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아발치

검색결과 311건 처리시간 0.027초

치근단 수출 시 형성된 골결손 부위를 가진 치아의 발치 후 즉시 식립 임플란트에서 골 접촉률에 대한 흡수성 차폐막의 효과 (Effect of resorbable membrane on immediate placement of implant in extraction socket during periradicular surgery)

  • 양승민;계승범;신승윤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8권4호
    • /
    • pp.603-610
    • /
    • 2008
  • Purpose: The guided bone regeneration (GBR) technique is widely used in periradicular surgery. However, there is still some controversy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GBR in promoting bone healing after periradicular surg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orbable membrane on the osteointegration of immediate implants in sites with periradicular lesion that had been removed by periradicular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Six roots of lower second premolars and 15 roots of lower third and fourth premolars of dogs were used as control and experimental teeth, respectively. Periradicular lesions were induced only in the experimental teeth. Twelve weeks later,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teeth were extracted and implants were placed immediately. Periradicular lesions were removed with osteotomy, curettage and saline irrigation. Resorbable membranes were used in experimental group 1 but not in experimental group 2. After 12 week of healing period, the implants were clinically not mobile and showed no signs of infection. Data obtained by histomorphometric analysis were analyzed by Kruskal-Wallis test. Results: The contro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bone to implant contact (BIC) ($74.14{\pm}16.18$) than experimental group 1 ($40.28{\pm}15.96$) and 2 ($48.70{\pm}17.75$)(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1 and 2. Conclusion: Although BIC in experimental groups were lower than in control group, immediate implant can be successfully placed at extraction socket with periradicular lesion and osseous defect. However, the use of resorbable membrane in bony defect created during periradicular surgery was questioned.

역행성 임플란트 근단병소 주위염(Retrograde Peri-implantitis) 치료의 7년 관찰 (Treatment of retrograde peri-implantitis: seven-year follow-up study)

  • 이주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3호
    • /
    • pp.259-264
    • /
    • 2014
  • 역행성 임플란트 근단병소 주위염은 임상증상을 동반한 근단부의 방사선 투과성 병소로 정의되며 임플란트 식립부위 또는 인접한 치아의 잔존하고 있는 감염에서 유래한 세균감염, 골 삭제시의 열 발생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야기될 수 있고, 다양한 치료방법으로 임플란트를 제거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는 증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근관 치료 실패로 발치한 상악 우측 제2소구치 부위에 식립한 임플란트에서 발생한 역행성 임플란트 근단병소 주위염을 표면의 detoxification과 차폐막과 골이식재를 동반한 골유도재생술로 해결하여 기능을 회복하였으며, 7년간 장기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증례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근심경사 매복된 하악 제2대구치의 직립 치료 (Orthodontic upright treatment for mesioangular impacted lower second molar)

  • 최백규;정동기;임성훈;강성남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1호
    • /
    • pp.25-33
    • /
    • 2017
  • 매복된 하악 제2대구치의 임상적 증상은 제3대구치의 매복 상황과 유사하나 발치가 주된 치료법인 제3대구치와 달리 저작기능의 회복, 대칭적인 안면 성장, 치열궁의 대칭성 유지, 안정된 교합관계 회복등을 위하여 가능한 직립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치료 방법이 다르다. 매복 하악 제2대구치의 직립 치료시 치질의 노출 정도, 직립에 방해되는 제3대구치의 존재여부, 제2대구치의 예후, 대합치의 정출여부 등에 따라 치료 전략이 달라야 하며, 이러한 전략에 따라 사용하는 장치와 고정원의 종류도 결정된다. 심미적 개선은 기대하기 어렵지만, 저작기능을 회복하고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악관절 장애등 여러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하악 제2대구치 직립은 기능회복과 질환의 예방이라는 관점에서 중요한 치료이다.

Microimplant Anchorage(MIA)를 이용한 II급 2류 성인 환자의 비발치 치험례 (Nonextraction treatment of Class II division 2 in an adult patient using microimplant anchorage (MIA))

  • 채종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85-494
    • /
    • 2005
  • 상악 측절치와 견치의 치근 사이에 식립한 microimplant를 이용하여 상악 전치의 합임과 설측으로의 치근 이동을 얻을 수가 있었으며, 상악 견치와 제1소구치의 치근 사이에 식립한 microimplant를 이용하여 과맹출된 상악 견치를 함입시켰다. 또한 상악 제1, 2대구치의 치근 사이에 식립한 microplant를 이용하여 상악 견치 및 구치의 후방 이동 및 상악 전치의 후방 견인을 시행하였다. Anterior bite plane과 intrusion arch, 그리고 II급 고무 등과 같은 전통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하악 전치의 합입 및 구치부의 정출을 얻을 수가 있었으며, 과개 교합 및 상악 전치의 설측 경사가 해소 되면서 하악골이 전방으로 약간 이동하였다. 이와 같이, MIA는 II급 2류 부정교합환자에 있어서 II급 견치 및 구치 관계 그리고 과개 교합을 동시에 해소 하는데 절대적인 고정원을 제공하였다.

Pendulum 장치를 이용한 상악 대구치의 원심이동 증례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WITH A PENDULUM APPLIANCE)

  • 이현정;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종철;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23-531
    • /
    • 2008
  • 상악골과 치조골 전돌을 가진 II급 부정교합 증례 중 상악 치아 발치의 적응증이 아닌 경우와 하악 구치의 전방 이동을 허용할 수 없는 경우 상악 대구치의 원심이동 기법을 사용하게 된다. Pendulum 장치는 환자의 협조도 없이 상악 대구치를 원심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장치로 소구치를 안정화시키며, 구개측 고정원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구치부 정출로 하안면 고경이 증가할 수 있고, 전치부 전방 이동이 동반되며, 추벽부 조직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장치의 사용과 환자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이에 pendulum 장치를 사용하여 상악 대구치를 원심 이동시킴으로써 공간 문제를 해결하고, 대구치 관계를 개선한 증례들을 보고하는 바이다.

  • PDF

Molar-Incisor Malformation 환자의 유치열 내 전반적인 치수석 관찰의 증례 보고 (Generalized Pulp Stones of Primary Dentition in a Patient with Molar-Incisor Malformation : A Case Report)

  • 이동연;신지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37-343
    • /
    • 2020
  • Molar-incisor malformation(MIM)은 최근 발견된 새로운 형태의 root anomaly로 제1대구치 및 제2유구치의 짧거나 미약한 치근 발달과 협착된 치수강, 그리고 cemento-enamel junction 높이에 석회화물질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 이 증례는 MIM 이환 환자에서 유치열 전반에 걸쳐 치수강 내를 거의 가득 채우고 있는 free pulp stone을 방사선학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발치된 환자의 하악 제1대구치와 상악 제2유구치를 대상으로 micro-computed tomography(micro-CT) 촬영 및 scanning electron microscope-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분석을 시행하였다. Micro-CT 영상을 통해, 하악 제1대구치의 치관 외부로 연결된 부근관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이것은 MIM 이환 치아에서 근관치료의 불량한 예후의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소아치과 개원의 진료 현황 분석 (THE PRACTICE PATTERN OF PEDIATRIC DENTISTS IN KOREA)

  • 최은정;정태련;한세현;김영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04-509
    • /
    • 2006
  • 소아치과는 소아와 청소년의 구강상태에 대하여 보존, 교정, 치주, 외과치료 등 다방면의 치료를 복합적으로 시행한다는 점에서 타분야와 구분된다. 초창기의 소아치과학은 유치와 영구치의 우식의 치료, 발치 등에 국한되었으나, 최근에는 교정, 소 수술, 심미, 예방치료 등으로 진료의 범주가 확대되고 있다 2005년 11월 현재 소아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개인치과에서 근무하는 치과의사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발송하고 회송된 설문지 21매를 토대로 진료현황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일주일 간 평균적으로 진료하는 환자의 수는 82.4명이었고, 각 환자당 평균적으로 치료받는 치아의 수는 2.35개였다. 2, 전체 치료 중 예방치료가 15.7%, 수복치료가 55.7%, 치수치료가 15.6%, 외과치료가 10.5%, 교정치료가 2.4%를 차지하였다. 3. 수복치료 중 아말감이 3.8%, 글래스 아이오노머가 5.5%, 복합레진이 63.0%, 스테인레스 기성금관이 277%를 차지하였다.

  • PDF

자가치아 뼈 이식재의 발치와내 이식 후 골 치유 양상에 관한 연구 (Study of bone healing pattern in extraction socket after application of demineralized dentin matrix material)

  • 정재호;이재훈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7권5호
    • /
    • pp.365-374
    • /
    • 2011
  • Introduction: Research on dental bone graft material has been actively conducted. Recently, demineralized dentin matrix material has been developed and introduce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demineralized dentin matrix material on bone healing. Subjects and Methods: The patients who received no treatment after extraction were used as the control group and patients who underwent demineralized dentin matrix material application in the extraction socket after extraction were used as the experimental group. Panorama radiography was performed at the baseline and at 3.5 months after graft material placement and CT was taken at 3.5 months after graft material placement for a radiologic evaluation. Bony tissue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the alveolar crest in the middle of the extraction socket using a 2 mm trephine bur after 3.5 months for the histology and hostomorphometric study. Results: 1. On the panoramic view, a higher bone density was observed in the subject group. 2. On the panoramic view, the bone density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traction socket, from the baseline to 3.5 months: a 7 and 10 gray-level scale was observed i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respectively (P<0.05). 3. The CT view evaluation at 3.5 months revealed significantly higher bone density in the subject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P<0.05). 4. The histological findings showed more active new bone and lamellar bone formation in the subject group. Dentin with osteoinduction ability and enamel with osteoconduction ability appeared. 5. On histomorphometric analysis, the subject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new bone, lamellar bone area and lower soft tissue area (P<0.05).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as significant (P<0.05). Conclusion: Bone healing was improved after the application of demineralized dentin matrix material and there was active new bone and lamellar bone formation.

자가 이식을 이용한 매복 견치의 치험례: 증례보고 (AUTOTANSPLANTATION OF IMPACTED MAXILLARY CANINES: CASE REPORTS)

  • 고윤식;김지연;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35-440
    • /
    • 2011
  • 상악 견치의 매복은 소아치과 의사가 흔히 접할 수 있는 맹출장애이며, 이를 방치하였을 경우 인접치의 치근 흡수, 낭종 형성 등의 임상적인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치료는 간단한 유치 발치에서부터 매복치아의 교정적 견인, 외과적 자가이식 등 다양한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이 중 자가 이식은 매복치아가 교정적 견인술을 시행하기 어려운 위치에 존재하거나 재위치 시키는데 실패했을 경우에 매복치아의 발거에 앞서 고려할 수 있으며, 그 예후는 치근의 완성도, 환자연령, 외과적 술식, 근관치료 시기, 치아고정 기간 등에 의해 결정된다. 본 두 증례들은 혼합치열기 말기에 상악 견치가 매복된 환자에서 그 매복 위치가 자발적인 맹출 유도나 교정적 견인 및 배열이 어렵다고 판단된 경우이며, 자가 이식 후 근관치료와 교정 치료를 시행하고 현재까지 성공적으로 유지되고 있어 보고하는 바이다.

서로 다른 근관세척제에서 전자 근관장 측정기의 정확도 평가 (Accuracy of Electronic Apex Locator in Using Different Root Canal Irrigant)

  • 장훈상;박세희;조경모;김진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2호
    • /
    • pp.139-14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근관세척제로 2.5% Sodium Hypochlorite, 2% chlorhexidine gel, 식염수를 사용하였을 때, Root ZX와 Sybron Mini의 근관장 측정의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20개의 발치된 사람 치아에서 Donnelly의 gelatin technique으로 측정하였다. Digital caliper를 이용해 0.01 mm 단위까지 각 전자 근관장 측정기의 0.5와 0.0 level에서 전자 근관장을 측정하였다. 각 측정은 세척제 종류에 따라 세 번식 반복해서 측정하였다. 세 가지 세척제에서 Sybron Mini와 Root ZX의 정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제조사의 지시 (Sybron Mini의 0.0 level과 Root ZX의 0.5 level)에서 전자 근관장 측정)에 따라 사용되었을 때 세척제에 따른 전자 근관장 측정기의 정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Root ZX와 Sybron Mini의 사용 시 제조사의 지시대로 사용한다면, 근관세척제으로서 2.5% Sodium Hypochlorite, 2% chlorhexidine gel, 식염수의 사용은 근관장 측정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