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친환경 인증제도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32초

경인지역 대학생의 환경과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식 (Perceptions on Environment and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Incheon Area)

  • 성민정;최효선;장경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17-324
    • /
    • 2008
  • 본 연구는 경인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지식정도를 알아보고, 환경과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식을 5점 척도로 평가하여 일반사항, 환경농산물에 대한 지식이 환경과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자가 지식을 묻는 문항에 친환경농산물에 대해 '매우 잘 알고 있다'와 '잘 알고 있다'로 응답한 비율이 52.9%이었으며, 친환경농산물인증마크를 올바르게 선택한 학생은 50.9%이었다. 나머지 40.1%의 학생들이 오답으로 선택한 것 중 농산물품질인증마크가 65.8%로 가장 많았으며, 친환경농산물의 인증을 정부와 민간기관에서 병행하고 있는 것에 대해 87.0%가 모른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환경과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식을 5점 척도로 조사한 요인별 결과, 친환경농산물의 이미지에 대한 5문항의 평균 점수는 $3.84{\pm}0.68$로 높게 나타났으며, 5문항 중 '친환경 농산물은 건강에 좋은 것이다'라는 문항이 $3.95{\pm}0.84$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품질인증마크가 붙은 친환경농산물은 믿을 수 있다'의 평균 점수는 $3.70{\pm}0.92$로 가장 낮았다. 셋째, 환경에 대한 태도 3문항의 평균 점수는 $3.51{\pm}0.73$이었고, 3문항 중 '환경은 후세들을 위하여 최대한 보전하는 것이 원칙이다'라는 문항이 $4.16{\pm}0.90$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이러한 환경보전 의식과 후세들을 생각하는 마음이 친환경농산물의 소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농약에 대한 태도 2문항의 평균 점수는 $3.58{\pm}0.87$로 농약의 과다 사용과 잔류에 대한 불안감이 높았으며,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자가 지식 정도는 친환경농산물의 이미지, 환경에 대한 태도, 농약에 대한 태도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다섯째, 친환경농산물의 소비 증진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는 '가격인하'에 대한 의견이 48.3%로 가장 많았고, '믿을 수 있는 생산자와 제조회사의 확립' 21.2%,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홍보강화' 15.0%, '구매 장소의 다양화' 11.9%, '친환경농산물의 품질 향상' 8.3%, ‘품질인증 표시제도의 강화' 4.4% 순이었다. 이상에서 조사된 바에 의하면 대학생들은 친환경농산물을 환경과 건강에 좋은 농산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친환경농산물과 관련된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과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좋은 인식은 구매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올바른 지식은 구매 시 단순히 '가격'을 기준으로 판단하지 않게 해 줄 것이고, 끊임없는 유통 구조의 개선과 친환경농산물을 찾는 소비자의 증가는 친환경농산물의 '가격 인하'로까지 이어질 것이다. 소비자로서 바람직한 가치관을 가지고 올바르게 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대중매체는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를 수행하여야 하며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식품 선택 및 소비자 교육을 실시하여 올바른 정보를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건설공사의 온실가스 배출 요인 인과지도 개발 (Development of Causal Map for Greenhouse Gas Emission in Construction)

  • 배진희;박희성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9-110
    • /
    • 2012
  •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환경 문제의 심각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전 산업 부문에서 지구온난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건설 산업에서도 온실가스 저감 대책으로 친환경 에너지 개발,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등 녹색기술의 활동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활발한 연구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건설공사의 각 단계별 과정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과의 이해관계를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 연구문헌을 조사하여 건설공사 과정을 원자재 생산, 시공, 유지 및 관리, 해체 및 재활용의 단계로 구분하여, 건설공사의 각 단계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인과지도 작성을 통하여 온실가스 배출 원인을 분석하였다.

  • PDF

유기농 이유식 제품 제조 기술 현황과 소비 전망

  • 신현호
    • 한국유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 2006년도 제62회 춘계 심포지움 - 친환경유제품 개발과 소비 전망
    • /
    • pp.29-45
    • /
    • 2006
  • 최근에 들어 웰빙(well-being)과 함께 로하스(LOHAS: Lifestyle of Health and Sustainability)란 개념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며, 이를 만족하는 식품으로 친환경 농산물과 유기 가공 식품이 대두되고 있다. 여러 마케팅 조사에서도 친환경 농산물과 유기 가공 식품의 소비자 선호도는 상당히 높게 나타난다. 이러한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맞춰 우리의 2세에게 더욱 안전하고 좋은 품질의 이유식을 제공하고 나아가 한계에 이른 '지구와 환경을 해치지 않는 지속가능 한 소비'를 유도하고자 업체들은 유기농 이유식을 개발하고 있다. 유기농 소비자 10명 가운데 7명은 최근의 웰빙 붐 때문에 유기농에 관심을 가지게 됐으며, 가격이 다소 비싸더라도 가족의 건강을 위해 친환경 농산물을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외를 막론하고 친환경 농산물과 유피 가공 식품의 시장 동향을 살펴보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일반 제품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며, 국내는 인증 제도가 없으나, 유기 가공 식품표시기준에 따라 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유식이라 함은 식품공전에서 영 ${\cdot}$ 유아용 곡류 조제식만을 말하지만 넓게 축산물의 조제유류, 영아용 조제식, 성장기용 조제식, 기타 영 ${\cdot}$ 유아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기농 이유식 제조 현황을 살펴보면 동결, 분무, 드럼 등의 건조와 퍼핑이나 Extruder를 통한 알파화로 원료를 가공하여 은 살균, 멸균, 균질, 혼합, 건조, 냉각, 포장 등의 다양한 공정으로 이루어진 분무건조나 유동층이나 연속식 과립기를 사용하여 분말이나 입자형 이유식을 생산하며, 동결 건조를 하여 열수를 가해 죽 상태로 먹을 수 있도록 한 제품, 데워서 떠 먹일 수 있도록 병조림이나 레토르트 유동식 제품, 바로 마실 수 있는 쥬스류, 두유류, 과자 등으로 생산하고 있다. 주된 메이저4사는 일동후디스, 남양유업, 매일유업, 파스퇴르유업으로 다양한 제품들을 생산하고 있으며, 두유를 위주로 한 정식품, 연세우유와 종근당건강, 다양한 다국적 기업들의 제품이 수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유식 시장도 96년 하반기부터 정체를 보이는 상태다. 2002년도 이유식 시장은 약 1,300억원 규모로 업체들의 고가 신제품과 유기농 이유식 출시로 판매 금액은 소폭 상승하였으나 판매 수량은 큰 변동이 없다. 저출산에 따른 양육비 집중과 유기농 제품에 대한 저변이 크게 확산돼 베이비 웰빙은 어느 정도 예견된 일이거니와 이미 미국 등 선진국에선 유아에 그치지 않고 아동까지 유기농과 고급 원료를 사용한 고가의 웰빙 제품이 봇물을 이루고 있는 상황이어서 유아식 시장은 어느 때보다 경쟁이 치열할 것이며, 국내 식품 업체들이 너도나도 유기농 제품과 매장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유기 가공 식품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 (1) 국내산/수입산 공통으로 인증 제도가 도입되고 원료 농산물뿐만 아니라, 모든 공정이나 공장에 대한 종합적 관리와 동일한 인증 표시가 이루어져야 한다. (2) 정부 부처의 이기를 타파할 수 있는 법정부적 기구나 대책이 필요하다. (3) 유기 가공 식품을 취급하는 업계에서는 기존 3%의 비의도적 혼입치의 고려나 상한선 재설정을 요구하고 진정한 유기 가공 식품으로 공정 경쟁한다. (4) 활발한 인증심사원의 교육과 배출로 인증이나 심사기관의 민간 이양을 적극 장려하고 국가관 상호 신뢰를 구축한다. (5) 각 소비자 단체나 소비자는 환경을 살리고 생명체의 공생이라는 관점에서 최선의 길이 유기농 제품임을 인식하고 소비하여 우리의 다음 세대에게서 빌려온 소중한 환경을 물려준다.

  • PDF

공동주택 관련 인증제도 간 상호 인정 방안 -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와 주택성능등급표시제도를 중심으로 - (Mutual Accreditation of Certification Systems for Apartment Housing - Focused o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and Good Housing Certification System -)

  • 안선주;송상훈
    • KIEAE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35-44
    • /
    • 2011
  • Many countries have run their own certification systems in order to reduce the environmental loads from buildings. Domestically, various systems are applied according to building types from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System since 2001 to Green Home Construction Standard and Performance since 2009. However, these systems provide the applicants with confusion and waste by exposing them to several systems simultaneously, some of which are mandator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nsure the flexibility among those systems and eliminate the possible waste by suggesting mutual accreditation method of evaluation results.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ly, the thirteen similar evaluation items are identified between Housing Performance Grading Indication System and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Then, the mutual accreditation method is developed by comparing detailed evaluation criteria and credits for those thirteen items.

친환경 인증 오피스 건축물의 공간 이용성 평가 (Evaluation on Usability of Space in Leed-Certified Office Building)

  • 강인호;박정아
    • KIEAE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103-10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ability and satisfaction of space to which positive elements in Leed-Certified Office Building are applied.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three-step approach. The first step was to understand the building and identify the issues which included the analysis of floor plans, documentations, and the interview with designers and facility managers. The second step was FGI(Focus Group Interviews), which were conducted with mixed employees of rank and location of workplace. Finally, a web-bas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319 executives and employees. Methods of analysis used were quantitative analysis of questionnaire, qualitative analysis of open ended free-answer, and FGI in the second step. Satisfaction, preference, and comfort level were studied using cross tab, co-relation, ANOVA for quant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bby and atrium are representative elements that are functioning positively and it is recognized as sustainable spaces being utilized by users. Second, there are several dead spaces like green shaft, roof garden and sunken space although they can contribute to Leed-certification. Third, there are some problematic spaces such as the O.A. room and the urinals even though they contribute to the Leed-certification.

국내 초고층 주거의 친환경적 실내 공간 계획 및 개선방안 연구 - 친환경 건축 인증 제도에 의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Space Planning of High-rise Residences in Korea - focuesd on the case analysis by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al certification -)

  • 김자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23-33
    • /
    • 2008
  • After the concept of apartments was introduced in 1960s in Korea, on account of the development of architectural technology and science, high-rise residences in Korea are getting higher, and these residences have been becoming high-rise commercial/residential buildings since 1990. Nowadays, as the construction of high-rise commercial residential building complex is boom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complex and high-rise apartments is getting smaller, and these two kind of high-rise residences are becoming new residential style in Korea. And these high-rise residences are considered the symbol of wealth owing to the marketing strategy emphasizing high quality, refined interior, a fair view, and the protection of privacy. However, high-rise residences bring about many problems related to health and psychology caused by the consumption of a large amount of energy, pollutant emission, th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indoor air, and vibration. For this reason, in this study, we tried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environment-friendly access to provide healthy living environment and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 of housing life in high-rise residences, and find the method to improve environment-friendly quality and health of residents in interior spa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tect the problems and the items to be improved of interior spaces of high-rise residences by quantitativ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evaluation elements and the floor planning elements deduced from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al certification in Korea and the other countries, and suggest the guideline to improve the environment-friendly quality of these interior spaces.

독일의 지속가능한 건축물 인증제도(DGNB)와 국내 녹색건축물인증제도 (G-SEED)의 평가항목 비교연구 - 업무시설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DGNB and G-SEED in terms of the assessment items - Focusing on case studies of office buildings)

  • 원경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354-6365
    • /
    • 2014
  • 본 논문은 국내 녹색건축물인증제도와 독일의 지속가능한 건축물 인증제도의 평가항목을 비교하여 국내인증제도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늘날 세계적으로 많은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나 상호 비교 가능한 평가항목은 제시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국제표준규격에서는 지속가능한 건축물에 대한 평가기준을 마련하였고 독일의 지속가능한 건축물 인증제도는 이러한 평가기준을 받아들인 최초의 인증기준이다. 녹색건축물인증제도를 독일의 지속가능한 인증제도와 비교한 결과 녹색건축물인증제도의 평가내용에는 환경측면(62.6%) 이외의 사회문화와 기능측면(25.4%), 경제측면(3.0%)의 평가항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으로 녹색건축물인증제도의 사회측면 및 경제측면의 평가항목개발에 중요한 방향을 제시한다.

공동주택 친환경건축물인증 사례를 통한 평가항목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valuation Items i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ase of Apartment Housing)

  • 김신은;이동훈;김선국
    • KIEAE Journal
    • /
    • 제10권2호
    • /
    • pp.31-38
    • /
    • 2010
  • The government has enforced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since 2002 to resolve environmental pollution from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offers additional financial incentive worth 3% of basic apartment unit construction cost for apartment housing projects that have passed preliminary certification and has been revitalized drastically since 2006. However, after the system was put in place, comparative analysis of each item in certification criteria has not been performed yet in reference to actual certification cases.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comparative analysis of such evaluation items by studying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ases involving apartment housing. Conclusions drawn herein are expected to provide a framework of continued advancement for the certification system subsequently.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평가 항목 보완에 관한 기초 연구 -오픈하우징 관련 항목을 중심으로- (The Basic Study on the Complementation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in Consideration of Open Housing -Focus on the Related Items of the Open Housing-)

  • 황은경;임석호;이상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41-151
    • /
    • 2003
  • Recently, the housing market in Korea has been changed from new construction to building-stocks, and focusing on supplier to focusing on users. Open housing is a design method not only content to users' various needs but also to the means of sustainable development by adapted to longevity of buildings. There are some indicators for Open Housing related to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which were worked by Mock & ME. But those indicators are limited to flexible design methods. This is a basic study for the selecting of Open Housing indicators for complementation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by the analysis of SI housing in Japan, domestic Green Building Labelling and those of other coun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