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층 전단력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1초

점성을 가진 음질이 입혀진 원형평판으로부터 의 음악복사 (A Study on the Sound Radiation from a Clamped Circular Plate with Viscoelastic layer by Impact Force)

  • 전재진;이병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5-16
    • /
    • 1987
  • 본 논문에서는 충격으로 인한 점탄성층을 가진 경계가 고정된 원형 평판으로부터의 음압복사에 대해 이론적, 실험적으로 연구한다. 층을 가진 평판의 운동을 모우드 해석법과 회전 관성효과와 전단력에 의한 변형을 고려한 Mindlin 의 평판이론으로부터 구한 고유치를 이용하여 구한다. 탄성구와 평판사이의 접촉력은 Hertz 이론으로 구하고 평판의 진동으로부터 복사되는 음압은 Rayleigh integral에 의해 구한다. 또한 층을 가진 평판으로부터 복사되는 음의 파형과 발생되는 음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예측한다.

  • PDF

상부벽식-하부골조를 가진 복합구조물의 고요주기예측 (Natural Period Estimation for the Buildings of Upper Wall and Lower Frame Type)

  • 박기수;김희철;김종헌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1-13
    • /
    • 2000
  • 상부벽식 하부골조를 가진 복합구조물은 부족한 대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건설되고 있다. 이러한 복합건물은 상부벽식-하부골조를 가지는 구조로써 일반적으로 전이보 또는 전이판으로 상하부를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상하부 구조사이의 강성과 질량에 많은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구보물의 고유주기는 지진하중과 밑면전단력을 결정하기 위한 중요한 변수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 규준에서 제안하는 고유주기 산정식은 이러한 건물에는 적용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상부벽식-하부골조를 가진 복합구조물의 고유주기의 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건물의 상하부 층수에 따른 변수만을 고려하여 고유주기산정식을 제안하였다. 하부는 2~5개 층을 가지고, 상부는 10~18개 층을 가지는 15~20층의 건물이면 정형적인 평면을 가지는 복합구조물로 한정하였다. 건물 내부의 채움벽에 대한 효과를 고려한 고유주기 제안식은 다음과 같다. 장변 방향 : $T_{L}$=($0.20H_{h}+0.05H_{i}$)/$sqrt{B}$-0.42 단변 방향 :$T_{S}$=($0.07H_{h}+0.12H_{i}$)/$sqrt{B}$-0.40

  • PDF

沿岸境界層에서의 表層風의 日變化 (Diurnal Variation of the Surface Wind in the Coastal Boundary Layer)

  • 최효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10-216
    • /
    • 1984
  • 5년간의 시간별 풍속 자료를 이용하여 연안 표층풍의 일변화가 분석되었다. 특히 내륙으로 부는 바람 (onshore flow)이 지배적인 계절에는 야간 최대풍의 최대 출현 빈도가 자정에 나타났다. 연평균 남풍 계열을 갖는 야간 최대풍은 북풍 계열 보다 약 3배이상의 출현을 보여준다. 중림의 대기 안정도가 연안에 지배적이므로 바람이 해양에서 내륙으로 불 경우는 (offshore flow) 상승된 전선역전층과 지표역전층에 의해 형성된 전단력(shear flow)이 연안경계층으로 전이되어 야간 연안 최대표층풍이 형성된다.

  • PDF

커플링 보의 접합방식에 따른 복합 벽체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ybrid Wall System on Connection Type of Coupling Beam)

  • 윤현도;박완신;한병찬;윤여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201-208
    • /
    • 2003
  • 철근콘크리트 코어 벽체와 외부 철골골조로 구성된 복합벽체시스템은 중앙 코아 전단벽 주변의 오픈공간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복합 벽체시스템은 연결된 벽체가 대부분의 횡하중에 저항하고 벽체저면과 커플링 보에서 대부분의 에너지를 소산할 수 있는 설계기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논문은 커플링 보의 접합방식 및 층규모를 주변수로 수직하중 및 풍하중과 지진하중을 받는 복합 벽체시스템에 대하여 전단력, 전도모멘트, 최대 횡변위, 층간변위비 및 동적특성을 규명하였다.

원자력 발전소 건물의 내진해석 모델

  • 허영
    • 전산구조공학
    • /
    • 제4권1호
    • /
    • pp.17-19
    • /
    • 1991
  • 본 글에서는 ANS(American Nuclear Society)에서 규정하고 있는 Safety Class 구조물 중 격납건물의 내진해석모델에 대해 주로 언급하며, 기타 건물(Non-Nuclear Safety "NNS")은 일반건물과 차이점이 없음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U.S. NRC(Nuclear Regulatory Commision)는 참고문헌[1]에 의해 원자력 발전소내 여러건물중 SSE(Safe Shutdown Earthquake)하중에도 견디도록 규정하여 정확한 동력학적 계산이 요구되어지나, 그 이외의 건물들은 대개 등가정적 방법에 의해 해석되어진다. 이 해석방법은 여러 빌딩규정들에서 제안된 것으로 지진에 의한 동적하중을 밑면적 단력 또는 각층에 작용하는 층전단력이라는 등가의 정적하중으로 바꿔 계산되며 이 때 사용되는 해석모델은 건물의 기본진동만을 표시할 수 있는 간단한 것이다.

  • PDF

초고층 건물의 전면기초(MAT 기초) 해석 및 설계 (Analysis and Design of Mat Foundation for High -Ribe Buildings)

  • 홍원기;황대진;권장혁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1권2호
    • /
    • pp.51-70
    • /
    • 1995
  • 초고층 건물의 기초는 지반의 지지력, 경제성, 시공성 등이 고려되어 먼저 그 형태가 결정되게 된다. 이 논문에서 고려된 빌딩에서의 깊은 기초의 적용은 심도90~l00m까지 암반의 충분한 지내력이 확보되고 있지 않은데 기인한 것이다. 지반의 지지력이 전반적으로 그다지 크지 않으면서 상부 구조물이 어느 특정기등에 상당한 축력을 미치게 되는 경우 이곳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침하가 예상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전면기초(MAT기초)로 처리하면 지반에 미치는 큰 응력을 주위 지반으로 분산시켜 경제적이며 바람직한 설계가 가능하여 진다. 이때 약한 부분의 지반은 전면기초를 통하여 지지력의 여유가 있는 지반과 연결되게 되므로 전면기초가 이와 같은 휨모멘트나 전단력등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면 기초의 부등침하를 방지할 수 있게되어 상부 구조물을 부등침하로 부터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은 이와같이 실제 계획, 설계중인 초고층 건물의 순수전면기초 해석 및 설계로서 일반 실무에도 연결될 수 있는 설계기법과 하중이 지반의 지내력을 초과하는 경우 응력의 재분배를 고려한 모델링 기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점토층 위 모래지반의 지지력비에 따른 얕은 기초의 지지력 거동 (Behavior of Bearing Capacity for Shallow Foundation on a Sand overlying Clay Depending on Bearing Capacity Ratio)

  • 정민형;신효희;이송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98-208
    • /
    • 2011
  • 연약 점성지반 위에 상대적으로 낮은 하중의 구조물이 얹어질 때, 상부에 모래층을 두어 지지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와같은 점토 위 모래층이 놓이는 조건에 대한 지지력 검증은 현장에서 평판재하시험 등을 통해 지지력 검증이 어렵기 때문에 설계단계에서부터 정확한 지지력 예측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점토 위 모래층이 놓이는 지반의 지지력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2차원 실내토조실험과 FEM 해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인자로 깊이비 H/B와 지지력비 $q_c/q_s$를 선정하여, 모래층 높이, 점토의 비배수전단강도 그리고 재하 폭을 변수로 하였다. 그 결과, 실내토조실험은 FEM 해석과 적합성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이론식과의 비교에 있어서 보다 최신 연구인 Okamura et al.(1998)의 메커니즘보다 관입전단 메커니즘과 그 유사성이 크게 나타났으며, 하중확산 메커니즘의 적용성을 위하여 등가하중확산각을 제시하였다. 또한, $q_c/q_s$에 대하여 무차원 단위의 한계깊이비 $H_f$의 선형 회귀식을 제안하였다.

철근콘크리트 전단벽-모멘트골조 형식 건물에 대한 마찰형 감쇠기 설치방식 비교연구 (Configurations of the Friction Dampers Installed in a Reinforced Concrete Shear Wall-Moment Frame System)

  • 박지훈;김길환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53-6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전단벽-모멘트골조 시스템으로서 전단벽이 주로 횡력을 부담하는 철근콘크리트 건물을 대상으로 다양한 설치형식과 마찰력의 총량 및 분포를 갖는 마찰형 감쇠기의 제진보강 효과를 수치해석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감쇠기의 설치형식으로서 전단벽에 인접한 대각가새형, 벽체가 없는 골조를 보강하는 대각가새형 및 벽체 단부를 보강하는 수직경계요소형을 고려하였다. 하중기준 강화로 설계용보다 크게 증가한 지진하중에 대해 건물의 재료비선형성을 고려한 비선형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여 에너지소산, 횡하중 및 부재손상도 측면에서 마찰형 감쇠기의 제진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기준마찰력의 30% 수준의 총마찰력을 갖는 벽체보강 대각가새형 설치형식이 전반적으로 가장 우수한 제진성능을 보이며,이 경우에 마찰력 배분방식은 중요하지 않았다. 또한 일부층에 집중설치함으로써 전층설치에 약간 못미치는 제진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비내진 상세를 가진 1:12축소 10층 R.C.골조의 비선형 거동에 관한 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Nonlinear Behaviors of A 1:12 Scale 10-Story Reinforced Concrete Frame with Nonseismic Details)

  • 이한선;강귀용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55-266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비내진 상세를 가진 고층 R.C골조의 탄성 및 비탄성 거동을 실험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따라서, 국내의 내진 설계규준에 따라 설계 및 시공된 건축물이 선정되었으며, 상사법칙에 따라 1:12의 축소율의 평면 골조모델이 제작되었다. 실험방법은 옥상층의 변위제어에 의해 반전횡하중 실험과 일방향 가력 실험을 수행하였다. 지진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횡력은 휘플트리를 이용하여 각층에 역삼각형 형태로 분포되었다. 실험으로부터 밑면전단력, 균열양상, 주요부재 단부에서의 국부 회전각 및 층간변위와 층전단력과의 관계를 얻을 수 있었다. 실험결과로부터 비내진 상세를 가진 고층 철근콘크리트 골조의 탄성 및 비탄성 거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편심유공합성보의 종국내력 및 변형능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Ultimate Strength and Deformation Capacity of Composite Beams with Eccentric Web Openings)

  • 최산호;서성연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2권5호통권48호
    • /
    • pp.595-604
    • /
    • 2000
  • 유공합성보는 공기조화설비등의 각종 배관으로 인한 용적률의 저하를 완화할 수 있고, 바람과 같은 수평력에 의한 층모멘트 감소등의 구조적 측면에서도 유용하다. 또한 휨강성도 증가되어 하중에 의한 처짐이 적어지고 진동하중이나 충격하중에도 유리하게 되어 건축물의 강성 및 내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개구부 위치 및 편심여부에 따라 외력에 대한 구조적인 거동이 달라지게 되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검토가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은 편심유공합성보의 종국내력 및 변형능력에 관한 실험적 연구로서, 무공합성보인 기준시험체와 중심 및 상 하 편심유공합성보 시험체의 실험 및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각 시험체들의 항복 및 최대내력, 휨 및 전단강성, 개구부주위의 응력분포, 그리고 모멘트-전단력 상관관계등의 구조적 특성을 규명코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