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카페트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7초

카페트에서 방출되는 VOCs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miss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from carpet)

  • 신동민;김창녕;천만영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7-178
    • /
    • 2002
  • 최근 국내의 생활 문화가 점차 서구화되어 가면서 카페트를 사용하는 장소가 증가하고 있으며, 실내 소음 방지, 보온, 분위기 조성 등을 위한 목적으로 카페트의 사용범위는 점차 넓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카페트는 실내 VOCs 방출원 중의 하나로 보고되고 있으며, 여기서 방출된 VOCs는 실내 공기질(Indoor Air Quality: 이하 IAQ라 칭함)저하를 유발하는 요소 중의 하나이다. (중략)

  • PDF

콘칼로리미터와 가스유해성 시험법을 이용한 카페트류의 연소특성 평가 (Evaluation of the Burning Properties of Various Carpet Samples by using the Cone Calorimeter and Gas Toxicity Test)

  • 이봉우;권성필;이장원;이병호;김희수;김현중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1-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PTT(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양모(wool), 그리고 나일론/양모로 이루어진 5 종류의 카페트에 대한 연소거동을 열류량 $50kWm^2$의 콘 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가스유해성 평가는 KS F 2271의 시험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콘 칼로리미터 실험결과 나일론 카페트는 쉽게 불이 붙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점화 정도 혹은 초기 가연성은 나일론/양모로 이루어진 카페트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불의 세기인 열방출량은 폴리프로필렌 카페트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나일론 카페트가 가장 높은 연기 발생량을 보인 반면, 나일론/양모로 이루어진 카페트는 가장 낮은 가스 발생량을 나타냈다. 질량 감소율은 나일론/양모 >양모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PTT 카페트 순으로 나타났다. 연소 시 발생하는 유해성 가스인 일산화탄소의 경우 PTT에서 가장 많은 발생량을 보였으며, 나일론과 양모로 이루어진 카페트에서 가장 적은 양이 발생됐다.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은 폴리프로필렌이 가장 높았으며, 나일론/양모 카페트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쥐의 행동정지시간을 통해 살펴 본 결과 카페트류의 가스유해성은 PTT 카페트가 가장 해로운 것으로 나타났다.

카페트와 커튼의 방염처리 및 사용여부에 따른 화재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Characteristics of Carpet and Curtain Treated or Untreated with Flame Retardant)

  • 이해평;박영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74-81
    • /
    • 2007
  • 본 연구는 다중이용업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실내장식재들 가운데 카페트와 커튼을 대상으로 방염 처리 여부와 방염 처리한 카페트의 사용 여부에 따라 화재의 위험 요소인 열방출율, 연기밀도, 발화점 그리고 난연성을 평가하였다. 방염 처리 여부에 따른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방염 처리한 재료가 방염 처리를 하지 않은 재료보다 발열량이 낮게 나타났지만 연기밀도 지수는 오히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염처리한 카페트의 사용 여부에 따른 실험결과로는 3년 사용한 중고카페트가 사용하지 않은 새 카페트보다 발열량과 연기밀도 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동일 재료일지라도 사용여부에 따라 난연성과 발화온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페트에서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물질전달 모델 (Mass trasnfer model for VOCs emission from carpet)

  • 신동민;김창녕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4-215
    • /
    • 2002
  • 실내공기 질 저하 요인중의 하나인 카페트에서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이하VOCs)이 실험적으로 측정되어, 카페트의 VOCs 방출과정이 모델링 되었다. 실험으로 측정된 데이터는 실험 범위 내에서만 유효한 값을 가지며, 세부적이며 국소적인 값은 파악되기가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실험의 한계가 극복되는 동시에 실험결과가 수학적으로 응용되기 위해서는 물리적 현상에 기반을 둔 모델링이 요구된다. (중략)

  • PDF

내장재의 연소 및 독성가스 발생 특성 -방염 카페트, 방염 후처리 합판, 쇼파 내자를 중심으로- (Combustive Characteristic and Toxic Gases Generation of Interior Materials -The focus for resist-carpet, resist-after-tretment plywood, sofa leather-)

  • 김일수;류경옥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43-59
    • /
    • 1998
  • 화재위험성이 큰 유흥업소에서 주로 사용하는 내장재중 방염 카퍼l트, 방영 후처리 합환, 쇼파 례자동 3가지 시료에 대한 연소특성과 CO, CO2, 02, NO., S02, HCN, HCl둥 독성가스를 검출하여 화재 위험 성을 비교명가 하였다. 연소특성에 있어 방염 카페트가 방염 후처리 합판, 쇼파 레자 보다 연소가 잘 되 었고, 폭연 연소가 일어났다. 모든 시료에서 CO의 발생은 연소시작 후 1분 이내에 치사농도를 상회(上 ) 하였으나 NOx와 S02는 치사농도를 상회(上 ) 하지 않았지만. HCN는 카페트에서 쇼파 레자 보 다 20.6배, 방염 후처리 합판 보다 4.6배가 검출 되었고. HCl은 차페트에서 쇼파 례자 보다 4.48배, 방 염 후처리 합판 보다 2.47배가 검출 되었다. 이상과 같이 3종의 내장재중 방염 차페트가 화재위험성이 가장 높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자외선과 이산화티타늄계 광촉매를 이용한 벤젠의 분해 (Distruction of Benzene by Using UV/$TiO_2$ Photocatalyst)

  • 전의찬;송민종;사재환;노기완;박찬웅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6-368
    • /
    • 2000
  •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latile Organic Compound ; VOCs)은 오존등 광화학옥시단트로 인한 대도시의 대기질 악화와 함께 도시환경에서 중요한 발암성 물질이거나 만성 또는 급성의 건강장해를 일으킴으로써 공중보건상에 나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특히 실내 공기중의 VOCs는 건축자재, 가구, 접착제, 카페트, 흡연 및 취사행위 및 난방을 포함한 연료의 연소 등 다양한 오염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건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연간기획: 자연에서 찾은 건강_향기가 선물한 건강 -향기를 디자인하는 사람 정현주 플로리스트 꽃향기와 함께하는 건강한 생활

  • 이윤미
    • 건강소식
    • /
    • 제35권3호
    • /
    • pp.10-11
    • /
    • 2011
  • JW메리어트호텔 플라워 디자이너를 거쳐 프랑스 피베르디(Piverdie) 스쿨에서 플로리스트 과정을 수료하고 현재는 플라워카페에서 향기를 디자인하는 플로리스트 정현주 씨. 지난 2월 10일 역삼동에 위치한 플라워카페에서 정현주 플로리스트(33세)를 만났다.

  • PDF

터키지역 전통염색 카페트의 문양 특성 (The Caracteristics of Traditional Dyeing and Patterns on Turkish Carpets)

  • 신정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4-45
    • /
    • 2004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weaving, traditional dyeing, fiber material, pattern how carpet developing according to Turkey area for using the data that can rear to the export strategic industry for carpet production and development that is correct in culture. The result are followed: 1) Life of the age was expressed in color and pattern using according to geographical environment, climate, lifestyle, religion etc. 2) In the case of weaving, there is Kilim, Soumak that appears only weft on the surface as plane weaving without knot and carpet of knotted pile weaving and knot of carpet is duplex knot difference with carpet of the other country. 3) In the case of textile material, there is use most wool fiber that can get easily from breeded sheep by nomads. 4) In the case of dyeing, did the local traditional color to use dye extracting in dyeing material that can get easily in the area. Red that can extract in madder that can get easily in which area of Turkey, dark navy blue of indigo dye that indigo plant fermentation and cream beige that is wool's natural color were exposed representative traditional color of Turkey carpet. 5) Pattern was advanced uniquely as culture of the area; weaving person's sensitivity and desire are reflected through centuries. Amulet, riches & honors, fecundity and happiness appeared most pattern in any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