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컨버전스 제품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44초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의 확산요인에 대한 연구 (A Stuey on the diffusion of the digital convergence product)

  • 주영진;이명종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0-123
    • /
    • 2006
  • 디지털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통신 ${\cdot}$ 방송 ${\cdot}$ 정보기기의 융합의 확산은 관련 기업들로 하여금 향후시장을 석권할 다양한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을 경쟁자보다 먼저 개발함으로써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치열한 경쟁을 전개하게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들은 캐즘을 넘어 주류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시장에서 조기에 사라져 버리는 실패를 경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컨버전스 제품의 개념과 특성을 바탕으로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의 확산에 영향을 줄 소비자의 구매영향 요인들을 도출하고, 이들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의 구매영향 요인들이 소비자의 혁신성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고 있는가를 검정하여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이 캐즘을 극복하여 효과적으로 확산되게 하기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컨버전스 제품에 대한 소비자 평가 (Consumer Evaluations of Convergence Products)

  • 김해룡;홍신명;이문규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7권1호
    • /
    • pp.1-20
    • /
    • 2005
  • 컨버전스 제품들이 기업과 소비자들로부터 관심을 끌고 있는 현실에 비해 이에 대한 학문적인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컨버전스 제품을 구성제품간의 다양한 관계를 바탕으로 한 하이테크 단일 복합제품으로 정의하였으며, 컨버전스 제품의 어떤 특성들이 소비자들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에 대해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혁신적인 신제품연구와 묶음제품에 대한 소비자 연구들을 바탕으로 컨버전스 제품관련 혁신특성 변수, 구성특성 변수, 제품 수용자 특성변수를 도출하였으며, 가상의 컨버전스 제품을 대상으로 한 소비자 서베이를 통해 각각의 특성변수들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컨버전스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와 구매의도는 컨버전스 제품을 구성하는 각 제품들간의 관계(지각된 일치성, 상대적 이점)에 따라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기능적·감성적 위험, 지각된 편리성, 그리고 해당 소비자의 기술에 대한 성향(테크노그래픽스) 등의 변수들이 컨버전스 제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 및 구매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함께 학문적·실무적인 시사점들이 논의된다.

  • PDF

컨버전스 제품의 소비가치 도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로봇제품의 소비가치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act of Consumption Value on Buying Behavior of Digital Convergence Product)

  • 허원무;김재영;박경도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458-485
    • /
    • 2007
  • 이 연구는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가치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컨버전스 제품을 혁신 정도에 따라 연속적 혁신과 단절적 혁신 컨버전스 제품으로 구분한 후, 제품별로 구매 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의 소비가치는 정서적 가치, 진귀적 가치, 사회적 가치, 기능적 가치의 네 가지 소비가치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네 가지 소비가치와 컨버전스 제품의 구매의도간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단절 혁신 컨버전스 제품에는 정서적 가치, 진귀적 가치, 기능적 가치가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속적 혁신 컨버전스 제품에는 기능적 가치만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성별, 소득, 학력등의 주요한 인구통계학적 변수는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디지털 컨버전스의 선택행동은 여러 유형의 소비가치의 함수이고, 여러 유형의 소비가치가 구매의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혁신적인 컨버전스 제품을 출시할 때는 명확한 가치 중심으로 소구해야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 주고 있다.

  • PDF

IT 기반의 convergence 제품의 구입태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urchase Attitude of IT based Convergence product)

  • 유정민;서용모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29-73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들이 IT 기반의 컨버전스 제품을 구매함에 있어서 지각하는 구매태도를 바탕으로 구매의사결정을 이론적 배경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이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IT 컨버전스 제품에 있어서 효용성이 주는 소비자들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채용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전략적 접근방법이다. 소비자들의 IT 컨버전스 제품을 구매하는데 있어 기업의 경쟁력 강화전략을 도출하는 것이 성공적인 시장진입에 대한 시사점임을 알 수 있다.

  • PDF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의 사용자 스토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r Story of Digital Convergence Product)

  • 현혜정;황민철;이윤정;김영주;김종화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99-104
    • /
    • 2007
  • 최근에는 방송과 통신, 다양한 기능이 컨버전스 되는 디지털 TV는 사용자의 인터페이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TV의 컨버전스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체계화 하기 위하여,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의 사용자 스토리를 사용자 중심 관점으로 구조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를 잠재적 사용자 20명에 실시하여, 사용자 요구 및 작업 분석을 통계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자 스토리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컨버전스 디지털 TV에 대한 새로운 사용자 스토리를 구조화 및 체계화하여 인터페이스의 컨버전스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다중회귀 분석기법을 이용한 모바일 컨버전스 제품에 관한 연구 -휴대전화 중심으로- (A Study on Mobile Convergence Products using Multi-Regression Analysis Methods -based on Mobile Phone-)

  • 조대호;천현재;이홍철
    • 감성과학
    • /
    • 제10권1호
    • /
    • pp.13-21
    • /
    • 2007
  • 모바일 컨버전스가 확산되면서 많은 기업들은 다양한 기능을 통합한 컨버전스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컨버전스는 휴대의 편의성과 디지털 기기의 특성상 기기들 간의 공통된 요소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경제적인 측면과 사용상의 편리성 증가 등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컨버전스 경향에 힘입어 많은 제품이 시장에 출시되었으나 기대와는 달리 실패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것은 제품개발에 있어서 컨버전스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를 반영하는데 미흡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컨버전스 제품이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제품의 우수성과 인프라 구축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소비자가 컨버전스 제품을 어떻게 평가하고 어떠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모바일기기를 중심으로 제품 평가에 대한 연구가 미비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바일 컨버전스 제품에 대한 소비자 평가와 영향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 방법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158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는 분산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대적 이점, 복잡성, 관찰가능성(MP3, 게임), 지각된 편리성 등의 요인들이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컨버전스 진화에 의한 u-Gov의 역할고찰 (A Study on the Role of u-Gov according to Convergence Evolution)

  • 정분도;정영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235-1241
    • /
    • 2007
  • 컨버전스는 디지털 기술 기반의 제품과 서비스가 융합되고, 새로운 형태의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소비자 요구의 다양화, 사회 트랜드에도 반영되어, 다양하고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u-Gov가 추구하는 행정의 이념을 달성하기 위하여 컨버전스 진화에 의한 u-Gov의 역할로써 국내의 전자정부 컨버전스 시도로 올 수 있는 영향과 정책 마련의 필요성을 가지고, 컨버전스 사회변화에 따른 활용사례를 제시하고, 여기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이점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컨버전스 이슈의 분석을 통해 향후 컨버전스 정책추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컨버전스 제품 개발을 위한 기능의 결합 조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ons for Combining Functions for Convergence Products)

  • 류승호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2권4호
    • /
    • pp.41-50
    • /
    • 2013
  • 본 연구는 컨버전스 제품 개발 과정에 적용 가능한 보편 타당한 3대 결합 조건들로서 이질성, 계획성, 참신성을 제시하고 그 내용을 탐구한다. 이질성은 결합되는 기능들이 모두 서로 달라야 하는 것이다. 계획성은 결합이 제품 개발 과정 속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며, 도구를 자의적으로 다목적 활용하는 것은 배제된다. 참신성은 결합에 의해 제품의 기능적 가치가 확대되는 것이다. 이질성, 계획성, 참신성은 컨버전스 제품의 기능적 특징과 창조 과정을 대표하는 요소들이다. 이들은 결합의 다양한 응용을 가능하게 하여 컨버전스 제품의 등장 범위를 넓히며, 나아가 사회 문화적 배경의 변화와 컨버전스 제품 사이의 다양한 담론들을 전개한다. 이를 통해 컨버전스란 철저한 계획과 전략 속에서 결합의 대상에 대한 선별작업을 통해 진행되는 제품 개발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향후의 컨버전스 기반 제품 개발 전략이 더욱 활성화되기를 바란다.

  • PDF

디지털 컨버전스에서의 웨어러블 컴퓨팅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earable Computing Prospect in Digital Convergence)

  • 이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431-435
    • /
    • 2013
  • 정보화 사회에서 디지털이라는 단어와 결합된 컨버전스는 정보통신 분야의 단위기술들의 융합을 통해 등장하는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일컫고 있다. 이러한 컨버전스 기술의 파급효과 및 컨버전스 사회의 현상들은 이미 경제, 사회, 문화등 사회의 전 부분에서 가시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디지털 컨버전스 환경에서의 필요한 기술현황 및 전망과 컨버전스의 대표적 사례이면서도 차세대 모바일 대표시장의 가능성이 매우 큰 웨어러블 컴퓨터와 관련된 내용을 기술하였다.

디지털 컨버전스제품 구매회피에 관한 연구: 소비자의 심리적 요인과 혁신저항을 중심으로 (Purchasing Avoidance of Digital Convergence Products: Focusing on the Customer's Psychological Factors and the Innovation Resistance)

  • 서문식;안진우;이은경;오대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70-284
    • /
    • 2009
  • 디지털의 주요한 특성인 융합성으로 인해 IT산업분야에서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은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이 항상 긍정적이지만은 않다.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이 혁신제품이기에 소비자들의 가치와 부합하지 않거나 복잡한 이용방법에 따른 문제점이 들어나기도 한다. 즉,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이 보다 더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어 시장을 확대해 나가기 위해서는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구매회피 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하고 어떠한 불편한 심리를 가지게 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복잡성, 부적합성, 불확실성, 비용의 비합리성과 같은 구매를 저해하는 요인을 확인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부조화, 혁신저항, 지각된 손실과 같은 부정적인 심리적 요인을 형성하게 하여 구매회피로 이어지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연구의 결과, 복잡성과 부적합성은 혁신저항을 느끼게 만드는 요소이며, 불확실성과 비합리성은 지각된 손실에 영향을 미치며, 비합리성은 부조화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조화는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혁신저항은 구매의도에 유의하게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이 시장에 쉽게 확산되어 나가기 위해서는 복잡성, 부적합성, 불확실성, 비합리성과 같은 요소들에 대해 마케터들이 충분히 숙고한 후에 이러한 요소들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출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