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칼리비료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6초

요소, 질산암모늄 및 규회석분말이 칼리의 흡수 및 배추의 수량에 미친 영향 (Effects of Urea, Ammonium Nitrate and Calcium Silicate on the Absorption, Translocation of Potassium and Yield of Chinese Cabbage (Brassica Perkinnensis, Var. Samjin))

  • 오왕근;김재영;김성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37-340
    • /
    • 1987
  • 규회석 분말을 시용하는 경우와 시용하지 않는 경우에 가을배추(삼진)에 대한 칼리비료와 요소, 질산 암모니아의 병, 단용효과를 밝히고자 삼각사양토에서 실시한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규회석 분말의 사용은 배추재배를 비교적 용이하게 하였다. 이 조건하에서 배추에 대한 요소와 질산 암모니아의 효과는 차이가 없었다. 2. 규회석 분말을 사용하지 않는 토양에서는 요소보다 질산 암모니아가 배추를 증수하게 하였으며 그 효과는 더 많은 토양칼리을 이용하게 한데 기인하였다. 3. 칼리의 병용은 배추의 수량을 높일 뿐만 아니라 가식부의 생산비를 높였으며 그 효과는 특히 규회석분말을 쓰지 않는 토양에서 컸다. 4. 칼륨은 배추의 외엽에서 내엽으로 쉽게 이동했으며, K원으로서 외엽의 그 함량이 배추의 수량을 지배해서 건조 외엽의 함량 20me/100g 이하에서는 배추의 생체중이 직선적으로 감소하였다.

  • PDF

당근 생육(生育)에 적정(適正)한 토양(土壤)의 인산(燐酸)과 가리함량(加里含量) 구명(究明) (Optimum Contents of Soil Phosphorus and Potassium for Carrot Growth)

  • 황기성;윤정희;이성재;곽용호;이상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9-93
    • /
    • 1997
  • 당근 재배지 토양의 적정 인산, 칼리 함량을 밝히고, 토양중 인산, 칼리 함량이 당근의 생육(生育)과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1m^2$ 무저(無抵) Pot에 인산과 칼리함량을 조절(調節)한 후(後) 여름, 가을 당근을 재배(栽培)하여 얻은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경엽신장기(莖葉伸長期) 토양중 인산 및 칼리 함량과 당근의 근중(根重)과의 관계(關係)를 보면 유효인 산은 425 mg/kg, 치환성 칼리함량은 $0.72cmol^+/kg$ 에서 당근의 근중(根重)이 가장 컸다. 2. 수확기(收穫期) 식물체중 인산함량은 당근의 뿌리에서 높은 반면(反面) 잎에서 낮았고, 칼리는 잎에서는 높았으나 뿌리에서는 낮았으며 당근이 양분(養分)을 가장 많이 흡수(吸收)하는 토양중 인산, 칼리 함량은 인산 359-396 mg/kg, 칼리 $0.79-0.87cmol^+/kg$ 범위(範圍) 이었다. 3. 당근엽중(葉中) 양분함량은 $K_2O$ > CaO > T-N > $P_2O_5$ > MgO > $Na_2O$ 순(順)으로 높았는데 $K_2O$, T-N은 정식후 70일 까지는 증가 하였으나 그 이후(以後)는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CaO, $P_2O_5$, MgO, $Na_2O$ 는 정식후 일수가 증가함에 따라 완만(緩慢)하게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4. 경엽신장기(莖葉伸長期) 토양중 양분함량과 당근의 당도(糖度)와의 관계(關係)는 칼리의 경우(境遇) 토양중 함량이 증가 할수록 당도(糖度)가 현저(顯著)하게 감소(減小) 하였으나 인산은 284 mg/kg 까지는 인산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당도(糖度)가 높아 졌으나 그 이상(以上)의 함량(含量)에서는 낮아졌다.

  • PDF

염화칼리 시용에 따른 배추와 무의 생육과 수량 (Growth and Yield Response of Chinese Cabbage and Radish on Application of Potassium Chloride Fertilizer)

  • 송요성;곽한강;연병열;윤정희;전희중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399-406
    • /
    • 2003
  • 배추와 무 직파재배시 토양중 치환성 칼륨의 생육 저해 한계 농도를 밝히기 위하여 $1m^2$ 무저 pot에서 주로 농가에서 사용하는 염화칼리비료를 처리하여 토양의 치환성 칼륨행동과 작물의 생육과 발아특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배추와 무의 최고 수량은 토양내 치환성 칼륨 함량이 각각 $0.96cmol_c\;kg^{-1}$, $1.28cmol_c\;kg^{-1}$에서 있었으며, 이때의 염화칼리 비료의 시용량은 봄 배추 $370(K_2O:\;222)\;kg\;ha^{-1}$, 가을 무 $517(K_2O:\;310)\;kg\;ha^{-1}$이었다. 이 이상에서는 토양의 치환성 칼륨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수량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의 치환성 칼륨 함량과 작물의 발아율과의 관계를 보면 배추는 치환성 칼륨 함량이 $0.54cmol_c\;kg^{-1}$이하에서는 정상적인 발아가 되었으나 $1.29cmol_c\;kg^{-1}$은 83%, $2.30cmol_c\;kg^{-1}$은 67%의 발아율을 보였고, 무의 경우에는 $1.29cmol_c\;kg^{-1}$ 이하에서는 정상적 생육, $2.30cmol_c\;kg^{-1}$에서는 83%의 발아율을 보였다. 발아장해를 받는 토양의 전기전도도 값은 배추는 $1.29dS\;m^{-1}$, 무는 $2.30dS\;m^{-1}$이었다. 따라서 작물 재배전에 다량의 염화칼리비료 시용은 전기전도도의 증가로 염류장해를 받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시비관리를 해야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추 수경재배시 생리적 산알칼리를 이용한 배양액 pH의 자동 조절 (Automatic pH control of nutrient solution by Physiological fertilizers in lettuce hydroponics)

  • 김혜진;김영식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6년도 심포지움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64-66
    • /
    • 1996
  • 수경재배에서 요구되는 최적의 배양액 pH는 5.5-6.5 이고, pH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해 주는 방법으로 비료의 흡수생리를 이용하는 방법과 화학적인 산알칼리 용액을 이용하여 조절해 주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pH 조절은 자동적으로 행해야 효과가 크며 본 실험은 흡수생리적인 면에서 산 혹은 알칼리 비료를 화학적인 산 알칼리와 비교하여 pH 조절효과의 차이를 보고자 하며 생육제어시스템 중 pH의 자동계측 및 제어를 통해서 계속적인 pH의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면서 상품성과 품질이 우수한 작물을 생산하고자 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중략)

  • PDF

간척지에서 수수 X 수단그라스에 대한 유안 및 황산칼리비료 시용효과 (Effects of Ammonium Sulfate and Potassium Sulfate Fertilizer on Dry Matter Yield and Forge Quality of Sorghum X Sudangrsss Hybrid in Reclaimed Tidal Land)

  • 신재순;이승헌;김원호;김종근;윤세형;임근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45-250
    • /
    • 2005
  • 간척지에서 유안과 황산칼리비료의 시용이수수$\times$ 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수량성, 사료가치 그리고 토양 염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2003\~2004$년 동안 충남 당진에 위치한 대호간척지에서 시험한 결과, 평균 토양 염류도는 요소를 시용한 표준시비구(T2)에 비해 유안을 시용한 구(T3, T4, T5)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염화칼리 대신 황산칼리를 시용한 T6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생초수량은 요소를 시용한 표준시비구(T2)에 비해 유안을 시용한 T3, T4, T5구에서 각각 $173\%,\;173\%\;그리고\;144\%$ 증수되었다. 염화칼리 대신 황산칼리를 시용한 T6구에서도 요소시용 표준시비구(T2)에 비해 $90\%$되었다. 건물수량과 TDN 수량도 생초수량과 같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과 NDF 함량은 T2구에 비해 유안시용구(T3, T4, T5)들이 높았으며, T6구는 낮게 나타났으며, ADF 함량은 T2구와 유안시용구(T3, T4, T5)들 사이에는 비슷하였으며, T6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TDN 함량은 T6구가 가장 높았다. 위의 결과로 볼 때 간척지에서 여름철 사료작물로 수수 $\times$ 수단그라스 교잡종을 재배할 경우, 질소질 비료는 요소대신 유안$(20\~30kg \;N/10a)$을 칼리질 비료는 염화칼리 대신 황산칼리$(15kg\;K_2O/10a)$를 이용하는 것이 더 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1992년과 1999년의 농가 비료이용 실태 변화 비교 (Comparison of Farm Based Fertilizer Usage in 1992 and 1999)

  • 김석철;박양호;이연;이주영;김충수;김필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44-355
    • /
    • 2003
  • 우리나라는 농경지 단위면적 당 화학비료 시용량이 높은 국가로 분류되고 있다. 화학비료 시용량 저감을 위해 정부에서는 1990년 들어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지속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99년 전국의 시군을 대상으로 농가비료이용실태를 작물별, 농지이용유형별로 조사하여 1992년 농가비료이용실태와 비교하였다. 주요 작물에 대한 유기질비료의 평균 시용율은 최근 크게 감소하였으나, 시설재배지와 밭토양에서의 유기물 시용율은 1992년과 큰 변화가 없었다. 농가포장의 화학비료 시용율은 대부분의 곡류와 채소작물에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화학비료 중 질소질 비료 시용율 감소는 거의 없었으며, 인산과 칼리질 비료의 시용량 감소가 전체 화학비료 시용량에 감소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화학비료 시용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작물에 대한 비료사용량은 추천 시비량을 크게 초과하고 있었다. 양분 투입량과 회수량간 차이를 이용하여 계산된 양분수지를 계산한 결과, 질소의 과잉시용은 거의 감소되지 않고 있으나, 인산과 칼리의 시용량은 1992년에 비해 1999년 각각 21%와 13% 감소되었다. 결과적으로 정부와 관련기관의 적극적인 홍보에도 불구하고 1999년 현재까지 농가포장에서는 비료가 과잉시용되고 있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토양검정치를 기준으로 산정한 추천시비량 수준으로 양분 시용량의 저감을 위한 효과적인 기술지원과 지도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국산 쥐오줌풀의 생육, 수량 및 정유성분 조성에 미치는 시비량의 영향 (Effect of Fertilization Rates on Growth, Root Yield and Essential Oil Composition in Korean Valerian (Valeriana fauriei var. dasycarpa Hara))

  • 조장환;한옥규;최영현;윤승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14-820
    • /
    • 1997
  • 국내 자생종인 광릉쥐오줌풀의 재배법을 구명하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질소, 인산, 칼리를 각각 무처리, 6, 9, 12kg/10a 등 4수준으로 처리하여 생육 및 뿌리 수량을 조사하고 정유성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쥐오줌풀의 생육 및 뿌리 수량은 질소, 인산, 칼리를 각각 103당 9kg 시용한 구에서 가장 높았고, 비료효율은 질소 > 칼리 > 인산 순이었다. 2. 추출물 및 정유 함량은 질소, 인산, 칼리를 각각 103당 9kg 시용한 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외 처리간 차이는 크지 않았다. 3. 정유성분 조성은 시비량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주요 성분의 조성은 대체적으로 각 비료당 9kg/10a시비수준에서 높았고, 그 이상 시용량이 증가되면 감소되었다.

  • PDF

요소+칼리에 대비(對備)한 질산암모늄+칼리가 배추의 수량(數量) 및 무기성분함량(無機成分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Ammonium Nitrate Plus Potash in Comparison with Urea Plus Potash on the Yield and Content of Some Mineral Nutrient Elements of Chinese Cabbage)

  • 오왕근;김성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07-412
    • /
    • 1985
  • 질소의 비종에 따른 배추 ('84 가을 삼미가락, '85 봄, 여름배추)에 대한 칼리비료의 효과를 폿트에서 재배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질산암모늄은 요소보다 배추의 생육량을 늘였는데 그 증수효과는 봄보다 가을에 컸다. 2. 배추의 수량은 1차(5월 17일) 및 2차 솎음 (6월 9일) 배추의 K함량 (건물) 및 1 차 솎음 배추의 $NO_3-N$함량 (건물), 수확한 배추의 외엽의 K/Ca+Mg me 당량비와는 정상관 관계를, 동외엽의 마그네슘 함량과는 부상관관계를 갖었다. 3. 1차 솎음, 2차 솎음, 수확기의 건조배추 (내엽)에 함유되는 K와 $NO_3-N$간에는 각각 $r;0.9998^{**}$, r; 0.4439, $-0.7135^*$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 수확한 배추 속잎의 $NO_3-N$는 K 가 결핍되고, Ca, Mg함량이 낮았던 질안 무칼리구에서 많았다. 4. 배추는 우선 $NO_3-N$가 K의 흡수를 촉진하여 배추의 영양 생장을 늘리고 K가 내엽으로 이동하면서 Ca가 흡수 대치되고, 다음에 Mg가 흡수되어 내엽으로 이동해가는 영양흡수와 생육양상을 갖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국내 유통중인 유기질비료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Organic Fertilizers Circulated)

  • 김명숙;김석철;윤순강;박성진;이창훈
    • 유기물자원화
    • /
    • 제26권1호
    • /
    • pp.21-28
    • /
    • 2018
  • 유기질비료를 농경지 투입 시 적정한 사용량을 결정하는데 질소전량, 인산전량, 칼리전량 등 비료품질 특성은 매우 중요한 영향인자이다. 유기질비료의 품질특성을 분석하고자 시중에 유통되는 유기질비료 320점을 조사하였다. 유기질비료의 질소전량, 인산전량, 칼리전량 함량은 각각 4.9, 2.8, 1.7%로 나타났다. 유기물, 염분농도, 수분의 평균함량은 혼합유박에서 각각 77.0%, 11.5%, 0.3% 이었고, 혼합유기질비료에서 각각 72.3%, 11.7%, 0.5%으로 비종간에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수은, 크롬, 구리, 니켈, 아연함량은 비료공정규격에서 제시된 기준치 미만으로 검출되어 공정규격에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작물의 균형적인 양분의 흡수를 촉진하기 위해서 유기질비료 중에서 비료성분함량이 가장 낮은 총칼리 성분함량을 작물의 비료요구량 비율에 맞도록 조절이 필요하며, 평균적으로 3.2%까지 증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무경운 콩 재배를 위한 유기질 비료와 화학비료의 적정 시비법 (Effects of Tillage and Fertilizers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Soybean)

  • 정현진;박형준;권수정;유진;김숙진;정근욱;김홍식;우선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264-269
    • /
    • 2016
  • 본 연구는 무경운 재배법에 알맞은 비료종류 및 시비방법을 확립하고자 수행되었다.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지중관수를 이용한 시비가 관행시비 처리보다 경장, 경직경 및 협수가 높았으며 각 처리구별 개화시기를 비교시 관행시비 화학비료 처리구에서 7월 28일로 개화시기가 가장 빨랐다. 성숙기 생육특징과 개화시기를 비교해보면 지중관수를 이용한 시비방법이 작물의 생장에 효과적이었다. 2. 질소 이용량은 지중관수와 관행시비 간의 효율을 비교 시 지중관수를 이용한 시비가 관행시비에 비해 질소의 흡수가 월등히 많음을 알 수 있었다. 3. 인의 흡수량은 지중관수, 관행시비 모두 가축비료 시비보다 화학비료 시비에서 많은 양의 인이 흡수되었으며, 질소가 지중관수 시에 높게 흡수되는 것과는 달리 관행시비 시에 인이 높게 흡수되었다. 4. 원자흡광분석법을 통하여 각 시비방법, 비료종류별 칼리의 흡수량을 조사한 결과 인의 흡수량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며, 지중관수, 관행시비 처리구 모두 가축비료에서 칼리의 흡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5. 수확 후 수량을 비교한 결과 지중관수를 이용 할 때는 가축비료와 화학비료간의 유의성은 존재하지 않지만, 관행시비를 이용한 가축비료와 화학비료 시비에는 유의차가 있는 수준에서 수량이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