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컨버전스 포인트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9초

입체영상의 줌사용시 컨버전스 포인트 조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djustment of convergence point for zooming technique in stereoscopic camera)

  • 하종수;김동현;김대웅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16-319
    • /
    • 2013
  • 이안식 일체형 입체카메라는 줌인 시 고정된 컨버전스 포인트로 인해 촬영된 영상 시청할 때 어지러움을 유발하는 시각적 불편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안식 일체형 입체카메라에서 줌인 시 발생되는 시각적 불편을 방지하기 위해 제안된 컨버전스 포인트를 조정하는 기법을 실사로 촬영하고 각 기법 및 케이스별로 스테레오 분석을 실시한다. 이를 위해 포커스, 피사체 및 컨버전스 포인트의 위치에 따른 케이스와 각각의 간격 거리, 그리고 4가지 기법을 적용한 영상을 제작하여 스테레오 분석을 실시한다. 이로써 컨버전스 포인트를 조정하여 시각적 불편을 최소화하는 기법을 제안하고 제시한 깁법의 우수성을 입증한다.

  • PDF

주관평가를 통한 줌의 컨버전스 포인트 조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djustment of convergence point for zooming technique by subjective evaluation)

  • 하종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58-362
    • /
    • 2014
  • 이안식 일체형 입체카메라는 줌인 시 고정된 컨버전스 포인트로 인해 촬영된 영상 시청할 때 어지러움을 유발하는 시각적 불편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안식 일체형 입체카메라에서 줌인 시 발생되는 시각적 불편과 거리감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해 3DCG환경에서 컨버전스 포인트 이동값에 대한 실험을 한다. 거리별 컨버전스 포인트 이동에 따른 입체영상을 시청하고 평가하는 주관 평가를 실시하여 시각적 불편을 최소화하는 컨버전스 포인트 조정기법을 제안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PDF

줌인을 위한 컨버전스포인트 조정 기법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vergence Point Adjustment Method for Zoom-In)

  • 하종수;김대웅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383-1388
    • /
    • 2013
  • 이안식 일체형 입체카메라는 줌인시 고정된 컨버전스포인트로 인해 촬영된 영상 시청시에 어지러움을 유발하는 시각적 불편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안식 일체형 입체카메라에서 줌인시 발생되는 시각적 불편을 방지하기 위해 컨버전스 포인트를 조정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포커스, 피사체 및 컨버전스포인트의 위치에 따른 관계모델을 제시하고 각각에 따라 컨버전스포인트를 조정하여 시각적 불편을 최소화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기법을 실제로 구현하여 제시한 방법의 우수성을 입증한다.

컨버전스 포인트 조정기법의 주관평가 연구 (Study of Subjective Evaluation on Convergence Point Adjustment Methods)

  • 하종수;반재훈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48-451
    • /
    • 2014
  • 이안식 일체형 입체카메라는 줌인 시 고정된 컨버전스 포인트로 인해 촬영된 영상 시청할 때 어지러움을 유발하는 시각적 불편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안식 일체형 입체카메라에서 줌인 시 발생되는 시각적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컨버전스 포인트 조정기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거리와 케이스에 따라 각 기법을 적용한 입체영상을 제작하고 피실험자를 통해 주관평가를 실시한다. 이 결과를 통해 제안된 컨버전스 포인트 이동기법의 비교를 통해 제시된 기법의 우수성을 입증한다.

  • PDF

줌인을 위한 컨버전스포인트 조정 기법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vergence Point Adjustment Method for Zoom-In)

  • 하종수;김대웅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56-459
    • /
    • 2013
  • 이안식 일체형 입체카메라는 줌인시 고정된 컨버전스포인트로 인해 촬영된 영상 시청시에 어지러움을 유발하는 시각적 불편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안식 일체형 입체카메라에서 줌인시 발생되는 시각적 불편을 방지하기 위해 컨버전스 포인트를 조정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포커스, 피사체 및 컨버전스포인트의 위치에 따른 관계모델을 제시하고 각각에 따라 컨버전스포인트를 조정하여 시각적 불편을 최소화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기법을 실제로 구현하여 제시한 방법의 우수성을 입증한다.

  • PDF

줌인에 따른 시각적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컨버전스 포인트 조정 기법의 설계 (Design of a Convergence Point Adjustment Method to Minimize Visual Discomfort due to Zoom-In)

  • 하종수;반재훈;김대웅;김치훈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665-671
    • /
    • 2013
  • 이안식 일체형 입체카메라는 편리한 입체 촬영이 가능하지만 줌인시 고정된 컨버전스포인트로 인해 촬영된 영상 시청시에 어지러움을 유발하는 시각적 불편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안식 일체형 입체카메라에서 줌인시 발생되는 시각적 불편을 방지하기 위해 컨버전스 포인트를 조정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먼저, 포커스, 피사체 및 컨버전스포인트의 위치에 따른 관계모델을 9가지로 분류하고 정의한다. 그리고 이 모델에서 컨버전스포인트를 조정하여 시각적 불편을 최소화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기법을 애널그리프 방식의 컴퓨터 그래픽으로 구현하여 우수성을 입증한다.

컨버전스 포인트 조정을 위한 주시특성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f Eye-Fixation Analysis Method for Convergence Point Adjustment)

  • 하종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26-429
    • /
    • 2015
  • 입체카메라에서 줌 사용시 컨버전스 포인트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시각적 불편의 문제와 거리감의 변동을 해결하기 위해 컨버전스 포인트 조정기법을 제시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정기법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정량적 평가인 주시특성 분석을 설계했다. 입체영상에 대한 주관평가를 사용자의 시선움직임을 통해 정량적으로 파악하게 된다면 입체에 대한 사용자의 감성이미지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자료를 통해 사용자 중심의 입체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를 통해 제시된 기법의 우수성을 정성과 정량적으로 입증한다.

  • PDF

VR 영상콘텐츠 제작을 위한 컨버전스 포인트 임의조절 구현 (Implementation of Random Controlling of Convergence Point in VR Image Content Production)

  • 진형우;백광호;김미진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4권4호
    • /
    • pp.111-119
    • /
    • 2015
  • 다양한 HMD(Head Mounted Display)의 등장으로 입체영상 제작은 VR(Virtual Reality)기술을 접목 가능하게 되었고 체감형, 몰입형 영상콘텐츠 제작의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VR기반 영상콘텐츠는 애니메이션과 게임으로 시작하여 실사영상에 이르기까지 엔터테인먼트산업 전반으로 활용성을 넓혀가고 있으며 동시에 VR 영상콘텐츠 제작을 위한 솔루션 개발도 탄력을 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제작 솔루션 중 고정된 양안카메라 기반촬영은 사용자의 양안시차가 고정된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제작자가 연출하고자 하는 표현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입장에서의 시야조건이 고려되지 않아 입체감과 공간감을 충분히 느끼지 못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실사 VR 영상콘텐츠 제작에서 발생하는 컨버전스 포인트(Convergence Point) 조절의 한계를 입체영상 제작의 후반작업 기술을 통하여 해결하고자 한다. 입체영상 후반작업에서 컨버전스 포인트 조절에 대한 유효성을 양안시차의 시각화를 통하여 분석하고 게임엔진에 적용하여 컨버전스 포인트가 사용자 임의로 조절 가능하도록 구현한다.

3D 입체영화의 제작 기법 연구 단편영화 <내 생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echnique of the 3D Stereoscopic Cinema)

  • 김병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994-1004
    • /
    • 2013
  • 3D 입체영상이 영상산업의 새로운 총아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산업의 기대와는 달리 제작 활성화가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상황의 극복을 위해서 저예산으로 3D 입체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3D 입체영상의 원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노하우를 축적시키고자 한다. 3D 입체영상의 원리 중에서 축간격, 컨버전스 포인트, 패럴랙스, 3D 컴포트존과 같은 요소들은 입체값을 조정하는 원리이자 연출의 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을 제어하고 통제하는 노하우의 축적은 3D 입체영상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이다. 3D 입체영상을 제작하는 시스템은 카메라, 리그, 녹화기, 3D 박스로 구성되며, 이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숙련된 크루들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3D 입체 단편영화 <내 생일>을 제작하면서 얻은 촬영 시스템의 설정과 입체영화의 원리를 이용하는 연출 노하우를 통하여 보다 손쉽고 간편하게 3D 입체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