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위생 교육

검색결과 884건 처리시간 0.03초

미국과 캐나다의 전공전 치위생 교육과정 분석 (An Analysis of Pre-dental Hygiene Curriculum of Dental Hygiene Programs in USA and in Canada)

  • 조영식;김영진;안금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1-4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미국과 캐나다의 치위생 교육기관의 전공전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전공전 교육과정은 일반교육,생의학,치의학,치위생학의 네 가지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공전교육과정은 일반교육과 생의학 영역을 포함한다. 일반교육 영역은 구두 및 문서 커뮤니케이션, 사회학, 심리학 등의 교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생의학 영역은 해부학, 생리학, 화학, 생화학, 면역학, 일반병리학, 영양학, 약리학을 포함한다. 전공전교육과정은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지역사회 프로그램의 참여에 필요한 수행능력을 제공하며, 치위생 서비스와 관련된 의사결정을 돕는다.

  • PDF

치과위생사 전문직업성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과정 구성요소 (Curriculum Components Affecting the Professionalism of Dental Hygienists)

  • 양승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55-462
    • /
    • 2011
  • 치과위생사 전문직업성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과정 구성 요소를 분석하고, 추후 교육과정 구성요소별로 치과위생사의 신념과 태도를 강화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의 구체적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데 의의를 둔다. 본 조사는 2009년 4월 10일부터 2009년 6월 12일까지 직 간접 방문 및 우편, E-mail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치위생(학)과 학생 934부, 치위생(학)과 교수 76부, 치과위생사 285부로 총 1,295부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과위생사 전문직업성 향상을 위해 치과위생사 양성 교육과정의 교육목표적 요소는 대인관계술과 자기계발을 위한 측면을 보다 적극적으로 교육과정 운영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2. 치과위생사 전문직업성과 치과위생사 양성 교육과정의 교육내용은 학습자가 치과위생사로서의 성취감과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강한 욕구가 형성되도록 학습자의 학습필요나 만족을 충족시킬 수 있는 내용으로 선정하고, 이와 함께 교과적 중요성과 사회적 타당성 준거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 3. 치과위생사 전문직업성 향상을 위해 현행 교육과정 속에서 계열성의 원리는 관계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각 교과의 특성과 채택하는 교수 방법을 학생의 학습경험 속에서 보장 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져야 할 요소이다. 4. 치과위생사 전문직업성과 치과위생사 양성 교육과정의 교육평가 요소에 있어 치과위생사 국가시험은 치과위생사의 여러 측면을 평가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져야 할 필요성을 보였으며, 국가시험과 함께 현행 치과위생사 양성 교육과정의 학교평가가 강화되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학교평가에서 평가의 내용과 평가의 방법적 측면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치위생과정에 근거를 둔 임상치위생학의 교육 실태 (Current Status of Clinical Dental Hygiene Education Based on 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

  • 한선영;김남희;유재하;김철신;정원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71-278
    • /
    • 2009
  • 이 연구는 치위생과정에 근거한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을 도입하기 위하여 현재 운영 중인 임상치위생학의 교육의 실태를 조사한 연구이다. 50개 대학의 (학)과장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면접조사 및 전자우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설문에 응답한 대학의 53.1%는 1999년 이전 (1977-1999년)에 개설되었고, 46.9%는 2000년 이후(2000-2006년)에 개설되었다 학제는 3년제 치위생과가 28개교(87.5%)이었고 4년제 치위생학과가 4개교(12.5%)이었다. 입학정원은 40명 이하(37.4%)가 가장 많았다. 2. 임상치위생학 실습에서 교수 한 명이 지도하는 학생의 수는 평균 22명이었고, 응답 대학의 62.5%가 포괄치위생과정에 관한 교육을 하고 있었다. 실습 시 평균적으로 한 명의 환자가 실습실을 내원하는 횟수는 특별히 정해놓지 않는다(32.3%)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1회 (29.0%), 3회(16.1%), 2회 (12.9%), 4회(9.7%) 순이었다. 3. 치위생과정의 다섯 단계에 관한 강의여부에서 사정과 수행단계는 대부분의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었으며, 치위생판단(68.8%), 계획수립 (65.6%), 평가(68.8%)는 비교적 낮았다. 4. 실제로 강의 시간에 치위생과정의 개념에 관한 교육이 있는지 조사한 결과, 56.7%의 대학에서 강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강의에서 사용하는 주 교재는 'Clinical practice of the dental hygienist (Wilkins) 또는 임상치위생학 (김숙향 역)'이 40.0%로 가장 많았다. 이를 종합해 볼 때, 치위생과정을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치위생판단올 위한 진단 모형, 계획수립의 절차, 평가 방법에 관한 교육을 보강해야 할 것이다.

  • PDF

한국과 미국의 치위생 교육이념의 비교 (Comparison of Ideas of Dental Hygiene Education Programs between Korea and America)

  • 김남희;장선옥;전현선;김영남;정원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93-199
    • /
    • 2006
  • 본 연구는 미국과 우리나라의 치위생 교육이념을 비교 분석하였다. 미국의 치위생 프로그램은 우리나라와 구별되는 이념적 특징으로서 치위생과정에 근거한 포괄적 치위생관리 능력, 표준적 수행능력,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 자율적 의사 결정 능력의 배양을 지향하고 있다. 또한 평생교육의 참여와 자기주도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기초능력의 배양,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기술을 증진하고자 하는 교육이념을 표방하고 있다.

  • PDF

학제별 치위생(학)과 만족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Satisfaction Level with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by Educational System)

  • 박일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5-90
    • /
    • 2011
  • 본 연구는 4년제와 3년제 치위생(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과 만족도의 분석을 통해 급격히 증설된 4년제에 대한 교육과정, 실습, 시설 등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위생(학)과 만족도 수준은 5점 만점 중 3.18로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2. 학제별 치위생(학)과 만족도는 4년제 수도권이 지방이나 3년제에 비해 낮았다. 3년제 학생이 4년제 학생보다 교육과정 만족도에서 높았으며(t=2.03, p<0.05), 4년제 학생은 3년제 대학 학생보다 교육시설 만족도 (t=-4.12, p<0.001)와 대인관계 만족도가 높았다(t=-3.07, p<0.01). 3. 3년제의 경우 교육시설 만족도에서 수도권 대학이 높았으나(t=5.28, p<0.001), 나머지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4. 4년제는 교육과정(t=-5.39, p<0.001)과 교육시설(t=-5.18, p<0.001) 및 치위생(학)과 만족도(t=-3.98, p<0.001)에서 지방 대학이 수도권 대학보다 높았다. 치위생(학)과 만족도에서 수도권 4년제의 경우 특히 교육과정에서 지방이나 3년제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만족도를 보인 바 4년제에 맞는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교육시설적인 측면에서의 보완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