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매환자

검색결과 432건 처리시간 0.026초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적용된 인지기반 중재연구의 분석적 고찰 (Cognitive-based Intervention for the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 Literature Review)

  • 임세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27-336
    • /
    • 2021
  • 국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약 10%는 매년 알츠하이머병이나 다른 치매로 이환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한 중재는 다양하게 수행되었으나, 이에 대한 근거의 통합은 시도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체계적인 문헌 고찰을 통해 경도인지장애 환자를 위한 인지 기반 중재와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문헌의 검색은 2010년부터 2020년 9월까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KoreaMed를 활용하였다. 문헌의 선택 및 배제 과정을 거쳐 최종 12편이 선정되었으며,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연구가 7편으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인지기반 중재는 인지기능과 우울, 신체 건강 상태, 자아존중감, 운동 시·지각 검사, 생활 만족도, 자기효능감, 뇌파, 삶의 질, 의사소통과 상호작용기술평가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치매 환자의 공격성 관리에 활용가능한 억간산(抑肝散)의 고전적, 비임상적, 임상적 근거현황 (Classical, Non-Clinical, and Clinical Evidence of Yokukansan for Alleviating Aggression: Scoping Review)

  • 이동윤;김제범;하다정;권찬영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1-127
    • /
    • 2021
  • Objectives: To review and analyze clinical and preclinical evidence of effectiveness, safety, and underlying mechanisms of yokukansan (YKS), a herbal medicine, in alleviating aggression. Methods: Classical records on YKS were searched in the Korean Traditional Medicine Knowledge Database (KTMKD). By searching five electronic databases, prospective clinical studies and preclinical studies of YKS for alleviating aggression/agitation published up to March 30, 2021 were included. Results: Only two classical records on YKS were found from the KTMKD. A total of 11 clinical studies and 15 preclinical studies were found from the five electronic databases. Among 11 clinical studies, seven enrolled patients with dementia and four enrolled patients with other neuropsychiatric disorders. Most clinical studies report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one or more outcomes related to aggression in the YKS group after treatment. Among 15 preclinical studies, all studies except two repor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ggression/agitation-related behavior of YKS or yokukansankachimpihange. Suggested underlying mechanisms of YKS or yokukansankachimpihange for aggression/agitation in these studies included regulation of serotonin receptor, amelioration of abnormal glucocorticoid level related to the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regulation of orexin secretion, amelioration of degeneration in brain cells including glia cells, and suppression of excessive glutamatergic or dopaminergic activity. Conclusions: There were some clinical and preclinical evidence supporting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YKS for alleviating aggression. Given that aggression is the most frequent and destructive symptoms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applicability of YKS as a herbal medicine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in future high-quality research.

보행장애와 치매를 주소로 하는 외상 후 수두증 환자의 한의 복합치료 1례 (A Case Repor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a Post-traumatic Hydrocephalus Patient Complaining of Gait Disturbance and Dementia)

  • 정솔;진효원;황지현;박정림;전혜수;문병순;윤종민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77-85
    • /
    • 2023
  • Objective: This clinical study describes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on a post-traumatic hydrocephalus patient complaining of gait disturbance and dementia. Case presentation: A post-traumatic hydrocephalus patient complaining of gait disturbance and dementia was treated with herbal medicine, acupuncture, moxibustion, and cupping. Clinical symptoms were measured with the Korean Mini Mental Status Exam (K-MMS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and Modified Barthel Index (MBI). After treatment, the patient showed improved K-MMSE, FIM, and MBI scores. Conclusion: This clinical case study provides evidence of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on a post-traumatic hydrocephalus patient complaining of gait disturbance and dementia.

뇌내출혈 이후 발생한 혈관성 치매 환자에 대한 귀비탕가미방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a Patient with Vascular Dementia Caused by Intracerebral Hemorrhage Treated with Modified Guibi-tang)

  • 윤혜수;이은창;손정민;권선우;박충현;권이재;이효정;이정은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1033-1040
    • /
    • 2023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effect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a patient with vascular dementia caused by an intracerebral hemorrhage. Method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herbal medicine (modified Guibi-tang) and acupuncture. The effects of these treatments were evaluated using the Korean 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 (K-MMSE-2), Cognitive Dementia Rating (CDR), Manual Muscle Test (MMT),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and Videofluoroscopic Swallow Study (VFSS). Results: After treatment, the K-MMSE-2 score, CDR score, MMT, K-MBI, and VFSS improved.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raditional Korean medicine may be effective for the symptoms of vascular dementia caused by intracerebral hemorrhage.

우울, 불안, 치매 환자에 대한 매선 치료: 체계적 문헌 고찰 (Thread-Embedding TThread-Embedding Therapy for Depression, Anxiety, and Dementia: A Systematic Reviewherapy for Depression, Anxiety, and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 조준희;박소현;김보경;임정화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7-68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review thread-embedding treatment studies for depression, anxiety, and dementia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thread-embedding treatment. Methods: T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earch databases were used for study selection, including CNKI, PubMed, CENTRAL, EMBASE, CINAHL, AMED, PsycArticles, RISS, OASIS, and KCI. We included studies that presented diagnostic or appropriate criteria for depression, anxiety, and dementia, and randomized control studies using thread-embedding therapy. We searched papers published until October 10, 2023. Results: Twenty-one studies were selected, of which 11 studies were conducted on depression, nine on dementia, and one on anxiety disorders. The most commonly used acupoint for depression was Gansu (BL18), whereas zusanli (ST36) and fenglong (ST40) were used for dementia. The most commonly used type of thread was 1-0 United States pharmacopeia (USP) and 1 cm for depression and 2-0 USP and 1 cm for dementia. The treatment period for most of the studies was once every 2 weeks and for 8 weeks. Among the included studies, 17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depression scales, such as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and Self rating depression scale,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s, and cognitive function scales, such as Hasegawa dementia scale and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Six studies reported adverse events, and no studies reported significant adverse events. Two studies reported follow-ups. Conclusions: This study presents limited evidence for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thread-embedding therapy for depression, anxiety, and dementia. Well-designed studies are needed to review the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thread-embedding therapy in the future.

일부 공공보건기관 방문보건요원의 교육요구도 조사 (Education Need of the Visit ing Health Service Workers in Gwangju and Jeollanam-do Public Health Facilities)

  • 김영락;김신월;정은경;최진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7권1호
    • /
    • pp.51-64
    • /
    • 2002
  • 전라남도의 무작위 추출된 10개 시 군과 광주광역시 5개 구의 방문보건사업 담당직원 200명 중 우편설문조사에 응답한 14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방문보건 사업과 관련된 교육훈련경험 여부와 만족도, 응답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한 방문보건서비스 관리 지식 정도 그리고 향후 방문보건사업에 필요한 교육훈련에 대한 요구도에 대해 조사하여 향후 방문보건요원의 교육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 중 3년 동안 한가지 이상의 중앙교육 훈련 경험자는 43명(29.9%), 광역자치단체의 교육훈련 경험자는 57명(39.6%),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교육훈련 경험자는 53명(36.8%) 등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점수화 한 결과 중앙 교육($2.38{\pm}0.57$)이 광역자치단체 교육($2.18{\pm}0.57$)과 기초자치단체 교육($2.13{\pm}0.54$)보다 높았다. 2. 조사대상자의 방문보건서비스 관리 지식 정도는 환자 및 질병관리 영역 중 투약 및 검사, 상처 및 욕창 관리, 환자 개인위생, 고혈압환자 관리, 당뇨환자 관리, 관절염환자 관리 그리고 전염성질환자 관리, 고위험 가족 및 가정환경 관리 영역 중 환경위생 관리, 안전 및 사고 관리 그리고 감염관리, 건강증진관리 영역이 5점 만점에 평균 3점 이상이었으며, 재활 및 요양 영역은 전반적으로 평균 3점 이하의 점수를 보였다. 3. 조사대상자의 방문보건서비스 관리 지식 정도는 간호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 높았으며, 중앙 교육 중 노인보건, 재활 등 실무영역과 정신보건전문간호사, 광역자치단체 교육 중 보건진료원보수교육, 정신 보건교육, 그리고 기초자치단체 교육의 건강증진영역, 노인보건, 재활 등 실무영역, 정신보건영역과 급성질환 관리영역에 대한 교육훈련 경험이 있는 경우 높았다. 4. 조사대상자의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도는 노인건강 관리과정이 가장 높았고, 최근 업무가 새롭게 추진되고 있는 노인보건, 호스피스, 치매노인관리, 재활, 건강증진 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방문보건사업 업무별로는 방문보건사업전반이 가장 높았고 방문보건사업에서 실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야가 교육의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방법으로는 공무원 집단교육(47.0%)을, 교육전담 주체는 광역자치단체 (30.4%)를, 교육방식은 실습(57.7%)을, 교육횟수는 년 2-3회(44.5%)를, 교육기간은 3-5일(41.0%)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지역사회 주민에게 효과적인 방문보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방문보건사업에 대한 지식 정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훈련의 기회를 확대하고 방문보건요원의 교육요구도에 근거하여 교육훈련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 PDF

뇌 MRI와 인지기능평가를 이용한 아밀로이드 베타 양성 예측 연구 (Prediction of Amyloid β-Positivity with both MRI Parameters and Cognitive Function Using Machine Learning)

  • 박혜진;이지영;양진주;김희진;김영서;김지영;최윤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638-652
    • /
    • 2023
  • 목적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에서 아밀로이드베타 양성을 예측할 수 있는 MRI 특징을 알아보고 머신러닝으로 아밀로이드베타 양성 예측 모형의 성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후향적 및 단면조사연구로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 치매 총 13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모두 뇌 MRI와 아밀로이드 PET-CT를 시행하였다. 대상자는 아밀로이드 베타 양성군(n = 84)과 아밀로이드 베타 음성군(n = 55)으로 분류하였다. 시각적 분석으로는 뇌백질 고신호 병변의 Fazekas 척도와 뇌미세출혈 개수를 시행하였다. 정량분석으로 뇌백질 고신호 병변의 부피와 국소뇌부피를 측정하였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머신러닝 기법으로 아밀로이드베타 양성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MRI 특징을 확인하였다. 결과 시각적분석에서 아밀로이드베타 양성군은 뇌백질 고신호 병변의 Fazekas 척도(p = 0.02)와 뇌미세출혈 개수(p = 0.04)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해마, 내후각피질, 설전부의 국소뇌부피들은 아밀로이드베타 양성군에서 유의미하게 작았다(p < 0.05). 제3뇌실(p = 0.002)의 부피는 아밀로이드베타 양성군에서 유의미하게 컸다. 간이 정신 상태 검사와 국소뇌부피를 이용하여 머신러닝기법을 이용했을 때 좋은 정확도를 보였다(81.1%). 결론 간이 정신 상태 검사, 제3뇌실과 해마 부피를 이용한 머신러닝의 적용은 아밀로이드베타 양성을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상완혈압과 두부혈압의 상관성 분석에 의한 진단요소 추출과 다기능 전자혈압계의 개발 (Diagnosis parameters extraction by correlativity analysis of blood pressure(BP) and head blood pressure(HBP) and Development of multi-function automatic blood pressure monitor)

  • 이용흠;고수복;정동명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0권6호
    • /
    • pp.58-67
    • /
    • 2003
  • 각종 성인병과 난치성질환인 뇌졸중과 치매, 중풍의 원인으로는 혈액순환장해에 의한 고혈압과 두부혈압의 상승이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MRI , X-ray 같은 의료장비는 뇌졸중이나 중풍 등의 발병전 예방보다는 발병후의 치료를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난치성 질환이 정상인에서도 발생하고 있어서, 상완혈압에 의한 진단보다는 뇌혈류 상태를 반영하는 두부혈압을 진단하는 것이 더 정확한 임상진단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혈압계나 전자혈압계로는 두부혈압을 측정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혈압과 두부혈압을 쉽고 간편하게 측정하고, 상완혈압에 대한 두부 혈압의 상관성을 추출하여 뇌혈류 상태 및 건강상태를 조기 진단/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임상실험 결과, 기존의 혈압계보다 측정오차가 작고 재현성이 우수하여 신뢰성을 확인하였고 ,두부혈압의 최고압은 상완 최고압의 62%, 최저혈압은 상완 최저혈압의 46%에 해당하는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정상인과 환자간의 상관성에 큰 차이가 있고, 이는 상완혈압 측정에 의존한 진단보다 두부혈압 측정에 의해 더 중요한 진단요소론 추출할 수 있어서 더 정차한 진단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뇌혈류에 이상이 있을 때 달라지는 두부혈압을 측정하여 상완혈압과의 상관성을 추출하고,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뇌혈류 상태를 진단/개선함으로서 새로운 진단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두부혈압 측정 시스템의 설계 및 두부혈압과 상완혈압과의 상관성 추출 (Design of Head Blood Pressure(HBP) Measurement System and Correlativity Extraction of Blood Pressure(BP) and HBP)

  • 이용흠;정석준;장근중;정동영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381-389
    • /
    • 2003
  • 상완혈압과 두부혈압의 상승은 혈액순환장애와 함께 각종 성인병과 난치성질환인 뇌졸중과 치매, 중풍의 원인이 되고 있다. 뇌졸중이나 중풍의 조기진단에 있어서, MRI 같은 의료장비는 발병전 진단보다는 발병후의 치료를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의료비 부담이 큰 단점이 있다. 또한, 상완혈압이 정상인 사람에서도 중풍이 발생하고 있어서, 상완혈압에 의한 진단보다는 뇌혈류상태를 반영하는 두부혈압을 진단하는 것이 더 정확한 임상진단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혈압계로는 두부혈압을 측정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상완혈압과 두부혈압을 쉽고 간편하게 측정하고, 상완혈압에 대한 두부 혈압의 상관성을 추출하여 뇌혈류 상태 및 건강상태를 조기 진단/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시스템의 임상실험 결과, 두부혈압의 최고압은 상완 최고압의 62%, 최저혈압은 상완 최저혈압의 46%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하여 상관성을 추출하였다, 상완혈압이 정상, 고혈압 및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 두 혈압간 상관성에 큰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완혈압 측정에 의존한 진단보다 두부혈압 측정에 의해 더 중요한 진단요소를 추출할 수 있어서 더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뇌혈류에 이상이 있을 때 달라지는 두부혈압을 측정하여 상완혈압과의 상관성을 추출하고,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뇌혈류 상태를 진단/개선함으로써 새로운 진단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일차 진행성 실어증에 대한 최근 10년간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Regarding Primary Progressive Aphasia During the Last 10 Years)

  • 김노을;김정완
    • 재활복지
    • /
    • 제20권3호
    • /
    • pp.45-65
    • /
    • 2016
  • 일차 진행성 실어증(Primary Progressive Aphasia, PPA)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진단과 중재가 이루어지기 위해 기초연구가 많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신경언어장애 내 치매 하위분야에서도 이들에 대한 연구는 부진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국내외 관련 학술지에서 다루어진 PPA 연구논문의 동향을 분석하여 국내 PPA 연구의 향후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일차적으로 선별된 17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대상, 연구목적, 연구영역으로 나누고 연도별 연구동향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내외 모두 '실문법형'이 가장 많았고, 연구목적은 PPA의 전반적 특성이나 세 아형별 비교를 다룬 '특성연구'가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었다. 연구영역은 국외 연구에서는 의미(언어) 영역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으면서 '말'과 '기타'연구도 골고루 이루어져 있었던 반면, 우리나라는 '언어' 영역을 제외한 '말'과 '기타' 영역에 대한 연구가 아직 시행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외에서는 기존의 3가지 아형으로 나누어지던 PPA 분류에 말실행증(apraxia of speech) 분류가 추가되어 4가지 증상의 구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모색되고 있는 반면, 국내는 환자 사례 발출이 어려워 이들이 보이는 증상이 의사소통장애에 상당히 초점이 맞춰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행된 연구가 거의 없었다. 기본적으로 관련 연구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연구 영역의 다양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난 만큼, 향후 이에 대한 관심과 연구 확대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