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lementation of Random Controlling of Convergence Point in VR Image Content Production

VR 영상콘텐츠 제작을 위한 컨버전스 포인트 임의조절 구현

  • 진형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영상콘텐츠학과) ;
  • 백광호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영상콘텐츠학과) ;
  • 김미진 (동서대학교 임권택영화영상예술대학 디지털콘텐츠학부)
  • Received : 2015.11.23
  • Accepted : 2015.12.29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As a variety of HMD(Head Mounted Display) has come out, the production of 3D images onto which VR(Virtual Reality) technologies are grafted has been contributed to activating the production of image contents depending on a tangible or immersing type. VR-based image contents have enlarged their applicability across the entertainment industry from animation and game to realistic images. At the same time, the solution development for producing VR image contents has also gained elasticity. However, among those production solutions which have been used until now, fixed stereo camera based photographing has a limit that the binocular disparity of a user is fixed. This does not only restrict a way of expression a producer intends to direct, but also may cause the effect of 3D or space not to be sensed enough as view condition is not considered enough in a user's side. This study is aimed at resolving with skills applying in the latter part of 3D image production the problem that convergence points may be adjusted with restriction, which tends to happen at the time of the production of VR image contents. The later stage of the 3D imaging work analyzes and applies to game engines the significance of adjusting convergence points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binocular disparity so that it is available to implement a function that the points could be controlled at random by a user.

다양한 HMD(Head Mounted Display)의 등장으로 입체영상 제작은 VR(Virtual Reality)기술을 접목 가능하게 되었고 체감형, 몰입형 영상콘텐츠 제작의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VR기반 영상콘텐츠는 애니메이션과 게임으로 시작하여 실사영상에 이르기까지 엔터테인먼트산업 전반으로 활용성을 넓혀가고 있으며 동시에 VR 영상콘텐츠 제작을 위한 솔루션 개발도 탄력을 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제작 솔루션 중 고정된 양안카메라 기반촬영은 사용자의 양안시차가 고정된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제작자가 연출하고자 하는 표현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입장에서의 시야조건이 고려되지 않아 입체감과 공간감을 충분히 느끼지 못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실사 VR 영상콘텐츠 제작에서 발생하는 컨버전스 포인트(Convergence Point) 조절의 한계를 입체영상 제작의 후반작업 기술을 통하여 해결하고자 한다. 입체영상 후반작업에서 컨버전스 포인트 조절에 대한 유효성을 양안시차의 시각화를 통하여 분석하고 게임엔진에 적용하여 컨버전스 포인트가 사용자 임의로 조절 가능하도록 구현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경세, "입체영상 특성 및 응용,"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통권, 제 58호, 1-12쪽, 2008년 12월
  2. R. Neuman, "Bolt 3D: a case study," Proc SPIE 7237, pp. 72370F-72370F, 2009.
  3. 성창경, 정진헌, "입체영상에서 입체감 극대화를 위한 연출 구도 및 시각적 효과 연구," 조형미디어학, 제13권 제2호, 103-112쪽, 2010년
  4. 이형철, 박종진, 김신우, "시각피로모형: 카메라의 회전오차, 촬영 거리, 수렴조건이 입체 시각피로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공학회지, 제18권, 제4호, 589-598쪽, 2013년
  5. T. Shibata, "Head mounted display," Displays, vol. 23, no. 1, pp. 57-64, 2002. https://doi.org/10.1016/S0141-9382(02)00010-0
  6. M. Bolas, et al, "Open virtual Reality," Virtual Reality (VR), pp. 183-184, Lake Buena Vists FL, USA, 2013.
  7. 백광호, 김민서, 한명희, "깊이정보를 활용한 입체 편집 프로세스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225-233쪽, 2012년 6월
  8. 장형욱, 김동현, 손광훈, "영상에 최적화된 깊이 조절을 통한 편안한 입체영상의 표현," 한국방송공학회학술발표대회논문집,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한민국, 63-66쪽, 2006년
  9. W. L. Aylsworth, H. J. Postley, B. B. Sandrew, B. E. Dobrin, and W. Husak, "Stereographic digital cinema: production and exhibition techniques in 2012," Proc, of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vol. 101, no. 1, pp. 169-189, 2013. https://doi.org/10.1109/JPROC.2012.2191610
  10. 노승석, 박진완, "실시간 3D 게임엔진을 이용한 영상 콘텐츠 제작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통권, 제73호, 79-88쪽, 2007년 11월
  11. K. Kwiatek, R. Tokarczyk, "Photogrammetric Applications of Immersive Video Cameras," ISPRS Annals of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vol. 1, pp. 211-218, 2014.
  12. 김정현, "시각 피로를 고려한 3D 그래픽 기반의 입체카메라 조절 연구,"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제24권, 제4호, 89-98쪽, 201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