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카바메이트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3초

전라남도에서 유통중인 국내산 및 수입산 곡류 중의 카바메이트제 농약 잔류 실태 연구 (A Study on the Carbamate Pesticide Residues in Domestic and Imported Crops in Chonnam Province)

  • 김영국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4-170
    • /
    • 2000
  • 10 carbamate pesticides were surveyed in domestic and imported green peas, beans, red beans from March 1999 through December 1999. Samples were collected from Gwangju, Mokpo, Suncheon and Yosoo grain markets. This study was performed by post-column ο-phthalaldehyde and 2-mercaptoethanol prior to HPCL fluorophore detection. Pesticides were found in 14 of 80 samples(17.5%). The kinds of pesticide detected in green peas were methomyl, MTMC, carbaryl, those in sesames were oxamyl, carbofuran, carbaryl, 1-naphthol, MIPC, those in beans were oxamyl, MTMC, carbaryl and those in red beans were MTMC, carbaryl. The range of residues detected in green peas, sesames, beans and red beans were 0.002∼0.025ppm, 0.001∼0.469ppm, 0.005∼0.356ppm and 0.017∼0.125ppm, respectively. The most frequently detected pesticides were MTMC(6 times) and carbaryl(5 times), while aldicarb, PHC and BPMC were no detected in all samples. Detection frequencies of carbamate pesticides in imported crops were higher than those in domestic ones except red beans. Only one result of oxamyl residues determined in imported bean was higher than the proposed maximum residue limits of Codex, which was 0.356ppm.

  • PDF

카바메이트 중독의 국내 현황 및 예후 인자 (Characteristics and Prognostic Factors of Carbamate Poisoning in Korea)

  • 권운용;박준석;어은경;오범진;이미진;이성우;서주현;노형근;서길준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7
    • /
    • 200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rognostic factors of carbamate poisoned patients who visited emergency departments. Methods: From August 2005 to July 2006, we investigated the demographic feature, dose of exposure, time of exposure, alcohol intake, route of exposure, reason of exposure, site of exposure, pre-existing medical condition, time from exposure to emergency department (ED), transfer from other hospitals, vital sign at ED arrival, symptom or sign at ED arrival, and result of care of the patients who visited the ED of thirty-eight hospitals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 of care,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the survival and the dead. To evaluated the prognostic factors, we calculated the odds ratio of each factor for the survival. Results: Among the sixty-eight patients, fifty-five patients (80.9%) were survival and thirteen patients (19.1%) were dead. The patients in the dead were older than the patients in the survival. The Glasgow coma scale (GCS) of the patients in the dead was lower than the GCS in the survival. The odds ratio of the GCS at ED arrival for the survival was 1.58 (95% CI; 1.23-2.05). Other factors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s. Conclusion: The GCS at emergency department arrival was the prognosis factor of the carbamate poisoned patients who visited emergency departments. If the carbamate poisoned patients showed altered mentalities, they should be provided intensive care, immediately.

  • PDF

물리 흡수제를 포함한 디에틸렌트리아민(Diethylenetriamine) 저수계 흡수제에서의 이산화탄소 흡수 특성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Carbon Dioxide by Water-lean Diethylenetriamine Absorbents Mixed with Physical Solvents)

  • 이화영;석창환;유정균;홍연기
    • 청정기술
    • /
    • 제24권1호
    • /
    • pp.50-5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디에틸렌트리아민(diethylenetriamine, DETA) 수용액에 물리흡수제인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NMP)을 도입한 저수계 흡수제에서 이산화탄소 포집에 따른 흡수제의 상분리 현상을 고찰하였다. 2 M DETA 수용액에서 NMP 조성이 30 wt%를 초과하면 $CO_2$ 흡수에 따라 흡수제의 상이 분리되는데 그 이유는 DETA-카바메이트 이온종의 NMP에 대한 낮은 용해도로 설명할 수 있다. 흡수제 내에서 NMP의 조성이 증가함에 따라 상분리 된 흡수제의 상층과 하층의 이산화탄소 로딩 차이가 커지고 하층의 부피가 감소하게 된다. 2 M DETA + NMP + 물 혼합 흡수제를 이용하여 충진탑에서의 이산화탄소 포집을 실시할 경우 흡수제 내 NMP조성이 40 wt%에 이르면 흡수속도가 줄어드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이산화탄소 흡수에 따른 점도 증가로 인한 흡수제 액막에서의 물질전달 저항 때문으로 해석된다. DETA + NMP + 물로 구성된 저수계 흡수제를 이산화탄소 포집에 적용하면 상분리에 따른 이산화탄소-rich 상 부피 감소로 재생에너지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닐린과 메탄올의 산화 카르보닐화에 의한 Methyl N-phenyl carbamate 제조 연구 (Study on Preparation of Methyl N-Phenyl Carbamate by Oxidative Carbonylation of Aniline and Methanol)

  • 노종선;이관영;김태순;장태선;윤병태;김성보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1호
    • /
    • pp.119-124
    • /
    • 2018
  • 아닐린과메탄올의산화 카르보닐화방법에의한 Methyl N-phenyl carbamate 제조는 기존의포스겐을사용하는폴리머의 단량체 생산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공정으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담지체로 Y-zeolite, $SiO_2$, $Al_2O_3$를 사용하여 불균일화 촉매를 제조하였고, 제조 된 불균일화 촉매를 이용하여 아닐린과 메탄올로부터 산화카르보닐화 연속운전을 시도하였다. 회분식반응기를 이용하여 담지체를 결정하였으며, 담지된 palladium 촉매를 이용하여 조촉매의 영향과 반응온도, 반응압력 등 여러 반응최적조건을 확립하였다. 최적의 반응조건 MPC의 수율은 98.6% 였으며, 반응속도론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반응온도의 반응속도상수로부터 얻어진 활성화 에너지는 각각 E=82.38 kJ/mol, E=66.20 kJ/mol 이었다. 또한 확립된 반응조건에서 장시간 연속운전을 수행하여 카바메이트 공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하였다.

수질 모니터링을 위한 유해 물질 유입에 따른 생물체의 행동 반응 분석 및 인식 (Analysis and Recognition of Behavioral Response of Selected Insects in Toxic Chemicals for Water Quality Monitoring)

  • 김철기;차의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9B권5호
    • /
    • pp.663-67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자동 추적 시스템을 이용하여 카바메이트 계열의 농약인 카보퓨란의 치명적인 투여에 대하여 반자연적인 조건에서 반응하는 깔따구의 움직임을 관찰하였다. 4령기에 있는 깔따구를 $6cm\times{7cm}\times{2.5cm}$ 크기의 서식 장소와 $18^\circ{C}$의 수온, 명기와 암기를 각각 10시간, 14시간의 조건에서 관찰을 하였다. 추적 시스템은 깔따구 몸체의 부분 점들을 탐지하여 추적하도록 하였다. 모든 실험은 반자연적인(semi-natural) 상태에서 진행되었으며 약제 카보퓨란(Carbofuran 0.1mg/l) 처리 전 후 이틀씩 모두 4일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진행되었다. 실험 결과 약제의 처리후에 압축된 지그제그 형태로 나타나는 "떨림 현상"과 같은 비정규적인 행동들이 종종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약제 처리된 종들의 행동 변화를 탐지하기 위하여, 웨이블릿 분석이 다른 움직임 패턴들을 특징화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이산 웨이블릿에 기반하여 추출된 파라미터들은 약제처리 전후의 움직임에 대한 다른 유형의 패턴들을 표현하기 위하여 인공 신경망을 통하여 학습되었다. 이러한 웨이블릿과 인공 신경망의 통합 모델은 특징화된 움직임 패턴들의 발생 시점을 탐지할 수 있었으며, 수질 모니터링을 위한 독성 물질의 유입을 자동으로 탐지할 수 있는 도구로써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을 알 수 있었다.

카바메이트 중독 후 발생한 급성췌장염 (Acute Pancreatitis after Carbamate Poisoning)

  • 박요섭;김용원;오세현;차용성;차경철;김오현;이강현;황성오;김현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7-84
    • /
    • 2014
  • Purpose: Carbamate insecticides are potent cholinesterase inhibitors capable of causing severe cholinergic toxicity. Use of carbamate rather than organophosphate insecticides has been increasing. Compared with organophosphate poisoning, relatively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carbamate-associated acute pancreatitis. We investigated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ancreatitis of carbamate poisoning and the predictors, among those readily assessed in the emergency department.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review of consecutive patients, aged over 18 years, who were admitted between January 2008 and April 2012 to an emergency department (ED) of an academic tertiary care center for treatment of carbamate poisoning. Patients who exhibited poisoning by any other material, except alcohol, were excluded. After application of exclusion criteria, patients were divided according to carbamate-induced pancreatitis and non-pancreatitis groups. Results: A total of 41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mong these 41 patients, the prevalence of acute pancreatitis was 36.6% (15 patients). Initial blood chemistry tests showed a statistically higher glucose level in the pancreatitis group, compared with the non-pancreatitis group (222, IQR 189-284 vs. 137, IQR 122-175 mg/dL, P<0.05). Regarding clinical courses and outcomes, a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 of patients developed pneumonia [10 (66.7%) vs. 6 (23.1%), P<0.05] and had a longer hospital stay (7 days, IQR 6-12 vs. 5 days, IQR 2-11, P<0.05), but no difference in mortality, in the pancreatitis group vs. the non-pancreatitis group. In multivariate analysis, the initial glucose was showing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presentation of carbamate-induced acute pancreatitis (odds ratio 1.018, 95% confidence interval 1.001-1.035, P<0.05). Conclusion: Carbamate-induced acute pancreatitis is common, but not fatal. Initial serum glucose level is associated with acute pancreatitis.

  • PDF

Korea Total Diet Study-Based Risk Assessment on Contaminants Formed During Manufacture, Preparation and Storage of Food

  • Kwon, Kisung;Jo, Cheon-Ho;Choi, Jang-Duck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13-219
    • /
    • 2021
  • 식품의 제조, 가공, 조리 및 저장 중 많은 유해물질이 발생하며 이들은 소량이지만 장기간 노출되면 식품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수행한 총 식이조사(TDS) 자료를 기반으로 우리나라에서 식품섭취를 통한 이들 주요 유해물질에 대한 노출 및 위해평가 상황을 파악하고 소비자 및 기업으로 하여금 관련 위험을 저감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식품의 제조, 가공, 조리 및 저장 중 생성 유해물질 중 대표적인 아크릴아미드, 퓨란, 에틸 카바메이트, 3-MCPD, 바이오제닉 아민류, 니트로아민류 화합물, 다환 방향족화합물, 벤젠 등에 대한 식이를 통한 노출량을 조사하고 위해평가를 수행한 바, 아크릴아미드 및 퓨란의 경우 노출안전역(MOE) 10,000이하로 저감화 우선 물질로 판단되며, 나머지 물질 등의 경우 모두 노출안전역이 10,000 또는 100,000 이상으로 안전한 수준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그러나 향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ALARA 원칙에 따라 가능한 노출 저감화를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한다.

잔디용 제초제 Flupoxam 과립수화제의 생물특성 소개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Flupoxam under Registration)

  • 이인용;김창석;이정란;문병철;이관섭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12-219
    • /
    • 2011
  • 플루폭삼(flupoxam) 과립수화제는 새포아풀, 바랭이 등의 일년생 화본과 및 광엽잡초에 대해 95%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약효는 $2kg\;ha^{-1}$에서 3~4월 처리의 경우 120일 이상, 9~10월에 처리할 경우 180일 이상 지속된다. 또한 토양흡착성이 높기 때문에 안전한 처리층이 형성되고 예초후 잔디 찌꺼기(thatch) 유무에 관계없이 잡초방제 효과가 100%이었다. 기존의 잔디용 제초제(디니트로아니린계, 피리딘계, 카바메이트계) 등과는 다른 새로운 작용기작을 가지고 있어 약제의 교호살포에 효과적이다. 주변 조경수에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이상증상이 없었다.

광산화(Photooxidation)에 의한 고체 상 표면 잔류농약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sidual Pesticide Removals on the Surface of Solid Phase Using Photooxidation Process)

  • 이태진;안수정
    • 유기물자원화
    • /
    • 제9권2호
    • /
    • pp.87-92
    • /
    • 2001
  • 발암성 물질 내지는 내분비계장애물질로 인식되고 있는 농약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함에 따라 잔류농약제거에 관한 연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산화수소가 첨가된 광산화공정을 이용한 고체상의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의 분해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카바메이트계인 베노밀과 유기염소계인 클로로타로닐을 대상으로 실험을 한 결과 파장은 350nm에서, 과산화수소의 공급은 20%에서 최적처리효율을 나타냈으며 과산화수소 또는 UV 조사를 단독적으로 적용하였을 때 그 제거효과는 미미하였으나 UV와 과산화수소를 병행하여 처리하였을 때 처리효율은 가속화되었다. 최적조건에서 20분간 반응하였을 때 고체상 표면에 잔류하는 베노밀은 약 $2{\mu}g/cm^2$이 제거되었으며, 클로로타로닐은 약$1.88{\mu}g/cm^2$이 제거되었다.

  • PDF

매실농축액의 에틸카바메이트 분석과 노출량 평가 (Determination of Ethyl Carbamate in Maesil Extract and Estimated Daily Intake)

  • 최보경;고은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2-117
    • /
    • 2015
  • The analytical method for ethyl carbamate (EC) in maesil (Prunus mume) extract was developed with deuterium-labeled ethyl carbamate as an internal standard. Samples were neutralized with an addition of 1 N sodium hydroxide solution, followed by a solid phase extraction with a Chem Elut cartridge. A standard curve exhibited a good linearity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991. The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were 2.91 ng/g and 8.83 ng/g, respectively. The recovery rate of EC ranged from 91.40% to 120.90%. The precision never exceeded 12.57% (intra-day) and 11.03% (inter-day). Samples were comprised of 24 home-made and 7 commercially-available maesil extracts. Eight home-made samples contained EC at levels between 3.39 and 75.76 ng/g. Three commercially-available samples had EC at levels between 11.67 and 20.16 ng/g. Average daily intakes of EC from maesil extracts for consumers were 0.23 g/kg of body weight. Based on a benchmark dose confidence limit ($BMDL_{10}$) of 0.25 mg/kg of body weight/day, the margin of exposure (MOE) of EC in maesil extract for consumers was 94,150, which is not of concern. Considering that a daily intake of maesil extract has been increasing, further studies on the formation of EC in maesil extract is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