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카보입제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살선충제의 처리방법에 따른 뿌리혹선충 방제효과 (Effects of Incorporation Method of Nematicides on Reproduction of Meloidogyne arenaria)

  • 김동근;최성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89-95
    • /
    • 2001
  • 다조메분제 , 벤즈입제 , 아사자포스입제, 카두사포스입제, 카보입제 ,타보입제 ,포스치아제 이트입제, 아조포유제 등 8종의 살선충제를 이용하여 살선충제의 처리방법 (전처리, 후처리)과 처리량(1, 2, 3배량)에 따른 땅콩뿌리혹선충, Meloidogyne arenaria의 방제효과 및 약해를 온실에서 토마토 및 참외를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전처 리에서 1배량으로 90%이상의 높은 밀도억제 효과를 보인 것은 카두사포스입제, 다조메분제,포스치아제이트입제였으며,카보입제는 3배량에서 비슷한 밀도억제 효과를 나타냈고, 벤즈입제는 가장 효과가 낮았다. 후처리는 전터리에 비하여 대부분 약 제들의 약효가 낮았는데, 후처리에서 가장 효과가 좋았던 약제는 포스치아제이트입제였다 기준량 의 약제로 전처리, 후처리를 통하여 모두 뿌리혹선충의 밀도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던 것은 침투성 살선충제인 포스치아제이트입제였다.

  • PDF

시설과채류(오이, 참외)의 뿌리혹선충 종합방제에 관한 연구 (Study on Integrated Control against Root-knot Nematode of Fruit Vegetables (Oriental Melon and Cucumber) in Vinyl House)

  • 박소득;박선도;권태영;최부술;이원식;최영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5-81
    • /
    • 1995
  • 시설 과채류 재배지의 뿌리혹선충의 피해경감을 위해서 경북도내 시설 오이 재배단지인 칠곡과 참외재배 주산지인 성주에서 1992년부터 1994년까지 3년간 방제시험한 결과 뿌리혹선충의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한 토양개량 적기는 모래산흙인 마사토의 경우에 3년 붉은산흙인 경우 4년마다 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농약과 조합한 오이의 방재시험에서 빗사마드 분제가 78.2%, 카보입제+토양반전+담수가 71.2%, 카보입제+담수가 66.3%이었으며 참외에서 살충제처리후 20일에는 77.7~80.6%의 방제효과를 보였으나 60일 후에는 33.7~49.5%로 방제가 낮아 후기에는 효과가 낮았다. 참외재배 논에서의 작부체계에 따른 뿌리혹선충 밀도 억제효과는 참외 재배후 담수하여 벼를 재배할 때에 벼 수확시 방제효과가 91.1%로 대부분의 선충이 사멸되었다. 각 처리구 공히 처리당시에는 뿌리혹선충 증식을 억제하였으나 생육추기로 갈수록 선충밀도가 증가되었다. 그러나 토양개량은 3년간 효과적이였으며 가장 경제적으로 선충의 증식을 억제하 수 있는 처리는 3년마다 한번씩 벼를 재배하는 것이었다.

  • PDF

벼잎선충(線蟲)에 대(對)한 종자소독(種子消毒) 및 본답(本畓) 엽제방제(葉劑防除)에 관(關)한 연구(硏究) (Chemical Control of Rice White-tip Nematode (Aphelenchoides besseyi C.) by Seed-disinfectant and in the Paddy Field)

  • 조성산;한만종;양장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7-111
    • /
    • 1987
  • 벼잎선충(線蟲)에 대(對)한 종자소독(種子消毒) 효과 및 본답(本畓)에서의 약제방제(藥劑防除) 체계(體系)를 구명(究明)코자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벼잎선충(線蟲)에 대(對)한 종자소독용(種子消毒用) 살충제(殺蟲劑)로 메프유제(乳劑), 다수진유제(乳劑), 펜치온유제(乳劑)의 약효(藥效)가 양호(良好)하였다. 2. 기존(旣存) 종자소독용(種子消毒用) 살균제(殺菌劑)인 베노람수화제(水和劑), 티시엠유제(乳劑), Proaz유제(乳劑)와 살충제(殺蟲劑), 메프유제(乳劑), 펜치온유제(乳劑), 다수진유제(乳劑)를 각각(各各) 혼용(混用)하여 종자소독(種子消毒)을 하였을때에도 약효(藥效)가 우수(優秀)하였으며 약해(藥害)도 없었다. 3. 본답(本畓)에서의 벼잎선충(線蟲)에 대(對)한 방제체계(防除體系)로는 $\ulcorner$종자소독(種子消毒)+카보입제(粒劑) 토중처리(土中處理)$\lrcorner$$\ulcorner$종자소독(種子消毒)+카보입제(粒劑) 6월하순(月下旬) 수면처리(水面處理)$\lrcorner$가 효과적(效果的)이었다.

  • PDF

포도뿌리혹벌레(Daktulosphaira vitifoliae)약제방제 효과 및 피해 (Chemical Control of Grape Phylloxera, Daktulosphaira vitifoliae (Homoptera: Phylloxeridae) and Its Damage in Grapevine Yards)

  • 김동순;조명래;나승용;이준호;전흥용;임명순;최용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7-143
    • /
    • 2002
  • 포도뿌리혹벌레(Daktulosphaira vitifoliae (Fitch))는 포도나무 뿌리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뿌리에 혹이 생기게 하며 그 뿌리가 곧 썩어 결국 나무를 죽게 하는 포도나무의 치명적인 해충이다. 본 연구는 포도뿌리혹벌레 약제방제 체계를 수립하고자 몇 가지 살충제의 효과를 검토하였으며 포도원에서 뿌리혹벌레 피해를 조사하였다. Carbofuran 3GR 40kg/ha 및 carbosulfan 20WP 10$\ell$/주(1,000$\times$)처리는 효과적으로 포도뿌리혹벌레 발생밀도를 낮출 수 있었다. 하지만 봄철 약제살포 후 포도뿌리혹벌레 발생밀도는 수확기 때 다시 증가하였다. 1998년부터 2000년까지 봄철(5월중순)과 수확 후 carbofuran을 2회 살포한 과원에서 수량변화는 1988년 대비 2000년 30%증가하였다. 하지만 이 수량은 전국평균포도 수량보다 20%적었다 약제 방제를 하지 않은 과원에서는 수량이 1998년 대비 2000년 53%감소되었다. 또한 포도뿌리혹벌레 피해주가 1998년 3%에서 2000년 50%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사철나무혹파리의 생태(生態) 및 방제연구(防除硏究) (Study on Ecology and Control of Euonymus Gall Midge, Masakimyia Pustulae Yukawa et Sunose)

  • 김완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439-442
    • /
    • 1996
  • 본 연구(硏究)는 조경수(造景樹)로 많이 식재(植栽)되고 있는 사철나무에 피해(被害)를 주어 탄저병 감염(感染)이 잘되고 조기낙엽현상(早期落葉現象)이 일어나 미관(美觀)을 크게 해치는 사철나무혹파리에 대한 생태(生態) 및 약제방제방법(藥劑防除方法)을 연구(硏究)한 결과이다. 1. 사철나무혹파리의 우화시기(羽化時期)는 4월하순(月下句)~5월하순(月下句)(춘천지역(春川地域))이며, 성충(成蟲)의 체장(體長)은 평균(平均) $1.88{\pm}0.43mm$, 성충(成蟲)의 수명(壽命)은 약 11시간(時間), 성충(成蟲)의 성비(性比)는 ♀ 56%, ♂ 44%, 포란수(抱卵數)는 평균(平均) $90{\pm}28.01$개(個), 알의 모양은 장타원형으로 평균(平均) 길이 $0.32{\pm}0.013mm$, 유충(幼蟲)의 길이는 평균(平均) $1.64{\pm}0.25mm$였다. 용화(蛹化) 기간(期間)은 3월중순(月中句)부터 시작되며 용기간(蛹期間)은 약 40~45일(日)로 당해(當該) 년도(年度) 춘기(春期) 기온(氣溫)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2. 방제농약(防除農藥)으로는 카보 3%입제(粒濟)를 피해목(被害木) 주변(周邊)에 $1m^2$당(當) 200g씩을 3월중순(月中句)에 1차 매립(埋立)하여 주고 성충(成蟲) 우화(羽化)시작 후 1주일 정도 지난 후에 2차(次) 매립(埋立)처리한 시험구(試驗區)에서 96.2% 이상(以上)의 구제효과(驅除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 PDF

전남지역에서의 완두콩바구미 방제 체계 (Control of Pea Weevil (Bruchus pisorum L.) in Jeonnam Province)

  • 이시우;김광호;박창규;박홍현;이관석;최병렬;이상계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84-288
    • /
    • 2010
  • 전남 지역에서의 완두콩바구미 방제 약제 선발과 방제 시기 결정을 위한 일련의 실험이 포장과 실내에서 수행되었다. 1차 전남 농업기술원 포장 실험 결과 처리 약제는 카보푸란 입제는 50%의 방제가를 보였으며, 그외 시험 약제 fenitrothion, diazinon, carbaryl, ethofenprox, chlorpyrifos-methyl, spinosad, imidacloprid 등은 87.5% 이상의 방제가를 보였다. 방제시기와 처리 회수 실험에서는 결협기를 10일 간격으로 초, 종, 말기로 구분하여 약제를 처리한 결과 모든 약제에서 2회 처리(결협 초기, 증가)와 3회 처리(결협 초기, 중기, 말기) 시 fenitrothion(방제가 60.8%)를 제외한 diazinon, $\lambda$-cyhalothrin, chlorpyrifosmethyl, spinosad, imidacloprid 등은 86.3% 이상의 높은 방제 효과를 보였다. 방제는 결협 종기 (5월 10일 경)에 살포하는 것이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다. 완두콩바구미의 방제는 결협 10일 후에 방제 약제를 한 번 살포하거나 4-5일 후에 다시 한 변 살포하여 두 번 살포하는 방제법이 가장 높은 방제 효과를 보일 것으로 사료된다. 실내 실험에서 완두콩바구미는 거의 모든 유기인계에 매우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