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침식위험도

Search Result 12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review on estimation and comparison of rainfall kinetic energy using disdrometer: a case study of Sangju (광학우적계를 활용한 강우 운동에너지 산정 및 비교에 관한 연구: 상주지역을 중심으로)

  • Yeon, Min Ho;Van, Linh Nguyen;Song, Min Geun;Lee, Gi 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29-129
    • /
    • 2022
  • 국내에서 발생하는 토양침식(soil erosion)은 주로 강우에 의해 발생하며, 이로 인해 농경지 유실, 탁수 발생, 하천 통수능 저하 등 여러 수문학적·환경적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유역 내 토양침식 위험지역을 선별하고, 해당 지역의 토양유실 및 유사의 발생량을 산정하는 것은 토양보전 대책 수립 시에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침식-유사유출의 물리적 과정은 크게 '강우에 의한 토양 분리(detachment by raindrop)'와 '지표류에 의한 토양 분리(detachment by overlandflow)'로 나눌 수 있으며, 그중 강우에 의한 토양 분리는 수침식(water erosion)의 첫 번째 과정 중 하나로 강우 시 낙하하는 강우 입자들이 갖는 운동에너지가 지표면을 타격할 때 토양체로부터 토양입자가 분리되는 과정이다. 따라서 강우에 의한 토양분리량 산정을 위해서는 강우 운동에너지(rainfall kinetic energy, KE)의 정확한 계산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후 및 지리적 특성 등 여러 조건에 따라 강우 운동에너지는 지역마다 다르게 나타나며, 이로 인해 강우 운동에너지 추정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강우 운동에너지 추정은 주로 강우강도(rainfall intensity, I)와의 관계를 이용한 함수식을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지역인 상주지역에 광학우적계(disdrometer)를 설치하여 2020년 6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관측된 37개의 강우 사상에 대하여 KE-I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강우 운동에너지식을 도출하였다. 또한, 기존에 국외 및 국내에서 제시된 선형(linear), 멱함수(power-law function), 지수함수(exponential function) 형태의 강우 운동에너지 공식과 본 연구에서 산정된 KE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비체적 강우 운동에너지에서 Sanchez-Moreno et al. (2012)가 제안한 멱함수 형태의 공식이, 비시간 강우 운동에너지에서 Kinnel (1981)이 제안한 지수함수 형태의 공식이 각각 강우 운동에너지 추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eview on Coastline Change and Its Response Along the Cotonou Coast, Benin in the Gulf of Guinea, West Africa (서아프리카 기니만에 있는 베냉 코토누의 해안선 변화와 대응에 대한 고찰)

  • Yang, Chan-Su;Hong, Hyeyeon;Shin, Dae-W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7 no.5
    • /
    • pp.691-699
    • /
    • 2021
  • The global surface temperature has risen critically over the past century and according to the IPCC Fifth Assessment Report 2014, existing risks in natural and human systems will worsen. Coastal erosion is mostly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among all the coastal areas at risk, Benin, which is part of the Gulf of Guinea, has been ranked very highly as a vulnerable region. Therefore, in this review, we focus on the evolution of coastline change in Cotonou of Benin, summarizing its resultant impacts and applied measures around the coast area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Signs of coastal erosion in Cotonou appeared in 1963. After 39 years, the east shoreline of Cotonou has retreated by 885 m, resulting in the disappearance of more than 800 houses. To solve this problem, Benin authorities built seven groynes in 2013, and have increased the number of the structure as a way to interrupt water flow and limit the movement of sediment. Over the region, shorelines appeared preserved accordingly. In contrast, areas located further east, where groynes were not installed, have suf ered from intensive erosion at a rate of 49 m/yr. In the future, as a next step, the effectiveness of groynes should be studied with local and broader perspectives.

Soil Erosion Risk Assessment in the Upper Han River Basis Using Spatial Soil Erosion Map (분포형 토양침식지도를 이용한 한강상류지역 토양유실 위험성 평가)

  • Park, Chan-Won;Sonn, Yeon-Kyu;Zhang, Yong-Seon;Hong, S.-Young;Hyun, Byung-Keun;Song, Kwan-Cheol;Ha, Sang-Keun;Moon, Young-Hee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3 no.6
    • /
    • pp.828-836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soil erosion risk with a standard unit watershed in the upper Han river basin using the spatial soil erosion map according to the change of landuse. The study area is 14,577 $km^2$, which consists of 10 subbasins, 107 standard unit watersheds. Total annual soil loss and soil loss per area estimated were $895{\times}10^4\;Mg\;yr^{-1}$ and 6.1 Mg $ha^{-1}\;yr^{-1}$, respectively. A result of analysis with a subbasin as a unit showed that annual soil losses and soil loss per area in Namhan river basins was more than in Bukhan river ones. Predicted annual soil loss according to the landuse ranked as Forest & Grassland > Upland ${\gg}$ Urban & Fallow area > Paddy field > Orchard. Upland area covered 6.2% of the study area, but the contribution of total annul soil loss was 40.6% and that of Forest & Grassland was 44.2%. As a evaluation of soil erosion risk using the spatial soil erosion map, we could precisely conformed the potential hazardous region of soil erosion in each unit watersheds. The ratio of regions, graded as higher "Moderate" for annual soil loss, were respectively 8.7%, 7.9% and 7.8% in 1001, 1002 and 1003 subbasins in Namhan river basin. Most landuse of these area was upland, and these area is necessary to establish soil conservation practices to reduce soil erosion based on the field observation.

Development of a user-friendly coastal terrain change numerical model based on an interactive platform (인터랙티브 플랫폼 기반 사용자 친화적 연안 지형변화 수치모형 개발)

  • Junsu Noh;Sangyoung S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29-129
    • /
    • 2023
  • 연안 환경은 기후 및 도시개발과 같은 자연·인공적 요인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한다. 근래에는 연안 도시 인구증가, 기후변화 등의 영향으로 인해 그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특히 연안 침식 및 이에 따른 해안선 변화에 대한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연안 침식은 해류와 해안 유사의 마찰로 발생하는 유사이송 현상으로 야기되며, 해안 환경을 변화를 초래하며 인간사회에 경제적인 피해를 주기도 한다. 연안침식이 사회적인 문제로 부상했음에도 여전히 이에 대한 대중적 문제의식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는 대중매체를 통한 시각적인 노출이 가능한 다른 재해에 비해 재해의 물리적 과정에 대한 시각적인 관측이 어렵다는 배경이 있다고 판단된다. 더불어, 재해의 간접체험이 가능한 플랫폼이 부족하다는 점도 원인으로 여겨진다.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통한 재해의 간접체험이 가능한 플랫폼이 개발되어왔으며, 이는 직접 경험하기 어려운 재해에 대해 위험성 인지 및 경각심 고취에 활용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 플랫폼인 Celeris Advent(Tavakkol and Lynett, 2017)를 기반으로 실시간 유사이송 해석이 가능한 인터랙티브 수치모형을 개발하여 문제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통해 조작이 가능한 Celeris Advent는 수치해석 결과를 실시간으로 가시화하며, 이에 대한 사용자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이를 기반으로 유사의 흐름에 대해 모의가 가능하도록 모형을 구성하여 실시간 사용자 입력 및 유사이송 물리현상 관측이 가능하도록 모형을 개발하였다. 수치모형 지배방정식은 2차원 천수방정식과 유사이송방정식을 양방향 결합하여 구성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정확성 평가를 위해 1차원 및 2차원 수리실험 데이터를 활용하여 수치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전반적인 결과는 실험데이터와 잘 일치하였다.

  • PDF

A study on estimation of dam sediment inflow using physics-based models (물리기반 모형을 활용한 댐 토사 유입량 산정에 관한 연구)

  • Min Ho Yeon;Hyun Uk An;Seung Jun Lee;Gi Ha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73-473
    • /
    • 2023
  • 토사재해는 토사로 인해 발생하는 재해로 정의되며, 일반적으로 우기(rainy season)에 주로 발생한다. 또한, 강우로 인해 발생하는 토양침식(soil erosion)과 강우 및 지진에 의해 나타나는 산사태로 인한 토석류(debris flow)가 토사재해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이러한 재해로 인하여 하천 및 호소의 수질 저하, 토양유실에 따른 농경지 감소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댐으로 유입되는 토사는 사수역(dead storage)을 증가시키고, 발전용 댐의 경우 토사재해가 발전설비 마모 등을 일으킴에 따라 발전효율을 감소시키기도 한다. 더욱이, 기후변화로 인하여 강우량 및 강우강도가 증가하고, 최근 한반도에서는 지진의 강도와 빈도 또한 증가함에 따라 토사재해의 잠재적 위험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따라서 댐 유역에서의 토사 유입에 관한 정량적 예측을 포함한 종합적인 댐 토사 관리기술 및 대책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수질 악화로 인해 발전이 중단된 도암댐을 대상으로 댐으로의 토사 유입량을 분석하고자 토양침식과 토석류의 정량적 예측이 가능하고, 각각의 물리적 과정을 고려하는 물리기반 모형을 활용하였다. 토사재해의 주요 원인인 강우와 지진에 대해 미래에 발생 가능한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시나리오별 토사 유입량과 유입 비율을 정량적으로 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역 내 토사재해로 인한 피해 예방기술 및 댐 유지관리와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Geotechnical System Response Probabilities of Fill Dams in Korea Using Internal Erosion Toolbox (내부 침식 평가 도구를 이용한 국내 필댐의 지반공학적 시스템 응답 확률에 대한 비교 연구)

  • Kim, Woo-Yong;Lim, Jeong-Yeul;Mok, Young-Jin;Jung, Young-H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6 no.2
    • /
    • pp.245-258
    • /
    • 2016
  • In this study the geotechnical system response probabilities (SRP) of the failure modes caused by the interal erosion in three dams with different histories of defects in Korea were analyzed via the internal erosion toolbox developed by USACE. The calculated values of SRP were compared with the values reported for other dams in worldwide and also the statistics on the past failures of dams and embankments in Korea. The calculated values of SRP related to the internal erosion adjacent to the conduits or spillway structures are as high as in the order of $10^{-5}$ that i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SRP values related to other mechanisms of internal erosion. The statistical data showing that the interal erosion adjacent to the structure is the most frequent cause of the failure of the dam in Korea could be a collateral evidence of this finding. In contrast, the values of SRP related to the internal erosion through foundation, one of the major causes of dam failure in worldwide, are relatively as low as in the order of $10^{-7}$. This result could be comparable with the rareness of the failure cases of dam caused by the internal erosion through foundation in Korea.

A Study on Improving the Storm and Wind Damage Management System of Coastal Cities (연안도시 풍수해 관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Oh, Sang-Baeg;Lee, Han-Seok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3 no.3
    • /
    • pp.209-218
    • /
    • 2019
  • Coastal cities suffer a great deal of storm and wind damage. The storm and wind characteristics vary between cities. Therefore, a storm and wind damage management system suited for specific characteristics is required for each coastal city.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and establish the problem of storm and wind damage management system in regards to urban management, coastal management and disaster management. We also review the storm and wind damage management system for the USA and Japan. We consequently propose a plan to improve the storm and wind damage management system.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erms of city management, we recommend the compulsory identification of disaster prevention districts,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ed coastal city management plan, designation of natural disaster risk mitigation area as disaster prevention district, the division of disaster prevention district into wind damage prevention district, storm damage prevention district, erosion damage prevention district, the building of restrictions at the disaster prevention district by ordinance, etc. In regards to coastal management, we suggest the delegation of authority to delegate coastal erosion management area to the local government, the subdivision of coastal erosion management area into erosion serious area, erosion progress area, erosion concern area, the building restrictions at coastal erosion management area by ordinance, development of erosion prediction chart, etc. In relation to disaster management, we recommend the integration of "countermeasures against natural disasters act" and "disasters and safety management basic act", the local government-led disaster prevention system, the local disaster management network, and the customized local disaster prevention plan, etc.

Development of Inundation Hazard Map for River Levee Failure (하천제방 붕괴로 인한 침수위험도 작성)

  • Park, Jae-Hong;Song, Jun-Ho;Kim, Mi-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46-55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홍수시 제내지 침수로 인한 큰 인명 및 재산 피해의 가장 큰 원인이 되는 제방 붕괴과정을 제방의 침식 및 세굴이론 등 물리적 이론에 근거하여 해석하고 이를 토대로 하천제방 붕괴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을 이용하여 하천제방 붕괴 모의를 수행하여 제내지의 2차원 침수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침수위험도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침수위험도는 제내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효율적으로 제방붕괴에 대한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방붕괴로 인한 홍수재해보험 보험요율 산정시 침수위험도에 근거한 합리적 산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모형의 적용 결과 홍수로 인한 제내지 침수위험도 산정을 위해 하천흐름-제방붕괴-제내지 침수해석을 연계하여 일관성 있게 모의할 수 있는 수치모형을 개발하여 실제 유역에 적용한 결과 제내지에서의 침수심, 침수면적, 하천 홍수위, 제방붕괴 폭 등이 합리적으로 계산됨을 알 수 있었다. 시간에 따른 제방 붕괴폭은 기존의 모형에서 사용하고 있는 순간적, 선형적인 붕괴가 아니라 포물선형의 붕괴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시간에 따라 붕괴폭도 합리적으로 계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내지의 침수심을 토대로 제내지 홍수시 침수위험도 산정기법을 개발하여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하천변에 위치한 지역이 위험도가 무조건적으로 높은 것은 아니라 지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 PDF

Utilization of Super Levee for Reduction of Overtopping Damages (월류 피해 저감을 위한 수퍼제방 활용 방안)

  • Yoon, Kwang-Seok;Yu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907-911
    • /
    • 2010
  •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홍수피해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홍수피해 영향 및 대책 수립이 절실한 실정이다. 2006년 7월에 전국적으로 발생한 홍수가 대표적인 예이며, 월류에 의해 하천제방 붕괴되면서 제내지가 침수되는 피해를 입었다. 제방붕괴의 원인 중 대부분이 월류 및 침식에 의해서 발생하고 최근에는 월류에 의한 제방붕괴 피해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월류에 의한 제방붕괴는 계획홍수량을 초과하는 홍수에 의해 발생하므로, 수위가 높은 상태에서 제방이 붕괴됨에 따라 침식, 구조물에 의한 파괴, 제체불안정 등에 의한 피해보다 그 위험성이 크다. 따라서, 계획홍수량을 초과하는 홍수에 대한 대책의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수퍼제방은 홍수에 대한 취약성이 큰 지역에 적용될 수 있는 구조물적 대책의 하나이며, 근본적으로 치수안전도와 부지 활용도를 높인다는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고려해 볼 수 있는 대책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퍼제방의 도입 목적과 기능을 이해하고, 제반 안정성을 확보될 수 있는 공학적 설계방법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국내 여건에 적합한 수퍼제방 도입 방안과 수퍼제방 도입에 따른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기 위한 설계 고려 사항을 검토하였다.

  • PDF

Quantification on Dam Condition Related to Internal Erosion of an Embankment Dam and its Applicability Evaluation (필댐의 내부침식과 관련된 댐 상태의 정량화 및 적용성 평가)

  • Heo, Gun;Chung, Choong-Ki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5 no.4
    • /
    • pp.5-14
    • /
    • 2019
  • The typical four conditions related to internal erosion were set from the results of the regular dam safety inspection for 17,500 dam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dam safety experts to quantify these four typical current dam conditions with scores between 0 and 10, respectively. In addition, we proposed 'possible score range' for each condition to minimize the decision limits for dam managers to quantify dam conditions while helping to quantify various dam conditions except 4 representative conditions. A case study based on 'quantified score' and 'possible score range' for each condition showed that this method consistently reflects the dangerousness of the dam and provides a reasonable probability of failure. This helps to overcome limitations of dam rating determination by weighted average, and it will help to evaluate dangerous dams as dangerous d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