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컴퓨터교과 수업

Search Result 28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Study on Organization of Computer Education through Analyzing Learning Content of Other Subjects - Case of Computer Science. - (타교과 수업 내용 분석을 통한 컴퓨터 수업내용 체계화 연구 - 컴퓨터 내용학을 중심으로 -)

  • Gwon, Yeong-Seop;Han, Seon-Gwan;Kim, Yeong-Gi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1a
    • /
    • pp.69-76
    • /
    • 2006
  • 컴퓨터 교과의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컴퓨터 교육이 독립교과로 채택되어야 함에도 재량시간으로 실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각 교과별 수업 내용 분석을 통해 컴퓨터 교과의 수업 내용 체계화를 연구하여 독립교과로서의 자리잡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우선 타교과 수업 내용 분석을 하였으며 각 교과의 내용 체계에서 컴퓨터 교과로 선정할만한 내용들을 조직하여 컴퓨터 교과의 내용 체계를 제시해 보았다.

  • PDF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Web-Based Problem-Based Learning for Computer Subject in Middle School (중학교 컴퓨터 교과에서의 웹기반 PBL 수업의 실제 및 평가)

  • Tae, Won-Kyung;Kim, Min-Kyeo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9 no.4
    • /
    • pp.1-14
    • /
    • 2006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o improve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in the computer subject. A web-based problem-based learning (PBL) for computer subject for the 8th graders in middle school are designed and developed. In addition. the process of learners' problem solving on problems produced from PBL model was analysed 10 investigate the way how to evaluate learners' responses and products during two semester.

  • PDF

Study on the Efficacy of Utilizing Student Assistants on Task Performance Ability in Middle School Computer Education (중학교 컴퓨터교과 실습수업에서 도우미학생 활용 시범.실습법이 학생들의 과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Lee, Gab-Ye;Kim, Yung-Si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219-225
    • /
    • 2007
  • 컴퓨터교과는 학생들의 일반적인 학업성취 개인차 요인과 더불어 필수 교과가 아니기 때문에 학교 혹은 교사마다 교육하는 내용이 상이하여 학생들이 상급학교로 진학하였을 때 학생들 간의 수준 차가 심화된다. 이러한 다양한 수준차가 있는 학생들을 교사 1인이 한정된 시간 안에 모든 학생들의 수준에 맞추어 지도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또 넓은 컴퓨터실에서는 학생들의 주위가 분산될 우려가 많으므로 학생들의 행동을 수시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컴퓨터교과 실습수업 시에는 보다 효과적인 지도방법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교과 실습지도 방법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컴퓨터교과 실습수업 시 널리 사용되는 시범 실습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도우미학생 활용 시범 실습법을 제안하고, 중학교 컴퓨터 정규교과 시간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도우미학생 활용 시범 실습법이란 교사는 실습내용을 설명하고, 모든 학생들은 교사의 설명과 동시에 실습을 하며, 도우미학생의 실습내용이 빔 프로젝트를 통해 다른 학생들에게 보여짐으로써 교사의 시범을 대신하는 방법을 말한다. 컴퓨터교과는 설명만으로도 실습 가능한 내용이 많아 이러한 지도방법이 가능하다 이 방법은 실습내용을 최소한의 작은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로 교사의 설명과 개별지도, 모든 학생의 실습과 관찰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 방법은 교사의 행동이 자유로워 설명과 동시에 개별지도가 가능해 개별지도의 확대를 가져올 수 있으며, 학생들에게 보다 많은 즉각적인 피드백을 줄 수 있으며, 학생들의 행동을 수시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검증도구로 'html 태그' 단원 5차시 분량의 과제수행능력평가도구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검증결과 학업성취 중하수준의 도우미학생 활용 시범 실습으로 수업한 집단은 통제반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학업성취 중상수준의 도우미학생 활용 시범실습으로 수업한 집단은 통제반에 비해 과제수행능력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로써 제안한 지도방법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Computer Teaching -Learning Model through Analysising Other Subject Teaching-Learning Model (타교과 수업모형 분석을 통한 컴퓨터교과 수업 모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Kwang-Woo;Han, Sun-Kwa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102-110
    • /
    • 2004
  • 현행 7차 교육과정에서는 정보통신기술을 재량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필수적으로 36시간 이상의 수업을 하도록 전장하고 있다. 이에 각 시 도에서는 자체적으로 교재를 개발하고 그에 따른 교사용 지도서도 나와 있다. 그러나 컴퓨터 내용학에 관한 교수 모형은 타 교과에서 만들어진 것을 차용하거나 컴퓨터 교과에 무리하게 적용한 것이 대부분이라 하겠다. 또한 컴퓨터 내용학보다는 소프트웨어를 다루는 기능 위주의 교육 내용 편성이 대부분이라 내용학을 다루는 것은 극히 일부라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컴퓨터 내용학의 교수 모형을 제시하여 초등학교에서의 컴퓨터 내용학을 가르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현재 응용 소프트웨어 활용에 연연하고 있는 재량 활동 시간의 정보통신교육보다는 앞으로 정규교과목으로 지정될 것을 전제로 컴퓨터 내용학을 중심으로 한 교수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Case Study of Flipped Learning in Algorithm Class (알고리즘 수업에서 거꾸로 학습의 적용 사례)

  • Lee, S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183-18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공학의 대표적인 교과목인 알고리즘 교과목에 대하여 거꾸로 학습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준다. 학생들은 집에서 온라인 컨텐츠로 학습을 하고 수업 시간에는 숙제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시간에 진행하는 과제는 그룹 과제와 개인 과제로 구성되어 있어, 토론을 활성화 하여 학습 효과를 높이도록 하였다. 성과 분석 결과, 거꾸로 학습이 전통적인 수업에 비하여 동등하거나 또는 더 나은 효과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An Analysis of the Teaching Operational Realities of "Software-Engineering-Capstone-Design" ("SW공학적 종합설계" 수업 운영 실태 분석)

  • Kim, Young-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1a
    • /
    • pp.19-2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공학기술교육인증제에서 요구하는 종합설계 교과목의 수업운영 사례 분석을 통하여 효과적인 수업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종합설계는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현장 실무능력을 키우기 위한 교과이다. 종합설계는 대부분 목표 및 약간의 제약조건, 평가 기준들을 포함하고 있다. (사)한국공학교육인증원 인증 기준은 8개이며, 교육과정 영역에서 종합설계 교과의 필수 개설 및 실질적 운영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컴퓨터멀티미디어과는 2011년 (사)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TAC 인증평가를 받았으며, 본 논문에서는 "SW공학적 종합설계" 교과의 수업 운영 실태 중심으로 컴퓨터공학 분야 종합설계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and Standard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Objectives for Informatics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정보 교과 수업목표 분석 및 기준 개발)

  • Jin, Young-Hak;Huh, Min;Jung, Bok-Moon;Kim, Yongsik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2 no.2
    • /
    • pp.47-59
    • /
    • 2009
  • Informatics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been developed by cities, provinces, and private publishers respectively, and instructional objectives differ depending on the textbook selected by each school. Therefore, discussion on the analysi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is highly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tandard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for Informatics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analysi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To do so, first, an analysis frame was made based on preceding studies for instructional objectives. Second, instructional objectives of current Informatics textbooks were analyzed. Finally, standard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were developed applying Delphi method. It is expected that the standard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suggested here will be referred to as a guideline for developing the curricula and textbooks for Informatics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and to contribute to the normalization of production for qualified textbooks and education in Informatics subject in the future.

  • PDF

Blended Learning Applied Curriculum Design for Nursing Department's Computer-Utilizing Academic Subjects (간호학과의 컴퓨터 활용 교과목 수업을 위한 브랜디드 러닝을 적용한 교과과정 설계)

  • Yoon, Sung-Ja;Kim, No-Whan;Park, Jin-Seob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2 no.2
    • /
    • pp.375-384
    • /
    • 2017
  • This paper is intended to provide a good lecture to computer utilizing courses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therefore first analyzes the outlines of relevant qualifying examinations as well as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and syllabus that are currently taught in universities, and then design the curriculum by applying blended learning for effective proceedings of computer-utilizing course. The curriculum for computer-utilizing course which this paper suggests is based on blended learning which blends face-to-face classes with e-learning classes, and its two tracks of teaching and practice include weekly core areas, teaching goals, and subjects. Therefore, this curriculum is expected to lead to excellent learning outcomes as it will become a good teaching scheme for teachers and will motivate students to acquire license. and to find employment.

Study of Analysis about Learning Objectives of Informatics Textbooks in Middle School using Anderson'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erson의 교육목표분류법을 이용한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수업목표 분석에 관한 연구)

  • Choe, Hyun Jo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7 no.1
    • /
    • pp.51-63
    • /
    • 2014
  • Learning objectives is used to be a good guidance of a class evaluation and activity design for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class. Anderson'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at was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has presented in research field of other subject matters and used as a better guideline for analyzing learning objectives in textbook and achievement levels in test recently. This study has behaved some questionnaires for that Anderson's taxonomy is suitable for a guideline of stating learning objective in Informatics subject matter, and analyzed the learning objectives in 6 Informatics textbooks by Anderson's taxonomy. It has proposed that Anderson's taxonomy is satisfactory for expressing learning objective of Informatics subject matter in class and some dimensions, such as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understand, and apply, are much more used in learning objectives in 6 Informatics textbooks. This results will be a good case study in research about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development of Informatics textbooks.

  • PDF

An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and the Motivation Degree of the Related Programming Course by Extracurricular Programming Study Activities (교과외 프로그래밍 학습 활동을 통한 연계 수업의 만족도와 학습 동기 부여 분석)

  • Ahn, You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484-485
    • /
    • 2018
  •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 연계된 다양한 교과외 학습 활동들은 학습자들의 맞춤형 프로그래밍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튜터링, 교수자 중심의 전공스터디, 학생들의 자발적 스터디 모임 등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래밍 중심 교과외 학습 활동들이 연계된 프로그래밍 수업의 만족도와 학습 동기 부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