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면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26초

징악기의 RIM 깊이에 따른 음향 증폭 및 음향 지속 시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und Amplitude and Decaying Time of the Jing Depending on the Depth of Rim)

  • 손정호;배명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424-433
    • /
    • 2004
  • 징은 한국의 전통국악기 가운데 대중들에게 가장 친근한 사물놀이 악기중의 하나이다. 이 사물 악기 가운데 징 악기의 소리는 웅장하고 부드러우며 아름다운 긴 여운의 소리를 갖고 있어서, 사물놀이 연주 시 다른 사물악기들의 연주음을 감싸주는 역할을 한다. 징의 재질은 동과 주석을 78:22의 비율로 합금한 유기(놋쇠) 제품으로 만들 때는 방짜유기로 만든다. 구조는 직경 $39{\~}40cm$인 둥근 원판과 깊이가 $7.0{\~}7.5cm$로 된 림(Rim:전두리)으로 되어 있다. 징 악기를 연주 할 때 원판의 가운데를 치면 이를 지지하고 있는 RIM이 함께 공명을 일으켜서 만곡면의 원판 소리보다 낮은 주파수의 소리를 낸다. 그래서 징은 RIM의 두께와 깊이에 따라서 새로운 공명 주파수를 만들고 음의 지속시간도 변화 시키고 있다. 즉 본 실험 연구 결과, 온전한 Rim의 징소리의 주요 주파수 범위는 $118{\~}336[Hz]$로서 약 20초간 지속되며, Rim을 반으로 짜른후의 징소리의 주파수는$139.9{\~}387.5[Hz]$로 높아지고, 울림이 10초간 지속되며, Rim을 완전히 제거된 징소리의 주파수는 $990.5{\~}1,372[Hz]$로 점 점 높아지며 소리의 지속 시간은 5초로 줄어들었다. 본 논문에서는 만곡 면으로 된 원판을 지지하고 있는 징의 Rim 두께와 깊이의 따라 징소리의의 세기를 나타내는 진폭과 징소리 긴 여운의 지속 시간이 변동되는 관계를 알 수 있었다.

수종의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의 물성 및 lithium disilicate ceramic과 상아질에 대한 전단결합강도 비교 (PHYSICAL PROPERTIES OF DIFFERENT SELF-ADHESIVE RESIN CEMENTS AND THEIR SHEAR BOND STRENGTH ON LITHIUM DISILICATE CERAMIC AND DENTIN)

  • 신혜진;송창규;박세희;김진우;조경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3호
    • /
    • pp.184-191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면 처리와 수복물 내면의 처리가 필요 없는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의 물성 및 lithium disilicate ceramic과 상아질에 대한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기존의 레진 시멘트와 비교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실험군인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로는 Rely-X Unicem, Embrace Wetbond, Maxcem, BisCem을, 대조군으로는 기존의 레진 시멘트인 Rely-X ARC, 수복용 복합레진인 Z-350을 사용하였다. 각 레진 시멘트의 물성 평가를 위하여 테플론 주형을 이용하여 시편을 제작하고 만능 시험기를 이용하여 압축강도, 간접인장강도, 굴곡강도를 측정하였다. IPS Empress 2 및 상아질 시편에 제조사의 지시대로 Rely-X ARE군과 Z-350군에만 전처리를 시행 후 각 시멘트를 접착하고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인 Biscem이 가장 낮은 물리적 성질을 나타내었다 (P<0.05). 2.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의 상아질 및 도재에 대한 전단결합강도는 기존의 레진 시멘트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P<0.0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는 기존의 레진 시멘트에 비해 물리적 성질 및 상아질과 lithium disilicate ceramic에 대한 전단결합강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어린이에서 구강내 아말감 제거 후 요중 수은농도 변화 (Changes in Urinary Mercury Levels after Removal of Amalgam Fillings)

  • 진혜정;사공준;송근배;전은숙;김기림;최연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0-195
    • /
    • 2015
  • 이 연구는 초등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어린이에서 아말감 제거시 노출되는 수은에 따라 인체내 요중 수은 농도에 미치는 영향과 성별에 따라 요중 수은 농도의 관련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평균 요중 수은 농도는 초기 검진 시 $2.77{\mu}g$ Hg/g creatinine, 제거 직후 $2.75{\mu}g$ Hg/g creatinine, 제거 후 24시간 $2.95{\mu}g$ Hg/g creatinine, 제거 후 48시간 $4.00{\mu}g$ Hg/g creatinine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성별에 따라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에서 요중 수은 농도가 초기 검진시 1.23배(0.65~2.33배), 아말감 제거 직후 2.80배(0.93~8.65배), 아말감 제거 후 24시간 1.97배(0.90~4.32배), 아말감 제거 후 48시간 1.99배(0.93~4.28배)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아말감 치면 수와 생선 섭취를 보정한 후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에서 요중 수은 농도가 초기 검진시 1.26배(0.58~2.70배), 아말감 제거 직후 2.88배(0.86~9.68배), 아말감 제거 후 24시간 1.97배(0.87~4.47배), 아말감 제거 후 48시간 2.31배(0.87~6.11배)였다. 이 연구에서 남학생에서 초기 검진시에 비해 아말감 제거 후 평균 요중 수은 농도가 감소하였으나 시간 의존적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지 않았으며, 선형회귀분석에서는 성별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므로 향후 대상자 수를 늘려 통계적인 검정력을 높일 필요가 있겠다. 이 연구에서 아말감 내 수은 증기 노출은 인체건강에 잠재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아말감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주의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유치의 레진침투법을 위한 레이저 형광법의 진단적 활용 (Diagnostic Utilization of Laser Fluorescence for Resin Infiltration in Primary Teeth)

  • 박소영;정태성;김지연;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65-273
    • /
    • 2019
  • 이 연구는 레진침투법(resin infiltration, RI)을 적용하기 적합한 초기 유아기 우식증 병소를 동정하는데 있어 레이저 형광법(laser fluorescence, LF)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인접면 우식을 가진 20개의 자연 탈락 유구치를 이용, 중심와를 지나도록 협설로 절단하여 근원심 치면을 별개의 시편으로 간주하였다. ICDAS code 1과 2에 해당하는 시편 27개를 선별하였고 LF값을 측정하였다. 현미경 평가를 위해 RI 시행 시 이중 염색을 병행하였고, 절편을 제작하였다. 현미경 영상으로부터 병소깊이(최대 탈회깊이, $LD_{max}$), 최대 침투깊이($PD_{max}$), 평균 레진 침투율(Penetration rate, PR)을 측정하고,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LF값은 PR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LD_{max}$$PD_{max}$와는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얕은 법랑질 우식군을 제외하고, 깊은 법랑질 우식군과 상아질 우식군에서는 LF값과 PR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활동성 우식은 RI를 적용할 경우 침투율이 높고, LF 값이 보다 높게 측정될 수 있다. 진행 정도가 유사한 우식병소의 활성도를 평가하고자 할 경우, 레이저 형광법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저작기능장애의 구강근기능훈련이 구강위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ral Myofunctional Exercise on the Oral Health in Masticatory Dysfunction)

  • 오나래;윤성욱;정미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455-463
    • /
    • 2019
  • 본 연구는 최종대상자는 56명을 대상으로 실험군 29명, 대조군26명을 배정한 후, 실험군에게 구강안면프로그램을 교육하여 저작기능을 향상 시킴으로써 집단 간 구강위생 및 실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프로그램 효과분석은 프로그램 전-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실험군의 평균 사후 $9.57{\pm}1.44$점 이었고, 대조군은 사후 평균은 $8.68{\pm}1.46$점으로 실험군의 OHBI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p<0.05)으로 나타났다. 실험군의 QHI 점수는 평균 사후 $1.00{\pm}.14$점 이었고, 대조군은 사후 평균은 $1.03{\pm}.23$점으로 실험군의 QHI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실험군의 프로그램 만족도는 평균점수는 $4.13{\pm}.17$점 이었고 대조군은 $3.94{\pm}.22$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구강안면프로그램을 이용한 구강보건교육의 효과는 집단 간 치면세균막 지수, 구강건강행동지수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안면운동프로그램을 저작기능의 향상과 구강위생을 위한 도구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유치의 치아우식증 확인을 위한 정량형광분석(QLF) 검사법의 우식탐지능력 평가 (Assessment of the Caries Detection Ability of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 in Primary Teeth in vitro)

  • 조경현;강정민;정회인;이태양;송제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65-7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의 치아우식증 검사를 위한 정량형광분석(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 기술의 유효성을 평가하고, 우식병소의 부피와 QLF 분석결과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치아우식증 검사를 위해 53개의 교합면 및 72개의 인접면을 포함한 총 125개의 유구치 치면을 휴대용 QLF 장비를 이용해 조사하여 유구치의 치아우식증을 확인하였다. 또한 치아우식증을 분류하고 우식병소의 부피를 계산하기 위해 micro-CT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였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던 인접면 우식에 대한 𝚫R average 결과를 제외하면, QLF 분석결과는 유치의 치아우식증 진단에 대해 충분한 수준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보였다(민감도 0.75 - 0.94, 특이도 0.82 - 0.95, AUROC 0.88 - 0.98). Spearman 상관분석 결과에서는 𝚫F average 및 QS-Index와 우식병소 부피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상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 = 0.805 - 0.832, p < 0.001). QLF 기술을 이용한 치아우식증 검사는 어린이의 치아우식증 진단에 있어 방사선 노출에 대한 걱정 없이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고, 신뢰할 만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지혈제의 종류에 따른 레진 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 결합력의 차이 (Difference in Bonding Strength of RMGIC according to Type of Hemostatic Agent in Primary Tooth)

  • 백설아;이준행;김종빈;한미란;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60-466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유치의 상아질면에서 염화알루미늄 지혈제와 황화철 지혈제의 적용이 레진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RMGIC)의 결합에 미치는 영향을 전단결합강도를 통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20개의 우식이 없는 유구치가 이용되었으며 상아질이 노출되도록 시편을 제작하여 지혈제의 종류에 따라 3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I군은 치면에 25% polyacrylic acid(PAA)를 10초간 사용한 군, II군은 21.3% 염화알루미늄 지혈제를 1분간 사용한 뒤 PAA를 10초간 적용한 군, III군은 20% 황화철 지혈제를 1분간 사용한 뒤 PAA를 10초간 적용한 군으로 설정하였다. 각 군당 10개의 시편에 RMGIC를 중합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결합강도는 I군이 10.07 ± 1.83 MPa, 2군에서 7.62 ± 0.78 MPa, 3군에서 5.23 ± 0.78 MPa였다. 모든 군의 결합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 염화알루미늄 지혈제, 황화철 지혈제 모두 상아질에서 RMGIC의 전단결합강도를 감소시키며 황화철 지혈제가 염화알루미늄 지혈제보다 RMGIC의 전단 결합강도를 더 많이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회화나무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Sophora japonica L.)

  • 박민정;김혜수;김한비;이상균;조수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792-80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유래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로써 회화나무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회화나무 꽃(괴화), 열매(괴각), 가지(괴지)를 에탄올에 추출한 다음 회화나무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괴각, 괴지에 비해 괴화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ABTS 라디칼 소거능과 DPPH 라디칼 소거능, ORAC 지수는 괴지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회화나무 추출물 중 괴지 추출물이 P. gingivalis에 대해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MIC는 0.2 mg/ml이였다. 또한, 괴지 추출물은 0.4 mg/ml 이하의 농도에서는 P. gingivalis에 대해 정균작용을 나타내었고, 0.6 m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살균작용을 나타내었다. 괴지 추출물(0.2-2.0 mg/ml)이 처리된 배양액에서 P. gingivalis KCTC5352의 바이오필름 형성과 세균 생육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섬모 관련 유전자인 fimA와 mfa1의 mRNA 발현도 괴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회화나무 추출물 중 괴지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높고, P. gingivalis에 대해 낮은 농도에서는 정균작용을 하고, 높은 농도에서는 살균작용을 하는 항균 소재일 뿐만 아니라 P. gingivalis의 섬모 유전자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초기 치면세균막 형성을 억제할 수도 있기 때문에 기능성 식의약품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Er:YAG 레이저를 이용한 법랑질 및 상아질 와동 형성시의 치수내 온도변화 (Intrapulpal Temperature Change during Cavity Preparation on the Enamel and Dentin with an Er:YAG Laser)

  • 양희영;김미은;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4호
    • /
    • pp.457-464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법랑질과 상아질에서 와동을 형성하는 동안 치수벽에서 발생하는 온도변화를 관찰하여 치수 손상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고 조사반복율의 차이에 따른 영향도 함께 조사하고자 하였다. 발거된 건전 대구치에 access cavity를 형성하고 레진 block에 식립한 다음, 온도측정센서를 레이저가 조사될 치수벽에 위치시켰다. 레이저를 조사하는 동안 분사되는 물이 온도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레진을 이용하여 occlusal cap을 만들고 가운데 작은 구멍을 내어 온도측정센서가 들어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치아의 내부는 생리식염수로 채웠다. 치아표본은 법랑질실험군과 상아질 실험군으로 나누고 각 군당 치아표본수는 5개로 하였다. 상아질군에서는 모든 표본의 상아질 두께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고속핸드피스를 이용하여 상아질 두께가 2 mm가 되도록 삭제하여 사용하였다. $3\;mm{\times}2\;mm$의 일정한 면적을 치면에 표시한 다음 와동을 형성하였는데, 법랑질군에서는 상아질 이 노출되는 순간까지, 상아질군에서는 상아질벽이 천공되는 순간까지 온도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사방식은 접촉식(contact mode)으로 하였으며 레이저가 한번 조사되는 시간을 3초 이하로 유지하면서 와동을 형성하였다. 300 mJ의 펄스 에너지, 10, 15, 20 Hz의 조사반복율, 1.6 ml/min의 물분사량이 가해지는 조건에서 레이저 조사측의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Er:YAG 레이저 조사시 적절한 양의 물분사가 이루어질 때, 즉 1.6 ml/min의 물분사량과 300 mJ의 펄스에너지의 조건에서 법랑질에서 와동형성시 10, 15, 20 Hz 의 조사반복율 모두에서 온도상승이 미미하여 치수손상을 야기할 만한 온도상승이 이루어 지지 않았고 세 군 간의 유의한 차이도 존재하지 않았다(p=0.358). 상아질에서의 와동형성시에는 조사반복율이 증가할수록 온도상승이 컸지만(p=0.001), 실제 온도상승은 여전히 치수손상을 야기 하지 않는 안전한 범위에 있었다. 결론적으로 적절한 양의 물이 레이저 조사면에 적절하게 분사되기만 하면 법랑질이나 상아질에 서의 와동형성은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Enamel Microabrasion을 시행한 법랑질과 복합레진의 전단결합강도 (SHEAR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TO ENAMEL FOLLOWING ENAMEL MICROABRASION)

  • 홍기상;이상대;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5-53
    • /
    • 2000
  • Enamel microabrasion은 염산과 연마제를 사용하여 치아의 착색을 제거하는 술식으로서, 그 효과는 법랑질 표층에 국한된다. Enamel microabrasion으로 모든 착색이 치료 가능한 것은 아니므로, 착색이 깊을 경우에는 microabrasion 후에도 제거되지 않고 남은 착색부위를 광중합 복합레진을 사용해 수복할 것이 권장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enamel microabrasion의 방법과 시간이 법랑질에 대한 복합레진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은 대조군을 1군으로 하였고, 18% 염산과 fine pumice의 혼합물을 hand applicator로 치면에 5초씩 5, 10회 적용시킨 것을 각각 2, 3군으로 하였다. 10% 염산과 연마제의 혼합물인 기성품 PREMA를 10 : 1 gear reduction handpiece로 20초씩 5, 10회 적용시킨 것을 각각 4, 5군으로 하였다 여기에 37% 인산으로 부식 후 복합레진을 결합시켜 thermocycling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2군이 가장 높은 결합강도$(24.36{\pm}3.34MPa)$를 나타내었고, 3군이 가장 낮은 결합강도$(19.35{\pm}3.43MPa)$를 보였다. 전단결합강도는 2>4>5>1>3군의 순서로 감소하였다. 2. 2군은 1군과 3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은 결합강도를 나타내었다(p<0.05). 3. 염산과 pumice로 enamel microabrasion을 시행한 2, 3군과 PREMA를 사용한 4, 5군 사이에는 유의한 결합강도의 차이가 없었다(p>0.05). 4. 파절면 검사에서, adhesive failure는 3, 4군에서 나타났고, cohesive failure는 1, 2, 3, 4군에서 관찰되었다. 5군에서는 mixed failure만이 관찰되었다. 5. SEM 관찰에서, 염산과 pumice로 enamel microabrasion을 시행한 2, 3군에서는 인산으로 부식한 것과 비슷한 표면 양상이 관찰되었고, PREMA로 처리한 4, 5군에서는 1군과 흡사한 매끈한 표면양상이 관찰되었다. 각 군의 시편을 인산으로 부식시킨 다음에는 전형적인 산부식 후의 표면양상이 관찰되었고, 군간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