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컴퓨터과학교육

Search Result 67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중등 수학 및 컴퓨터과학 교육에서 컴퓨터 교육의 연결성 및 통합성

  • Jeong, Chi-B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0
    • /
    • pp.303-324
    • /
    • 2000
  • 수학 교육에서 새로운 정보기술의 교육적 사용의 범위는 커지고 교육 모형은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중등 수학교육에서의 변화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다. 본 논문은 미국 및 한국의 수학 교육계의 폭넓은 지지를 받는 NCTM의 컴퓨터 및 정보기술 활용에 관한 규준들의 교육적 의미, 방법, 효용 등을 정리하였다. 이어서 컴퓨터과학 교과과정에 포함된 수학 분야에 대한 컴퓨터과학자 Hamming의 견해를 소개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의 중등 교육에도 컴퓨터과학 교과가 시행될 것을 예정하면서 수학 교사들이 미리 컴퓨터과학을 교과과정을 이해함으로 통합 교과적 요소, 특성 그리고 역할 관계를 알아보았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Computer Science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컴퓨터 과학 교육과정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외국 컴퓨터 과학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

  • Choi, Mi-Seon;Jeong, In-Kee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61-68
    • /
    • 2005
  • 지금까지 컴퓨터 교육은 많은 발전이 있어왔고 제 7차 교육과정에서 매주 1시간씩 정보통신 기술교육을 함으로써 교과로서의 컴퓨터교육으로 한걸음 나가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은 정보소양 및 ICT 활용교육에 치중하는 등 많은 문제들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의 컴퓨터 교육과정과 관련된 연구를 중심으로 현행 교육의 실태와 컴퓨터 교육의 방향을 파악하고,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과정을 본질적인 과학으로서 접근한 ACM 교육과정과 인도, 미국 등 외국의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며, 외국의 교육과정과 우리나라의 초등 컴퓨터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초등학교 컴퓨터 과학 교육과정의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

The Improvement Sought Through A Study on the State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for Elementary Teachers (초등학교 교사들의 컴퓨터과학 교육 실태 조사를 통한 컴퓨터 교육의 개선방안)

  • Lee, Sung-Rae;Kim, Chul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37-44
    • /
    • 2010
  • 현대 사회는 미래의 지식과 정보의 시대에 대비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 컴퓨터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날로 커져가고 있다. 이에 제7차 교육과정에서도 컴퓨터 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연간 34시간 이상 컴퓨터를 교육하도록 명시하고 있지만 가장 기초적이라 할 수 있는 초등학교에서의 컴퓨터 교육이 교사들에 의해 제대로 시행되고 있지 않고 있으며, 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태를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컴퓨터과학 교육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정보통신윤리 개정 지침안에 대한 교사 교육이 의무화되어야 하며, 컴퓨터과학 교수학습 방법 및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프로그램의 기능 연수가 개설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정보통신기술 교재 교사용 지도서가 전문화, 체계화 되어야 한다. 셋째, 컴퓨터과학 교육을 수업 현장에서 쉽게 실현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개발하여 보급해야 한다. 넷째,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 과정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 PDF

초중등과정에서의 컴퓨터과학교육의 역할과 필요성

  • 이원규;정효숙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 /
    • v.22 no.5
    • /
    • pp.31-34
    • /
    • 2004
  • IT 인력개발은 일반적으로 컴퓨터과학(Computer Science)에 대한 교육을 중심으로 대학교육에 국한되어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IT 환경의 변화나 관련 기술의 발달은 대학교육에서의 컴퓨터과학에 관한 교육체계의 변화만으로는 부족한 IT 인력의 양성이나 사회전반에 걸친 막대한 컴퓨터교육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게 한다. 우리 나라에서도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많은 컴퓨터교육 관련 전문가들이 좋은 방향을 제시하고 개선책을 발표하는 등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Methodology of Coding Education in Computer Science (컴퓨터 과학분야 코딩 교육 방법론)

  • Choi, Hyun Wong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7.08a
    • /
    • pp.153-156
    • /
    • 2017
  • 제 4차 산업혁명이 시작되고 있는 지금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수요가 늘어나고 이들의 교육이 중요해 지면서, 초, 중 고등학교 컴퓨터 코딩 교육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컴퓨터 과학 분야의 코딩 교육과 관련된 정부 및 비영리 교육기관들의 동향을 살펴보고, 정보올림피아드 경시 및 공모부분 대회, 해커톤을 통해 컴퓨터 과학 코딩 교육의 향후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후, 코딩 교육을 통해 응용가능 한 학문분야에 대해서 다루었으며, IT 생태계의 활력을 불어넣은 스타트업 창업 사례를 제시함으로서 이후 코딩 교육을 받았을 때 향후 진로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 PDF

From integration to independence, the evolution of computer science subject in Israel (통합에서 독립으로, 이스라엘 컴퓨터과학 교과의 진화)

  • Kim, JaMee;Lee, WonGyu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7 no.4
    • /
    • pp.33-44
    • /
    • 2014
  • To understand an educational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is to check the status of the respective subjects involved.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computer science education and educational curricula in Israel, a leader in fostering creative human resources, so as to suggest directions for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Korea. Israel's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middle schools is provided through integration with na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bjects, but in high school it is offered as an independent subject. In 2011, as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al curriculum for middle schools was developed, computer science evolved from an integrated to an independent subject.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s the necessity to discuss the status of this subject from the viewpoint of integration and independence for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Korea.

  • PDF

A Study on Curriculum for Problem Solving Field in the Computer Science of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컴퓨터과학 교육과정 '문제 해결' 영역 개선에 관한 연구)

  • Jeong, InKee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0 no.2
    • /
    • pp.17-26
    • /
    • 2007
  • Since 2001, we have taught computer in elementary school to become the advanced country of IT in the 21C. However, it is criticized that the contents of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are weak because they are not the computer science but mainly the computer skills. In 2005, "ICT Education Guide Revision" is published. Thereafter, the curriculum has systematic frame because of the addition of the contents of computer science. However, the curriculum for improving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 which is one of the abilities of human in the information society is somewhat defective. Therefore, in this paper I analysed the curriculums of problem solving field in elementary school level of some countries and proposed the revised curriculum of problem solving field of elementary computer science course.

  • PDF

The Elementary Students' Understanding of Computer Science Through The Computer Science Show Program (컴퓨터과학 쇼를 통한 초등학생의 정보교육에 대한 인식변화)

  • Han, Byoungr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1 no.2
    • /
    • pp.209-217
    • /
    • 2017
  • Recently SW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in Korea, but many students do not have many opportunities to learn computer science. In this paper, I organized a computer science show to enhance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computer science. The computer science show consisted of understanding binary systems, send a text message, parity bit magic, finding a number card, and collecting colors (orange games). I applied the computer science show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looked at the results. Most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omputer science shows did not have an "participation experience of computer science shows". As result of surveys, many students answered "I am interesting about computer science shows," "I am interested in computer science," and "I would recommend it to my friends nearby." Through research, I learned that computer science shows are a way for elementary students to draw interest in computer science and to create curiosity and interest in computer science. I found from research that computer science shows are a way to reduce students' learning burdens and to increase interest in computer science.

A Study on Computer Education Curriculum in Middle School for Computer Science Education (컴퓨터과학교육을 위한 중학교 컴퓨터교육과정 연구)

  • Park, Jung-Ho;Lee, Jae-Woon;Lee, Tae-Wuk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9 no.2
    • /
    • pp.37-45
    • /
    • 2006
  • Computer education currently executed at middle schools showed problems of system of education curriculum, repetition, and lack of consistent system as a result of analyzing index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urriculum, and related literatures, and most of the education contents have difficulty to nurture logic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y since they are composed mainly of software function learning. Concerning this issue, this study suggests an innovated computer education curriculum with reinforced information ethics field with computer principle, algorithm, and programming, in other words, a corrected and supplemented version of former content system based on computer science guidance cases of ACM computer science curriculum model of USA, computer science curriculum of Florida state, and Unplugged Project(http://www.unplugged.canterbury.ac.nz) judging that introduction of computer science factors are desperate to improve computer education curriculum in middle schools.

  • PDF

The Establishment of Assessment urpose Based on the Achievement Criterion of Computer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Environment (초등 컴퓨터 교육의 성취기준에 따른 평가목표 설정)

  • Yoon, Hyo-Jin;Han, Sun-Kwa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38-47
    • /
    • 2004
  • 컴퓨터 과학에 대한 연구를 볼 때, 컴퓨터 과학의 순수 이론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컴퓨터 과학을 교육하기 위한 교과 교육에 대한 연구는 다른 학문 분야에 비해 적은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교육 평가가 교수-학습, 학습과정, 학생의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이 깊음을 인지하고, Conputing Curricula 2001에서 분류한 컴퓨터 내용학을 중심으로 각 내용학 영역이 궁극적으로 도달해야 할 평가 목표를 제시하고 컴퓨터 내용학이 지녀야 할 평가의 지향점을 찾아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