Eun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401-40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인공지능 리터러시와 인공지능 리터러시에 영향을 주는 요인(성별, 인공지능 관련 경험,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을 조사·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생의 인공지능 리터러시는 여성보다 남성이 높았다. 모든 세부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지만, 인공지능 문제 해결과 관련된 세부 요인은 남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 관련 경험은 인공지능 간접 경험, 직접 경험, 교육 경험이 있는 학생이 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인공지능 리터러시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인공지능 리터러시가 높았다.

  • PDF

Analysis of the ICILS 2018 Results by Korean Students' Educational Experience in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and Computational Thinking (우리나라 학생들의 컴퓨터·정보 소양 및 컴퓨팅 사고력 교육 경험에 따른 ICILS 2018 결과 분석)

  • Jeon, Seongkyun;Son, Yoonhee;Park, Sangwook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23 no.3
    • /
    • pp.1-8
    • /
    • 2020
  • Korean 8-grade-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ICILS 2018 were educated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here the 'Informatics' subject was an optional course in the regular curriculum. In order to closely analyze the ICILS 2018 results, it wa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situation in Korea that related educational experiences may differ among students. This study surveyed the students' educational experiences related to Informatics subject in the context of individual and schools. The average scores of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CIL) and computational thinking (CT) of the ICILS 2018 were analyzed and compared by students' educational experiences. As a result, the average CT score of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coding and programming education was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Also, the more time students took the Informatics subject, the higher the average CT scores wer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in terms of expanding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ssociation between the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Computer Experience, and Satisfaction in the Elderly (노인의 전산화 신경인지 검사와 만족도, 컴퓨터 이용경험 사이의 연관성)

  • Moon, Jong-Hoon;Yang, Seung-Bum;Jeon, Min-J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9
    • /
    • pp.452-45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CN Test), computer experience, and satisfaction in the elderly. We recruited 52 healthy elderly persons (25 males and 27 females) for this study. The subjects did the CN Test (accuracy, response time) and evaluated their computer experience and satisfaction with the CN Test. We used the independent t test and Pearson correlations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elderly without computer experience were older than the elderly with computer experience (p < .05) and education level was lower (p < .05). The elderly with computer experience were higher the satisfaction than the elderly without computer experience, the CN Test was more accurate, and response time was faster (p < .05).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higher the age and the lower the education level, the lower the accuracy of the CN Test and the faster the response time (p < .05). Satisfa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e, and was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education level (p < .05). The satisfaction level with the CN Test by the elderly has a moderate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education and computer experience.

A Study on Image Sensibility Evaluation (이미지의 감성평가에 대한 연구)

  • Lyu, Ki-Gon;Sun, Dong-Eun;Han, Jung-Soo;Kim, Hye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697-1698
    • /
    • 2013
  • 정보처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정보에 대한 접근과 소통은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되었고, 동시에 사용자의 정보에 대한 요구 또한 세분화되고 다양해지면서, 이러한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경험과 소통하여 인지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감성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감성은 동일한 외부자극에 대해 개인의 경험, 환경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측정하기가 어렵지만, 외부자극에 대해 반사적이고 직관적으로 발생하여 의사결정 과정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사용자의 경험과 소통하여 사용자의 요구를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공유 사이트를 이용하여 이미지라는 외부자극에 대해 사용자들이 느낀 어휘들을 수집하고 긍정과 부정 감성을 분석하여 어휘를 기반으로 이미지의 감성을 측정하고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