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과용 도재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9초

Alumina와 zirconia가 치과용 코아 도재의 물리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 OF ALUMINA AND ZIRCONIA ON MECHANICAL PROPERTIES OF DENTAL CORE PORCELAIN)

  • 신현수;이상진;이근우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17-349
    • /
    • 199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filler particle size and weight% on mechanical properties of dental core porcelain. In alumina, variation in particle size and weight% and in zirconia, variation in weight%, all specimens were tested three-point bending strength, transmittanc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porosity and shrinkage and observed with SEM and analysed with X-ray diffractometer. In order to develop shrink-free porcelain, after firing alumina only, glass wasinfiltrated. And aluminum was added to alumina with the expanding character of aluminum oxidize into alumina, and was followed by second firing of glass infiltration procedure. Then mechanical properties were obser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obtained as follows. 1. The bending strength of zirconia was higher than that of alumina, and $5{\mu}m$ alumina had highest strength in variation of particle size of alumina. Except for $5{\mu}m$ alumina, increased with weight%, bending strength increased up to 80% and decreased at 90%. In case of glass infiltration, bending strength was slight higher than 80% and 90% of $5{\mu}m$ alumina. 2. Transmittance increased with increase of shrinkage, decrease of porosity, and with increase of filler size and had no direct correlation with weight%. 3.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alumina group was $7.42\sim8.64\times10^{-6}/^{\circ}C$ and that of zirconia group was $9.83\sim12.11\times10^{-6}/^{\circ}C$ and the latter was higher than the former. 4. In x-ray diffraction analysis, alumina group and zirconia group increased $Al_2O_3$ peak and $t-ZrO_2$ peak with increase of weight%. The second phase(cristobalite peak) was observed in zirconia 40% group. 5. Porosity of zirconia was lower than that of alumina and $5{\mu}m$ alumina group had many pores with SEM. In case of low filler content, fracture occurred in glass and high filler content, in glass and filler. In case of aluminum addition to alumina, small oxidised aluminum was observed. 6. Zirconia group had high shrinkage than alumina group, and mixed group of alumina group had high shrinkage. In case of glass infiltration, shrinkage decreased and aluminum addition to alumina group was almost shrink-free.

  • PDF

치과용 복합레진으로 수리된 CAD-CAM hybrid 수복물의 전단결합강도 (Shear bond strength of dental CAD-CAM hybrid restorative materials repaired with composite resin)

  • 문윤희;이종혁;이명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93-202
    • /
    • 2016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치과용 CAD-CAM (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ing) hybrid 수복재료인 LAVA Ultimate와 VITA ENAMIC을 광중합 복합레진을 사용하여 수리할 때 표면처리방법(grinding, air abrasion with aluminum oxide, HF acid)과 접착재료(Adper Single Bond 2, Single Bond Universal)의 종류가 두 재료 사이의 전단결합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LAVA Ultimate와 VITA ENAMIC 시편을 30일간 $37^{\circ}C$의 인공타액(Xerova solution)에 보관하여 시효처리를 실시한 후 각각 SiC paper grinding한 것, grinding 후 air abrasion처리를 추가한 것, grinding 후 HF 처리한 것으로 분류하고 각각 no bonding, Adper Single Bond 2, 또는, Single Bond Universal 도포로 세분하여 9개의 group, 총 18개의 subgroup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N=10). HF 처리group에서는 도재시편을 대조군으로 추가하였다(N=10). 표면 처리 후 광중합 복합레진(Filtek Z250)을 각각의 시편에 부착하고 이를 1주일간 실온의 물에 침적시켰고 이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파절양상 및 표면처리 효과를 SEM으로 확인하였다.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group 간의 유의성을 분석하였고 사후 분석으로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alpha}=.05$). 결과: 실험 결과 접착재료 처리를 한 group들이 접착재료 처리를 하지 않은 group에 비해 모든 표면처리에서 더 높은 전단결합력을 나타내었으며, 표면처리만 시행한 group에서는 aluminum oxide air abrasion이 전단결합력의 증가에 약간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LAVA Ultimate와 VITA ENAMIC의 두 재료를 광중합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수리를 실시할 경우 각각의 재료에 적합한 표면처리방법과 접착재료의 선택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LAVA Ultimate의 경우 접착재료의 사용은 추천된다고 사료되었다.

육안과 분광 측정기를 이용한 자연 치아의 색조비교분석 (Shade comparative analysis of natural tooth measured by visual and spectrophotometric methods)

  • 김범석;신수연;이종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443-454
    • /
    • 2008
  • 도재 수복물 제작을 위해 자연치아의 색조를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색견본 (shade guide)을 이용하는 시각적인 방법과 기계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중 통상적인 육안 관찰을 통해 색조를 선택하는 것은 임상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방법이기는 하나 주관적이며 일관되지 않은 결과로 신뢰성의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자연치의 색조는 매우 다양하여 같은 치아라 할지라도 부위별로 다양한 색조를 가지기 때문에 단순히 shade tab을 이용한 색조 비교만으로는 정확한 치아의 색조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지속적인 기술발달로 computer color matching system, 치과용 비색계, 분광 측정기 등의 기계를 이용한 치아 색조 측정 방법이 이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기계를 이용한 방법은 색조 선택에 있어 객관적이며, 재현성이 있는 정확한 정보를 술자에게 제공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원, 개인, 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육안과 기계를 통한 관찰 시 치아 색조 선택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시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치과대학병원 전공의인 1명의 검사자가 10명의 피검자를 오전, 정오, 오후 각 3번의 측정을 통해 시간대별 자연광하에 육안, 기계 측정의 색조 선택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5명의 치과대학병원 전공의와 5명의 치과대 학생, 총 10명의 검사자가 10명의 피검자를 정오에 육안, 기계 관찰을 통해 개인차에 따른 정확성을 실험하였다. 세 번째 실험에서는 두 번째 실험의 결과를 5명의 치과대학 전공의, 5명의 치과대학생 군으로 나누어 숙련도에 따른 육안, 기계 색조 선택의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첫 번째 실험에서는 기계 측정 결과가 육안 측정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P < .05) 색조 선택의 정확성을 나타내었고, 두 번째 실험에서 역시 기계 측정시 개개인의 육안 측정에 의한 색조 선택 값에 비해 재현성 및 정확성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5). 세 번째 실험에서 이전 실험의 결과를 숙련자, 비숙련자 군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군 내 기계 측정값이 육안 관찰값보다 숙련도에 상관없이 정확도가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5). 하지만 군 간 육안, 기계 측정값을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치아 색조를 육안, 기계 측정할 때 술자의 숙련도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계를 이용하는 치아 색조 측정 방법이 색견본을 이용하는 시각적인 방법에 비해 더 정확하기는 하지만 어느 정도의 측색 오류를 고려해야하며 수복물 제작 시 정확한 재현과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해 시각적인 방법과의 병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수종의 인공 레진 치아의 마모저항성과 경도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Wear Resistance and Hardness of Several Artificial Resin Teeth)

  • 최유성;이준석;조인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4권2호
    • /
    • pp.129-14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치과 수복재료에 대합되는 의치용 레진치의 마모저항성을 알아보기 위해 통상의 아크릴 릭 레진치인 $Trubyte^{(R)}$ $Biotone^{(R)}$ (Dentsply, U.S.A.)과 고강도 레진치인 Endura $Posterio^{(R)}$ (Shofu, Japan), Physio $Duracross^{(R)}$ (Nissin, Japan)를 수복재료인 금합금, 도재, 충전용 레진에 대합시켜 마모저항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앞의 세 종류의 레진 인공치와 5종류의 의치세정제인 유한락스, 폴리덴트, 싸이덱스, 헥사메딘, 증류수를 사용하여 의치세정제 및 소독제가 경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합되는 수복재료로 충전용 레진, 도재를 사용한 경우 $Trubyte^{(R)}$ $Biotone^{(R)}$, Endura $Posterio^{(R)}$, Physio $Duracross^{(R)}$ 순으로 교두정 높이감소가 컸으며 세 재료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2. 대합되는 수복재료로 금합금을 사용한 경우 $Trubyte^{(R)}$ $Biotone^{(R)}$, Endura $Posterio^{(R)}$, Physio $Duracross^{(R)}$ 순으로 교두정 높이 감소가 컸으며, 특히 $Trubyte^{(R)}$ $Biotone^{(R)}$ 이 다른 두 종류의 인공치보다 유의성 있게 높은 교두정 높이 감소를 보였다 (p<0.05). 3. 대합되는 수복재료로 충전용 레진, 금합금, 도재를 사용한 경우 모두 $Trubyte^{(R)}$ $Biotone^{(R)}$, Endura $Posterio^{(R)}$, Physio $Duracross^{(R)}$ 순으로 무게 감소가 컸으며, 세 재료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4. 의치세정제에 따른 경도 감소는 실험 전과 후의 측정치를 비교했을 때 모든 레진 인공치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 를 나타내었다 (p<0.05). 5. 유한락스, 싸이덱스, 헥사메딘에 담구었던 레진 인공치에 의한 경도감소는 $Trubyte^{(R)}$ $Biotone^{(R)}$, Endura $Posterio^{(R)}$, Physio $Duracross^{(R)}$ 순으로 높은 감소를 보였고, 특히 $Trubyte^{(R)}$ $Biotone^{(R)}$이 다른 두 종류의 인공치보다 유의성 있게 높은 경도 감소를 보였다 (p<0.05). 이상의 실험 결과 마모저항성 실험에서는 최근에 개발된 Physio $Duracross^{(R)}$가 다른 두 종류의 레진 인공치에 비해 세 종류의 대합되는 수복재료 모두에서 높은 마모저항성을 보였고 특히 $Trubyte^{(R)}$ $Biotone^{(R)}$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은 마모저항성을 보였다. 경도 실험에서는 Physio $Duracross^{(R)}$와 Endura $Posterio^{(R)}$$Trubyte^{(R)}$ $Biotone^{(R)}$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은 경도감소를 보였고 (p<0.05), 폴리덴트, 증류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Physio $Duracross^{(R)}$가 세 종류의 레진 인공치에 비해 우수한 마모저항성을 보인다고 볼 수 있고, Endura $Posterio^{(R)}$와 함께 $Trubyte^{(R)}$ $Biotone^{(R)}$에 비해서 우수한 경도를 보인다고 볼 수 있지만, 단편적인 실험 결과이므로, 아직은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하고,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도재라미네이트 접착용 레진시멘트의 색조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 STABILITY OF RESIN CEMENTS LUTED FOR PORCELAIN LAMINATE VENEER)

  • 김영운;박하옥;방몽숙;양홍서;박상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91-202
    • /
    • 2007
  • Statement of problems: Long-term success of esthetic restorations, depends on various factors, especially on color stability of the restorations. The color stability is affected by resin cements beneath the porcelain laminate veneer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d the color stability of resin cements by comparing with 4 different kinds of resin cements (Choice, Variolink II, Nexus 2, Rely-X). Material and methods: Porcelain laminate disk samples were luted with resin cements. After thermocycling of each 1000, 2000 and 3000 cycle, specimens were measured by spectrophotometers and the color differences were. Results: 1. After thermocycling of 1000, 2000 and 3000cycle, color difference, $({\Delta}E^*)$ of all specimens were incresed, but were not statis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2. In the Choice of A1 shade and the Nexus 2 of A3 shade, color difference$({\Delta}E^*)$ after thermocycling of 3000cycl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than after thermocycling of 1000cycle. However, other groups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3. After thermocycling of 3000cycle, color difference$({\Delta}E^*)$ between A1 shade and A3 shade of Nexus 2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other groups (P<0.05). 4. The mean of color difference$({\Delta}E^*)$ is 1.0-2.06 after 3000 thermocycling and the data were ranked in the ascending order of Variolink II, Nexus 2, Choice and Rely-X in A1 shade group and Choice, Rely-X, Variolink II and Nexus 2 in A3 shade group. Conclusion: Above results revealed that, after 3000 thermocycing, the color difference $({\Delta}E^*)$ of experimental resin cements was within clinically acceptable ranges. Color stability of 4 different resin cements was comparatively excellent.

도재에 대한 교정용 브라켓 접착 레진의 전단접착강도에 관한 연구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ONDING RESINS TO PORCELAIN; AN IN VITRO STUDY)

  • 고진환;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3-65
    • /
    • 1992
  • Bonding orthodontic adhesive resins to glazed porcelain surface is not attainable.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examine, in vitro, the effect of three methods of porcelain surface pretreatment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adhesives, and to compare the shear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 bonding to porcelain surface by the best results that to human enamel. Porcelain disks ($Ceramco^{(TM)}$ and $Vita^{(TM)}$) baked in the laboratory were roughened by sandpapers, #320, #600, #800, #1000 and #1200, and were pretreated with silane and dried at the various temperatures, room temperature, $50^{\circ}C$, $70^{\circ}C$ and $90^{\circ}C$, and were etched by 3% hydrofluoric acid solution for 1, 3, 5, 7, and 9 minutes, orthodontic adhesives (System $1+^{(TM)}$ and $Unite^{(TM)}$) were applied on them, and shear bond strengths were measured by Instron. The best results of pretreatment of each method were determined by the shear bond strengths. Again, porcelain disks were pretreated by the determined best results and human enamel were etched by 37% hydrofluoric acid solution, orthodontic brackets were bonded on them by the orthodontic adhesives, and the shear bond strengths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tween them. 1. Roughening porcelain surfaces with coarse sandpaper (#300) showed higher shear bond strength than that with finer sandpapers, but it $(22.44Kgf/cm^2)$ was distinguishably low compared to that from etched human enamel $(144.11Kgf/cm^2)$. 2. There were disparities in shear bond strengths upon the orthodontic resins, which was presumably related to the contents of fillers in orthodontic adhesive resins. Also there were disparities in shear bond strength upon the porcelains which had different composition. 3. Silane enhanced the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resins to porcelain surfaces ($25.20Kgf/cm^2$ at $50^{\circ}C$), which was markedly low compared to that from etched human enamel. 4. Etched porcelain surface with 3% hydrofluoric acid solution for 1 to 9 minutes showed no difference in shear bonding strength of orthodontic adhesive resins. Shear bond strength from etched porcelain $(97.43-120.72Kgf/cm^2)$ were as high as clinically available, but low compared to that from etched human enamel. 5. Roughening with #300 sandpaper and etching by 3% hydrofluoric acid followed silane application on porcelain surface showed lower shear bond strength than etched human enamel, but were as high as clinically useful. 6. The results suggest that etching porcelain surface by 3% hydrofluoric acid solution might provide comparatively high shear bond strength as much as clinically favorable.

  • PDF

3종의 단일치아 수복용 지대주의 삼차원 유한요소법적연구 : 시멘트 유지헝 대 나사 유지형 (3-D FEA of three different single tooth abutments : Cement-retained Vs Screw-retained)

  • 이정민;김영수;김창회;김용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69-288
    • /
    • 1999
  • 현재 골 유착성 임플랜트는 안전하고 유용한 보철 수복 분야의 하나로 자리잡아 가고있다. 과거 완전 무치악 환자에게 있어서 저작 기능의 회복이란 면에 중점을 두었던 경향에서 현재 골유착 임플랜트의 높은 성공률에 의해 부문 무치악, 단일치 수복에 까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심미성과 인접치의 손상을 가하지 않는다는 면에서 단일치 수복에서 골유착 임플랜트 치료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단일치 수복에 있어서 심미성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이런 수복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계통의 임플랜트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중 가장 기본적인 Branemark 계통의 CeraOne 지대주, 최근에 개발된 전부도재 지대주인 CerAdapt 전부주조 지대주인 UCLA 계통등은 높은 성공률을 보이며 많이 사용되고 있다. 임상가들에 의해 나사유지형 보철물이 착탈성이란 관점에서 선호되고 있다. 시멘트유지형 보철물에서는 나사공이 없는 온전한 교합면을 유지한다는 면과 교합력을 받는 면적에 있어서 더 넓은 면을 가진다는 점등 더 많은 장점을 가진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임상가들의 기호에 의해 선택되어지는 나사 유지형과 시멘트 유지형에 있어서 교합력이 야기하는 하중하에서 각각의 응력 분포를 분석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이 연구는 단일치 수복에 사용되는 CeraOne, CerAdapt UCLA 계통에서 각각의 나사 유지형과 시멘트유지형에서의 응력분포를 삼차원 유한요소법으로 분석하고 상부 구조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 수평 하중, 경사 하중에 의해 야기되는 응력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eraOne, CerAdapt, UCLA 지대주 모두 시멘트유지형보다 나사유지형에서 응력집중이 컸다. 2. CeraOne 시멘트유지형인 1번 모델에서 응력분산이 유리하였고, UCLA 나사 유지형인 6번 모델에서 가장 불리하였다. 3. 모든 모델에서 고정체 경부에서 가장 큰 응력 집중이 있었고 이것은 UCLA 지대주에서 가장 컸다. 4. 상부 구조물에서 주된 응력의 집중은 교합면에서 일어났다. 5. 골은 상부 피질골, 즉 고정체경부와 만나는 부위에서 가장 큰 응력의 집중이 일어났으며 수평, 경사 하중시 응력집중 양상은 힘을 가한 쪽의 반대쪽 고정체 경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양상을 보였다. 6. 전체 모델과 골, 고정체 모두에서 수평 하중과 경사 하중시 보다는 수직 하중시 더 적은 응력값을 보였다.

  • PDF

수종의 CAD/CAM 시스템으로 제작한 지르코니아 기반 완전도재관의 적합도 비교 (A comparison of the fidelity of various zirconia-based all-ceramic crowns fabricated with CAD/CAM systems)

  • 김성준;조광헌;이규복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48-155
    • /
    • 2009
  • 연구목적: 최근에는 금속도재관의 심미적 문제로 심미성과 강도가 개선된 코아용 도재 및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전부도재관 시스템에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금속과 유사한 강도를 가지면서 금속의 비심미성을 극복할 수 있는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보철물의 제작이 국내외에서 많이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CAD/CAM 시스템으로 제작되는 여러 종류의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전부도재관의 적합도에 대한 임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다양한 CAD/CAM 시스템 중 Procera, Cerec inLab, Lava에 의해 제작된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전부도재관의 변연 적합도와 내면 적합도를 측정하여 이를 전통적인 방식으로 주조된 금속 도재관의 적합도와 비교 평가해 봄으로써 임상 적용에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본 연구를 위해 하악 우측 제2소구치에 해당하는 레진치를 삭제하여 인상채득 후, 금속 주모형을 제작하였다. 금속 주모형의 40개의 인상을 채득 후 각 시스템마다 10개씩 총 40개의 crown을 제작하였다. 금속도재관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제작하였고 Procera, Lava, Cerec inLab crown은 zirconia core를 이용하여 CAD/CAM 시스템으로 제작하였다. 수직 변연 오차와 내면 간격을 각 그룹마다 금속 주모형에 시멘트 접착 없이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oneway ANOVA와 Tukey's HSD test로 통계 내었다. 결과: 수직 변연 오차는 금속도재관이 $50.6{\pm}13.9{\mu}m$, Procera crown이 $62.3{\pm}15.7{\mu}m$, Lava crown이 $45.3{\pm}7.9{\mu}m$, Cerec inLab crown은 $71.2{\pm}2.0{\mu}m$로 측정되었다. 내면 간격은 금속도재관이 $52.6{\pm}10.1{\mu}m$, Procera crown이$161.7{\pm}18.5{\mu}m$, Lava crown이 $63.0{\pm}10.2{\mu}m$, Cerec inLab crown이 $73.7{\pm}10.7{\mu}m$로 측정되었다. 변연 적합도 측면에서 볼 때 Procera crown, Lava crown, Cerec inLab 그리고 전통적인 금속도재관은 임상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적합도 범위($120{\mu}m$) 내에 있었다. 내면 적합도 측면에서 볼 때 Procera crown을 제외한 Lava crown, Cerec inLab, 금속도재관은 임상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적합도 범위($140{\mu}m$) 내에 있었다.

수종의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의 물성 및 lithium disilicate ceramic과 상아질에 대한 전단결합강도 비교 (PHYSICAL PROPERTIES OF DIFFERENT SELF-ADHESIVE RESIN CEMENTS AND THEIR SHEAR BOND STRENGTH ON LITHIUM DISILICATE CERAMIC AND DENTIN)

  • 신혜진;송창규;박세희;김진우;조경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3호
    • /
    • pp.184-191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면 처리와 수복물 내면의 처리가 필요 없는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의 물성 및 lithium disilicate ceramic과 상아질에 대한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기존의 레진 시멘트와 비교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실험군인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로는 Rely-X Unicem, Embrace Wetbond, Maxcem, BisCem을, 대조군으로는 기존의 레진 시멘트인 Rely-X ARC, 수복용 복합레진인 Z-350을 사용하였다. 각 레진 시멘트의 물성 평가를 위하여 테플론 주형을 이용하여 시편을 제작하고 만능 시험기를 이용하여 압축강도, 간접인장강도, 굴곡강도를 측정하였다. IPS Empress 2 및 상아질 시편에 제조사의 지시대로 Rely-X ARE군과 Z-350군에만 전처리를 시행 후 각 시멘트를 접착하고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인 Biscem이 가장 낮은 물리적 성질을 나타내었다 (P<0.05). 2.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의 상아질 및 도재에 대한 전단결합강도는 기존의 레진 시멘트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P<0.0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자가 접착 레진 시멘트는 기존의 레진 시멘트에 비해 물리적 성질 및 상아질과 lithium disilicate ceramic에 대한 전단결합강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임플란트-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임상적 상태에 대한 평가 (Clinical Evaluation of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es)

  • 박찬용;윤미정;허중보;정창모;전영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4호
    • /
    • pp.317-326
    • /
    • 2013
  • 임플란트-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누적 생존율을 구하고,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요소 간 상관관계를 평가하여, 임플란트-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예후를 예측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2000년에서 2007년까지 부산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임플란트-지지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한 환자를 대상으로 임플란트-지지 고정성 보철물과 관련한 종합적인 임상적 상태를 조사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임플란트-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추정 수명은 11.7년이었고, 고정성 보철물에 문제가 발생되는 추정 시점은 9.5년이었다. 2. 나이와 성별에 따른 수명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5). 3. 치아 발거 원인은 임플란트-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수명에 영향을 미쳤다(P<.05). 치아 우식증의 경우 고정성 보철물의 수명은 10.0년, 치주 질환의 경우 9.0년이었다. 4. 악골에 따른 수명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P>.05), 전후방 위치에서는 소구치부 보철물의 수명이 11.0년으로 수명이 길었고, 대구치 부위 보철물의 수명이 8.8년으로 짧았다(P<.05). 5. 임플란트-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크기는 보철물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5). 6. 대합치 조건별 임플란트-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수명은 차이가 없었다(P>.05). 7. 임플란트-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합병증은 식편 압입(40.5%), 도재 파절(25.8%), 나사 풀림(23.6%) 순이었다. 식편 압입은 임플란트 위치와 상관관계를 보였고, 나사와 관련된 문제는 임플란트 위치와 보철물 종류에 영향을 받았다(P>.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