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친환경자재

Search Result 23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친환경농업 - 친환경제재를 이용한 벼멸구 방제효과

  • Baek, Chae-Hun;An, Jeong-Gu
    • 농업기술회보
    • /
    • v.49 no.5
    • /
    • pp.16-16
    • /
    • 2012
  • 벼멸구를 방제하기 위해 친환경농자재를 이용할 때 중요한 것은 방제시기와 방제횟수이다. 대부분의 친환경농자재는 벼멸구의 알을 죽이지 못하므로 벼멸구 발생초기에 10일 간격으로 2회 이상 처리해야 살아남은 알에서 새로 부화한 벼멸구까지 방제가 가능하다. 농가에서 주로 사용하는 친환경농자재의 벼멸구 방제효과에 대해 알아보자.

  • PDF

친환경농업 - 농업의 블루칩$\cdots$ -녹색농자재를 활용한 약용작물 유기재배

  • Lee, Su-Hwan
    • 농업기술회보
    • /
    • v.48 no.5
    • /
    • pp.18-18
    • /
    • 2011
  • 요즘 국내 농산물 산업에서의 화두는 안전성과 기능성이 결합된 친환경농산물 생산에 맞춰져 있다. 이와 함께 농업과학기술 분야에서는 내실 있는 친환경농업을 실천하기 위해 재배기술 및 화학농자재를 대체할 소재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PDF

The Listing Procedure for environmental friendly organic materials in Korea (한국의 친환경유기농자재 목록공시 제도)

  • Lee, Sang-Beom;Seung, J.O.;Kim, S.S.;Kim, B.S.;Lee, B.M.;Oh, Y.J.;Kang, C.K.;Choi, K.J.;Hong, M.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275-276
    • /
    • 2009
  • 민간단체들에 의하여 자율적으로 시작된 국내 유기농업은 친환경농업육성법(1997. 12.13)이 제정되면서 국가기관의 친환경농업 활성화 노력과 더불어 2008년 유기농재배 농가(8,460호)와 면적(12,033호)이 급격히 증가되었다. 또한 유기농업의 확산과 더불어 화학비료 및 유기합성 농약대체 친환경농자재들의 유통이 증가되고 있으나 관리규정이 없어 검증되지 않은 다양한 농자재들이 유통되어 친환경실천 농가들의 혼란이 초래되어 국정감사 시 문제점으로 지적과 함께 각계에서 관리제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령 개정(대통령령 제19964호, 2007.3.27.공포, 2007.3.28.시행)으로 농촌진흥청에 친환경농자재심의회가 설치되어 효과와 효능을 검증하지 아니하고 친환경농산물 중 유기농산물 생을 해 사용가능한 자재인지 여부를 검토하여 그 결과를 공개하는 목록공시제가 마련되었다. 친환경유기농자재 목록공시는 1년에 4회 매분기말에 농촌진흥청 농자재관리과에서 접수를 받아 친환경농자재 분야별 전문위원회 검토 후 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접수일로부터 90일 이내에 농촌진흥청장이 공시(농진청 홈페이지, 관보게재)하고 친환경농업 관련기관 및 검토 신청자에게 통보함으로서 마무리된다. 목록 공시된 친환경유기농자재의 유효기간은 2년이다. 친환경농자재심의위원회는 토양개량 및 작물생육분야 전문위원회 위원 11명, 병 해충 관리분야 전문위원회 위원 11명 및 심의위원회 의원 2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7년 3월부터 2009년 11월 30일 현재 목록 공시된 친환경유기농자재 제품은 (1) 양개량용 자재 25 개, (2) 작물생육용 자재 282개, (3) 토양개량 및 작물생육용 자재 308개, (4) 작물병해 관리용 자재 110개, (5) 작물충해 관리용 자재 : 224개, (6) 작물병해충 관리용 자재 5개 및 (7) 기타 자재 1개 제품으로 총 955개 제품에 이르고 있다. 한편, 공시연장 미신청, 현재 검토기준안에 필요로 하는 추가요청 자료 미제출 및 공시이외의 물질 사용으로 국내유통 중 단속되어 부적합한 판정을 받아 20여 제품이 목록공시가 취소되었다. 앞으로 목록 공시되는 친환경유기농자재는 제품의 주성분 함량 표기, 시용효과 검정방법 선, 제조방법 현장점검, 안전성 검정 등 여러가지 제도보완 및 사후관리 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려된다.

  • PDF

건강과 자연농업-제228호

  • Jeong, Jin-Yeong
    • THE HEALTH and ORGANIC FARMING
    • /
    • no.228
    • /
    • pp.1-12
    • /
    • 2006
  • 학교급식,"친환경유기농 식단"이 대안/어린애들의 성조숙증에 경악하며/우리의 산야초/규산질비료에 대하여/벼 멀칭재배의 이론과 기술/"아이에게 과자 주느니 담배를 권하라"/노화의 주범, 활성산소를 없애자/아이들건강과 먹을거리 패러다임의 전환/아태 유기농업현황/"유기식품촉진 제도정비 절실"/두가지 비료로 유기농작물의 고품질 다수확 생산을 체계적으로 보다 쉽게 하는 방법/친환경 농산물 대량 소비처 발굴/벼 육묘시 발생하는 병해들/장마철,작물의 탄저병 방제/봉화 소천 친환경농업인/"유기농.축산자재 검증.인증"심포지엄/국내외 친환경농축산물의 생산 및 인증 실태/해충의 습성을 이용한 퇴치/6월중 새식구 명단/제주농업,몽골 땅에 유기농생산기지 건설/'06년도 경북도지부 지회장단 연찬회 개최/소비자 유기농업 교육 및 현장체험 행사/유기 및 일반 농산물의 품질 비교에 환한 연구/한국유기농업학회,친환경 유통.소비확대 방안 심포지엄/친환경농업 교과서 수록해야/전남여성농업인'친환경 실천대회'/당도진단/농촌진흥청,'친환경농자재 공시제 추진'

  • PDF

Influence of Pre-treated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on Control Efficacy of Isaria javanica Isolate against Sweet 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친환경 농자재와 곤충병원성 곰팡이 Isaria javanica의 처리 간격이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 방제에 미치는 영향)

  • Lee, Byung-Ju;Han, Ji-Hee;Huang, Jeong-Hwa;Kim, Jeong-Jun;Lee, Sang-Yeob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25 no.3
    • /
    • pp.631-642
    • /
    • 2017
  • For effective control of insect pest which can outbreak in a field during crop cultivation, various control agents such as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EFAM) including microbial control agents and chemical pesticides have been applied at fields and these control agents may be treated simultaneous or sequential in the same field to suppress diverse pests and diseases. The agents may influence each other and control efficacy may also differ from interactions. Therefore we need to test compatibility of microbial control agents with other agricultural agen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influence of pre-treated EFAMs, which are registered for whitefly control in greenhouse, on germination, mycelial growth and control efficacy of Isaria javanica isolate against sweet potato whitefly. The results showed that a mixture of paraffin oil+cinnamon oil among 4 EFAMs highly reduced germination ($8.9{\pm}1.3%{\sim}24.5{\pm}0.9%$) and mycelial growth ($0.81{\pm}0.01cm{\sim}0cm$) of I. javanica.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treatment interval between EFAMs and I. javanica on sweet potato whitefly control, four different EFAMs were pre-treated 0, 1, 4, and 7 days before applying I. javanica. Pre-treatment of four EFAMs inhibited insecticidal activity of I. javanica against sweet potato whitefly. Therefore when EFAMs and a mycopesticide using I. javanica spray simultaneous or sequential, application of EFAMs need more than 7 days interval after treatment of mycopesticide at field.

친환경 농자재의 효율적 이용과 관리를 위한 제도개선 - '법규체계 미흡.일관성 부재' 혼란 야기 '관련 규정 분산'도 문제

  • 한국작물보호협회 홍보부
    • Life and Agrochemicals
    • /
    • s.246
    • /
    • pp.50-53
    • /
    • 2009
  • 사용되는 친환경농자재의 종류, 단위 면적당 사용량 등은 농가마다 다르기 때문에 비효율적인 사용가능성이 있다. 또 가격과 효과에 대한 명확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곳이 없어 불만족도가 높다. 친환경농자재의 사용 중 문제가 발생할 경우의 농업인의 대처는 소극적이며 현행 제도가 더욱 강화되어 농업인들에게 신뢰를 줄 수 있어야 한다.

  • PDF

A Survey on the Recognition of Korean Farmers for the Safety of Environment-friendly Organic Materials (친환경유기농자재 안전성 확보를 위한 농업인의 인식도 조사)

  • Paik, Min-Kyoung;Lee, Je-Bong;Oh, Jin-A;Kim, Min-Ju;Kim, Sang-Su;Choi, Chil-Gu;Kim, Do-Hoo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21 no.2
    • /
    • pp.233-246
    • /
    • 201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Korean farmers for the safety of environment-friendly organic materials (EFOMs). The main purchase line of environment-friendly organic materials was the sustainable agriculture organizations, and decisive basis for the materials purchase was because they thought that agricultural produce cultivated with EFOMs were safe. Currently farmers obtained the most information about EFOMs through farmer's education operated by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Sixty nine percent of respondents hoped that they would get the information on the website and through official education opened by of the government or relative institutions. Whereas, only a few respondents hoped that they would get the information from the sellers. Therefore we thought that government and related institutions should operate the education program to give the sellers the scientific and accurate information about EFOMs. In addition, farmers are highl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safety-related information provided by government and related institutions. Most Farmers thought that safety education for farmers using EFOMs was very important. Also, it was confirmed that farmer respondents thought to need to establish the shelf-life and user guideline and to label about toxic category of EFOMs.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 calculated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survey questions was 0.699. That value indicates that responses of the respondents in this study might be reliable.

Improvement of Evaluation for the 'Public Announcement for Environment-friendly Organic Materials List and Quality Standard' (친환경유기농자재 목록공시기준 및 품질규격 평가개선 연구)

  • Kim, Hyuck-Soo;Ryu, Jong-Hee;Lee, Sang-Min;Kim, Kye-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279-280
    • /
    • 2009
  • 우리나라는 1990년대 후반부터 유기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해 유기농산물 생산이 매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유기농업의 관심증대는 유기농업에 사용되는 자재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으며, 친환경농업육성법 제7조에 따른 별표1에 유기농산물 생산을 위해 사용이 허용된 자재 119종을 명시하였다. 또한 이를 원료로 한 친환경유기농자재에 대해 농촌진흥청에서 고시한 '친환경유기농자재 목록공시기준 및 품질규격'에 따라 제품을 평가하여 친환경유기농자재목록에 등재하게 되어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친환경유기농자재 등록을 위한 안전성 평가 항목을 유럽에서 적용하고 있는 유기 농자재 목록공시를 위하여 요구되는 FiBL(스위스 국제유기농업연구소)의 평가 항목과 미국 OMRI(미국 유기농자재 평가원)의 평가 항목을 비교하여 도입이 가능한 항목을 검토, 제안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는 친환경유기농자재 평가항목의 국 내외 기준 평가와 친환경유기농자재 평가의 국제 규격 부합도 평가, 두 가지로 구분되며, 친환경유기농자재 평가항목의 국 내외 기준 평가 결과 선진국의 평가 항목에 비해 평가항목들이 세분화되어 있지 않고 검토과정이 서면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전문가들의 평가에도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OMRI 및 FiBL의 평가항목 중 국내에 도입 가능한 항목을 수집하여 평가항목 개선방안(표 1)을 제시하였다. 국제 규격 부합도 평가 결과 친환경유기농자재 관련 법규 및 규정의 분산으로 인해 생산자 및 수요자가 자재 등록 및 사용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고, 미국 OMRI의 경우 자재를 자체적으로 분석하여 검토하는 절차에 반해 우리나라의 경우 전문기관과 전문 인력의 부족으로 평가결과에 대해 수요자의 신뢰도가 낮아지고 있다. 환경위해성 및 독성에 대한 안전성 강화를 위해 전문기관과의 협의 및 심의 체계 확립이 필요하며 올바른 관리를 위한 자재 종류별 최소한의 담당 전문가 배치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