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칼텐본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9초

칼텐본-에비엔즈컨셉의 어깨관절 아래쪽미끄러뜨림 적용시 관절의 이동성 연구 (A Study on Shoulder Joint Motions in the Caudal Gliding of Kaltenborn-Evjenth Concept)

  • 최완석;박주현;정봉재;문옥곤;민경옥;안호정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427-433
    • /
    • 2012
  • 본 연구는 오른쪽 어깨관절에 칼텐본-에비엔즈컨셉 미끄러뜨림 등급II와 III으로 아래쪽미끄러뜨림 적용시 위팔뼈머리의 이동거리 및 벌림각도(abduction angle)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미끄러뜨림 등급II(Grade II) 적용시 위팔뼈머리는 초기보다 아래쪽으로 5mm 가량 이동하였고 등급III 적용시 8mm 가량 이동하였다. 이동거리에 대한 성별 비교에서는 남자가 여자에 비해 등급별로 이동거리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등급 II(Grade II) 적용시 벌림각도는 초기보다 $10^{\circ}$ 가량, 등급III(Grade III) 적용시 $12^{\circ}$ 가량 증가하였다. 벌림각도에 대한 성별 비교에서는 모든 등급별로 여자가 남자보다 벌림각도가 크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미끄러뜨림 등급 적용시 위팔뼈머리의 운동형상학적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 이들 변화가 주변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면 보다 과학적인 근거중심의 치료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칼텐본-에비엔즈컨셉 미끄러뜨림 등급의 부하량 크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ad Analysis of Gliding Grade under the Kaltenborn-Evjenth Concept)

  • 최석주;최완석;문옥곤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383-38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로딩셀기구를 이용하여 어깨관절의 아래, 앞, 뒤쪽 방향으로 칼텐본-에비엔즈컨셉 미끄러뜨림 치료등급 II와 III 적용 시 남녀, 미끄러뜨림 방향 그리고 미끄러뜨림 등급에 따라 적용되는 힘의 크기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남녀에 따른 부하량 차이를 비교한 결과 아래쪽미끄러뜨림 II/III등급(Caudal Grade II/III), 앞쪽미끄러뜨림 II/III등급(Ventral Grade II/III), 뒤쪽미끄러뜨림 II/III등급(Dorsal Grade II/III) 모두 여자에 비해 남자의 부하량이 유의하게 높았다(p<.05). 치료방향에 따른 부하량 차이를 비교한 결과 등급II(Grade II)와 등급III(Grade III) 모두에서 아래쪽(Caudal)에 비해 앞쪽(Ventral)과 뒤쪽(Dorsal)에서 부하량이 유의하게 높았다(p<.05). 치료등급에 따른 부하량 차이를 비교한 결과 아래쪽(Caudal), 앞쪽(Ventral) 그리고 뒤쪽(Dorsal) 모두에서 등급II(Grade II)에 비해 등급 III(Grade III)에서 부하량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위 결과로부터 위팔어깨관절(glenohumeral joint)의 아래, 앞, 뒤 방향에 대한 미끄러뜨림(gliding) II/III 적용 시 같은 등급에서 적용되는 힘의 크기가 방향과 성별에 따라 다름을 알 수 있었다.

Kaltenborn-Evjenth concept을 이용한 상부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 경부통증 환자의 경흉추 관절 가동범위의 변화와 통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Upper Thoracic Joint Mobilization Technique using Kaltenborn-Evjenth concept on Cervicothoracic ROM and Pain in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 전영욱;소현정;정연도;엄성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479-486
    • /
    • 2015
  • 본 연구는 만성 경부통증 환자에게 Kaltenborn-Evjenth concept에 기초한 상부흉추 관절가동술 적용이 경흉추 관절 가동범위와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Kaltenborn-Evjenth concept은 작은 진폭의 도수요법으로 관절낭이나 연부조직에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해당부위의 관절 또는 근육을 칼텐본 등급에 따라 정형도수치료를 하는 수기요법이다. 연구 대상자는 상부흉추 관절가동술군 7명과 보존적 물리치료군 7명으로 나뉘어 각각 주 3회, 4주간 흉추 관절가동술과 보존적 물리치료(온습포 치료, 간섭파, 초음파 치료)를 시행 받았다. 측정은 실험 전과 실험 2주, 실험 4주, 실험 후 4주에서 흉추 분절별 가동범위와 통증, 경추 가동범위를 측정하였다. 흉추 분절별 가동범위는 Spinal Mouse를 이용하여 흉추 1-2분절, 2-3분절, 3-4분절의 굴곡-신전 값을 측정하였고, 통증은 VAS(visual analogue scal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습니다. 경추 가동범위(굴곡, 신전, 굴곡-신전)는 관절각도계(Inclinometer, Dualer IQ)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상부흉추 관절가동술이 만성통증 환자에게 있어서 관절 가동범위의 변화와 자세 및 기능개선에서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추 불안정성의 관리 (Management for Cervical Instability)

  • 김영민;김호봉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4-91
    • /
    • 2005
  • 척추의 기본적인 생체 역학적 기능은 신체 부분간의 운동을 허용하고 척수와 신경근을 보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척추의 역학적 안정성이 필수적이다. 척추의 안정체계는 수동적 근 골격계, 능동적 근 골격계, 그리고 신경계의 세 가지 하부체계로 나누어지며 이들 하부체계는 각각 독립적으로 안정성에 관여하고 있다. 경추의 불안정성의 문제는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추간관절의 운동에 의해 염증성의 신경을 압박 또는 신장하거나 또는 통증수용기가 많이 분포하는 인대, 관절낭, 섬유륜과 종판에 비정상적인 변형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안정성의 장애는 근육의 기능적 측면에서 국소적 안정체계와 포괄적 안정체계의 문제로 구분할 수 있다. 불안정한 경추 환자의 임상적 양상은 일반적으로 머리가 앞으로 나오고 전방 전위된 자세로 견갑대와 승모근 상부의 과활동성을 나타낸다. 또한 능동운동은 감소되지 않으나 수동운동에서 분절의 회전운동과 병진운동의 증가와 종말감의 변화가 있다. 경추의 불안정성을 관리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로 전반적인 근육 훈련, 고유수용기 훈련, 그리고 도수치료의 세 가지 주된 접근법이 있고 실제적인 접근법으로는 고유수용성 재활프로그램, 칼텐본-에반스 접근법, 그리고, 슬링운동법 등이 있다. 각 방법들은 임상에서 나름대로의 이점이 있으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이들 방법을 단독으로 또는 병행해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경추에서 이러한 방법들의 효과를 입증하는 증거는 부족하여 앞으로 이러한 방법에 대한 임상적 경험보다는 그 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PDF

경추안정화운동과 경추관절가동술이 경부의 최대근력과 정적근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ervical stabilized exercise and joint mobilization on maximum muscle strength and static muscle endurance of cervical region)

  • 공원태;정형재;이경목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1호
    • /
    • pp.33-42
    • /
    • 2010
  • 경추안정화 운동과 경추관절가동술이 경부의 최대근력과 정적근지구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60명을 경추안정화운동군, 경추관절가동술군, 대조군의 3개의 군으로 나누어 각 그룹당 20명씩 무작위 배치하였다. 경추관절가동술과 경추안정화운동은 일주일에서 3회씩 총 3주 동안 시행되었고, 경추안정화운동군은 선자세, 바로누운자세, 엎드려누운자세에서 경추심부근육의 등척성운동을 적용하였다. 경추관절가동술군은 칼텐본 기법을 이용한 관절내 운동을 적용하였다. 경추안정화운동과 경추 관절가동술 모두 최대근력과 정적근지구력이 증가하였고 그 중 경추안정화운동이 경추관절가동술보다 최대근력과 정적근지구력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

칼텐본 정형도수 물리치료와 에비안스-함베르크 뻗침 운동의 결합이 뇌졸중 환자의 발목관절 가동범위와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Kaltenborn Orthopedic Manual Therapy with Evjenth-hamberg Stretching on Range of Motion of Ankle Joint and Balance 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 박신준;조균희;김순희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43-51
    • /
    • 2018
  • PURPOSE: Stroke patients have limited ankle range of motion and balanc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Kaltenborn orthopedic manual therapy, Evjenth-hamberg stretching, and combination of both on ankl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and dynamic balance ability in stroke patients. METHODS: Thirty patients were placed in three groups, each of which received different treatments: Kaltenborn orthopedic manual therapy (15 mins), Evjenth-hamberg stretching (15 mins), or Kaltenborn orthopedic manual therapy with Evjenth-hamberg stretching (30 mins). Each group received three exercise sessions per week during four weeks. To determine its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an evaluation was carried out. ankl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was gauged using a tiltmeter application, and dynamic balance ability was measured using the Berg balance scale. RESULTS: All groups reveal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nkl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Berg Balance Scale (BBS) scor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Kaltenborn orthopedic manual therapy with Evjenth-hamberg stretching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ankl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and BBS score in comparison to other groups. CONCLUSION: We found out that each individual method was effective in ankl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dynamic balance ability in stroke patients, and the combined method was more effective.

칼텐본 경추 관절가동술 후 적용된 능동적 중재가 두부 전방자세 환자의 경추 정렬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tive Intervention after Kaltenborn's Cervical Joint Mobilization on The Cervical Spine Alignment and Muscle Activity in Pati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이강진;노정석;최흥식;신헌석;최규환;김택훈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27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three interventions (intervention by passive range of motion exercise plus manual cervical traction, Mulligan's joint mobilization, and strengthening exercises) after Kaltenborn's joint mobilization on the cervical spine alignment, and muscle activity in patients with a forward head posture. METHODS: The subjects were 39 students from H University in Chungnam and C University in Jeonbuk. The subjects in each group attended training sessions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We used one-way ANOVA and Scheffe's post hoc test to compare values between groups, and used paired t-test to compare the values of the dependent variables within group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tive intervention group experienced a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e passive intervention group in terms of the craniovertebral angle, cervical lordosis angle, and had significant decreases compared to the passive intervention group in terms of the upper trapezius muscle activity. The active intervention group also had significant increases in craniovertebral angle and decreased anterior scalene muscle activity than the active-assistive intervention group. The active-assistive intervention group had significant decreases compared to the active intervention group in terms of the serratus anterior, levator scapulae, and splenius capitis muscle activity. CONCLUSION: It appears that the subjects with a forward head posture ha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cervical lordosis angle, cranial rotation angle, craniovertebral angle, and muscle activity after intervention by Mulligan's joint mobilization (active-assistive intervention component) and strengthening exercises (active intervention component) after applying Kaltenborn's joint mobilization.

먼쪽 노뼈 골절환자에게 적용한 칼텐본-에반스 관절가동술의 적용 횟수가 노자관절의 운동성, 통증, 기능과 악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Kaltenborn-Evjenth Joint Mobilization of Application Count on Joint Mobility, Pain, Functions and Grip Strength in Patients with Distal Radius Fracture)

  • 김명진;서동권;이연섭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47-256
    • /
    • 202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altenborn-Evjenth (KE) joint mobilization of the distal radioulnar joints (RUJ) and proximal RUJ in distal radius fractures (DRFs) on range of motion (ROM), grip strength (GS), and patient-written wrist evaluation (PRWE) in each group once, thrice, or fivefold. Methods : Forty-two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divided the subjects with DRFs into groups applying KE concepts RUJ mobilization once, thrice, and fivefold. The patients' ROM and GS were measured using a joint goniometer and dynamometer, respectively. Pain and function were also assessed using a PRWE. In the statistical analysis, all data were tested for normality using the Shapiro-Wilk test, and paired t-tests were performed for within-group before-and-after comparisons of each intervention.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for between-group comparisons of differences.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set at α=.05.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OM in all three group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p<.05),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S in the three group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p<.05),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he pain part of the PRWE, all three group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p<.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functional part of the PRW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hree group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p<.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occurred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s in ROM, GS, and PRWE (pain and function)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K-E joint mobilization to DRFs once, thrice, and fivefold. Nevertheless, there were significant within-group differences in all the above.

칼텐본을 접목한 흉추가동운동이 20대 대학생의 복합적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Thoracic Mobilization Exercise Using Kaltenborn on the Convergence Pulmonary Function of 20's Normals)

  • 서교철;장영창;김대룡;박승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51-57
    • /
    • 2020
  • 본 연구는 칼텐본을 접목한 흉추가동운동이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대 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4주간 실시하였다. 실험대상자 2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 대조군으로 무작위 동공선택방식으로 그룹 배정을 하였다. 실험군은 횡격막 호흡운동 15분과 칼텐본을 적용한 흉추가동운동 15분으로 구성되고, 대조군은 횡격막 호흡운동으로 30분간 훈련하였으며, 두 군의 운동프로그램은 주 3회 4주간 실시하였다. 측정은 폐기능을 측정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실험 전·후 폐기능을 분석해 보면, 실험군은 TV, IRV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실험후에 두 집단간의 변화검증에서도 TV와 IRV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칼텐본을 이용한 흉추가동운동이 폐 기능에 더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임상에서 호흡훈련 시 일반적인 호흡훈련에 흉추가동운동을 함께 접목하는 치료방법이 적극적으로 중재되기를 기대하며 다양한 추가운동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