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

Search Result 60, Processing Time 0.059 seconds

A Management Efficiency Analysis of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의 경영 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 Kang, Hyun-Goo;Ryoo, Dong-Keun;Sohn, Bo-Ra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6 no.6
    • /
    • pp.527-534
    • /
    • 2012
  • In order to achieve sustainable growth and gain competitive advantages business performance should be monitored regularly by a company. In the port industry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are facing growing competition. A large scale of new container terminals are constructed and the number of new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are increasing. Container shipping lines are gaining bargaining power against terminal operators in terms of negotiating terminal usage. The competitive environments result in reduced cargo handling charges and poor financial performance of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It becomes very important to examine how efficiently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are operating their terminals and how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easurement efficiency for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in Korea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of DEA-CCR and DEA-BCC Model. This paper finds out which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are inefficient and how to improve their management efficiency.

Analysis of Market and Management for Global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글로벌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의 시장 및 경영 현황 분석)

  • Lee, Joo-Ho;Won, Seung-Hwan;Choi, Na-Young-Hwan;Yun, Won-Young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2 no.3
    • /
    • pp.47-66
    • /
    • 2016
  • Once it has been built, a container terminal is impossible to move to another location. It is hard to rectify wrong decisions in a container terminal.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ecision making for a container terminal. The port management about a container terminal has developed from a cargo interface location between sea and land transport, to the standardization of information and procedures due to globalization among global shipping and terminal operator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urrent states of market and management for global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by investigating up-to-date data for them. The current market states for global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are analyzed by using by Herfindahl-Hirschman Index. The analyses of current management states for global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are divided into profitability analysis, activity analysis, and bankruptcy risk analysis. Finally, global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are clustered into three groups by the current management states.

우리나라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의 경영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 Gang, Hyeon-Gu;Ryu, Dong-Geun;Son, Bo-Ra;Seo, Yeo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422-424
    • /
    • 2011
  • 오늘날과 같이 급속히 변화하는 기업경영 환경에서 조직이 생존하고 번영하기 위해 기업의 경영 성과를 향상시켜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생산성 또는 효율성을 꾸준히 평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평가대상의 상대적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방법론을 이용하여 국내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의 경영 효율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2007년부터 2009년까지의 터미널 운영사의 효율성 수준을 파악해 보았다. 연구결과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점차적으로 영업이익률이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산출변수에는 큰 변화가 없는 반면 투입변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동 기간 사이에 컨테이너터미널 업체수는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물동량의 증가가 미미하여, 물동량 확보를 위한 터미널 업체들간의 경쟁이 치열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쟁은 하역요율의 단가하락 문제를 발생시켰으며, 이로 인해 업체들의 경영악화가 가속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물동량 변화에 따른 투입변수의 최적화를 통해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의 경영효율성을 제고하는데 기여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컨테이너터미널 적정 임대규모 검토

  • Gil, Gw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89-91
    • /
    • 2012
  • 컨테이너터미널의 규모는 내용년수 기간 동안 해당 터미널의 관리, 운영, 경쟁적 지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해당 항만의 경쟁구조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항만당국과 터미널 운영사는 임대차계약을 체결하기에 앞서 터미널 규모의 중요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론상 특정 설비/기업의 규모는 전형적으로 최소효율규모(MES)와 관련하여 규정되지만, 컨테이너터미널의 규모는 이론과 실제상 MES와 기타 여러 요소가 결합되어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소위 운영사가 선호하는 적정 컨테이너터미널 규모는 항만거버넌스 구조와 목표, 시장규모와 구조, 기술변화와 운영상의 고려요소, 선사의 운항패턴 등에 의해 결정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전세계 주요 항만의 컨테이너터미널 적정 임대규모를 검토하여 우리나라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의 특성별 효율성 비교연구

  • Choe, Gyeong-Won;Kim, Yul-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153-155
    • /
    • 2016
  • 국내 컨테이너 터미널을 대상으로 DEA-Malmquist 분석을 이용하여 운영사의 특성별 효율성을 비교하여 분석한다. 운영사는 GTO, Carrier, Domestic으로 구분하여 각 운영적 특성에 따라 시사점 및 결론을 도출한다.

  • PDF

부산신항 컨테이너터미널 효율성 및 생산성 비교

  • Gang, Seok-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0.11a
    • /
    • pp.20-22
    • /
    • 2020
  • 한진해운 파산, 해운동맹 재편 이후 부산신항 컨테이너터미널의 운영 결과를 분석해 보고자한다. 이 연구에서는 DEA를 활용한 효율성 분석과 더 나아가 터미널 내부 자료를 활용한 생산성 분석을 통하여 터미널 운영사 간 비교를 통하여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Container Pre-Notification System based on SOAP Message (SOAP 메시지 기반의 컨테이너운송예정정보망 시스템 구축)

  • Jo, Hun Sang;Choi, Jin Young;Cho, Jung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673-1676
    • /
    • 2012
  • 국내 주요 항만으로 반입되는 모든 운송사의 수출입 컨테이너는 반드시 항만을 관리하는 터미널 운영사에 해당 컨테이너의 주요 정보를 사전에 통지해야 하며 이를 컨테이너 운송 예정 정보라 부른다. 이는 항만 터미널 운영사가 반입 거점의 컨테이너의 야드 운영과 양적하 작업 계획을 사전에 계획하기 위함이다. 현재 국내 항만 터미널 운영사로 전송되는 컨테이너 반입 예정 정보는 특정 VAN 사업자를 통하여 EDI 로 정보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국내외 운송사들이 수출입 컨테이너를 항만에 반입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비용을 지불하고 VAN 사업자의 EDI 서비스를 이용해야 한다. 또한 VAN 사업자의 EDI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 할 경우 컨테이너 운송 예정 정보를 전송할 다른 방법은 현재 없는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웹 서비스 기반의 SOAP 메시지 전송을 통하여 컨테이너 운송 예정 정보를 송수신 하는 시스템을 시범적으로 구축하고 이를 소개한다. 이를 통해 운송사와 항만 터미널 운영사는 VAN 사의 EDI 시스템 이외에 컨테이너 운송 예정 정보를 송수신하는 예비 전송망을 구축 할 수 있으며 EDI 사용 비용을 줄일 수가 있다.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Logistics Service Quality of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의 물류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 Park, Eun-Kyoung;Kim, Hyun-Duk;Lee, Kwang-Bae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5 no.1
    • /
    • pp.47-62
    • /
    • 2009
  • The paper attempts to identify the Logistics Service Duality of Container Terminals and to test the model by using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Also, the research assess the practical competitiveness of Container Terminals in Kwangyang by Fuzzy technique. To conclude, we can make the following observations: (1) we classifies the Logistic Service Quality into five attributes such as Tangibility,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Empathy, (2) Assurance is drawn to the most important attribute, (3) There is a significant disparity between the operators and the users in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Logistics Service Quality Attributes of Container Terminal, (4) In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terminals' competitiveness, C Terminal is extracted as the most superior operator. In Addition, we hope to provide useful contribution to increase Gwangyang container terminal's competitiveness and offer some insight in further research.

  • PDF

Study on Cost characteristics of the Korea Container Terminal (국내 컨테이너터미널의 비용특성 분석 연구)

  • Kim, Bo-Kyung;Choi, Suk-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240-241
    • /
    • 2019
  • With slow sea trade volumes growth and increasing competition of ports, port industry is witnessing an increasing number of factors that have driven up the costs. Using financial data collected from Korea's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this study analyzed cost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s by terminal size, region and operating status of the terminal operators were examined and the suggestion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 PDF

우리나라 부산항 항만하역시장 안정화 방안에 관한 연구

  • Ryu, Dong-Geun;Kim, Tae-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166-169
    • /
    • 2011
  • 항만간 허브항 경쟁이 극심해 지고 있는 오늘날, 컨테이너 선사는 M&A 및 전략적 제휴로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와의 가격 협상력의 우월적 지위를 갖게 되어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간 선사 및 화물유치를 경쟁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그러나 수요측면에서 컨테이너물동량 증가율 둔화로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처리해야 할 물동량은 한정되어 있는 반면, 공급 측면에서 항만터미널의 지속적인 건설은 항만간 또는 터미널간 물량 유치경쟁을 과열시키고 있다. 특히 부산항은 신항 개장이후 북항과 신항간 물동량 유치경쟁으로 인하여 항만하역시장의 교란을 가져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항 컨테이너 항만하역시장의 구조적 특성분석과 설문조사 방법론을 통하여 향후 부산항 항만하역시장의 안정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시장구조 분석결과 부산항은 한정된 처리물량과 신항의 개장으로 인한 공급과잉, 그리고 정부의 지역항만개발정책에 따른 컨테이너화물의 분산처리로 지속적인 부산항의 비중 감소로 선석당 처리물량이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선사의 우월적 지위를 이용한 하역료 인하요구로 터미널운영사간에 서비스경쟁이 아닌 비협력적인 가격경쟁으로 재정수지가 악화되고 있고, 또한 '10년 외국적선사의 처리물량이 60%를 차지하고 있어 국부유출이 심각한 실정이다. 따라서 하역시장 안정화 방안으로 항만시설 수요 및 공급의 불균형을 조정하기 위하여 항만풀링공동기금관리를 통한 재정수지를 확보할 수 있는 항만풀링제도를 제안하며, 이 제도의 운영을 위하여 한시적으로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별 처리물량 상한제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