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층리

Search Result 18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Geo-educational Value of Deokmyeong-ri area in Goseong-gun, Gyeongsangnamdo (경남 고성군 덕명리 일원의 지질 교육적 가치)

  • Kyeong-Jin Park;Jae Woo Lee;Dal-Yong, Kong;Yong Sik Gihm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4 no.6
    • /
    • pp.611-628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geo-educational value of Deokmyeong-ri in Goseong-gun, Gyeongsangnamdo, through field research. The study area comprises well-exposed outcrops, which can be used as field sites during field trip for studying sedimentary structures (normal grading bedding, cross bedding, ripple, and desiccation crack), coastal depositional environments (coastal cliff, shore platform, and gravel beach), basic principles of relative dating (unconformity, fault, intrusion, and xenolith), and columnar joints. This study evaluated the field sites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extbooks used in the science curriculum. The field sites have a high educational value because they exhibit typicality, as mentioned in the textbook, and provide study materials for enrichment learning. Furthermore, Deokmyeong-ri Area has well-developed tourist and educational infrastructures; thus, it is a safe place for geological education.

Hydrogeological Controls on the Discharge Rate of Choosan Spring in the Nari Basin of Ulleung Island, South Korea (울릉도 나리분지 추산용천수 수량의 수리지질학적 지배요소)

  • Byeongdae Lee;Min Han;Chung-Ryul Ryoo;Byong-Wook Cho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4 no.1
    • /
    • pp.13-24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geology, geologic structure, hydrogeology and geomorphic characteristics of the Nari Basin and establish the controls on the discharge of water 20,000~40,000 m3/day from the Choosan Yongchulso, Ulleung Island, South Korea. Pumice and lapilli tuffs showing well-developed stratification are the predominant rock types surrounding the spring. The spring shows a structure whereby discharge occurs along a lens-like erosion cave formed by differential erosion of strata comprising tuff or pumice tuff. The Choosan Yongchulso is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planation surface of the Nari Basin' ends and steep slopes begin. The basin is bounded on all sides by these steep slopes, except in the north, where the Choosan Yongchulso is located. Given these geomorphic characteristics, the Choosan Yongchulso is regarded as the ultimate outlet of the basin catchment area.

Fluid-mud deposits in the Early Cretaceous McMurray Formation, Alberta, Canada (캐나다 앨버타주 전기 백악기 맥머레이층의 유성이토 퇴적층)

  • Oh, Juhyeon;Jo, Hyung Rae
    •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54 no.5
    • /
    • pp.477-488
    • /
    • 2018
  • Fluid muds commonly occur in estuarine environments, but their ancient examples have rarely been studied in terms of depositional characteristics and processes. Cores of estuarine channel deposits of the Early Cretaceous McMurray Formation, Alberta, Canada show various mudstone layers that possess de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high clay-concentration flows. These mudstone layers are examined in detail through microscopic observation of thin sections and classified into three microfacies (<1 to 25 mm thick) on the basis of sedimentary texture and structures. Structureless mudstone (Microfacies 1) consists mainly of clay particles and contains randomly dispersed coarser grains (coarse silt to fine sand). This microfacies is interpreted as being deposited by cohesive mud flows, i.e., fluid muds, which possessed sufficient strength to support suspended coarser grains (quasi-laminar plug flow). Silt-streaked mudstone (Microfacies 2) mainly comprises mudstone with dispersed coarse grains and includes very thin, discontinuous silt streaks of coarse-silt to very-fine-sand grains. The texture similar to Microfacies 1 indicates that Microfacies 2 was also deposited by cohesive fluid muds. The silt streaks are, however, suggestive of the presence of intermittent weak turbulence under the plug (upper transitional plug flow). Heterolithic laminated mudstone (Microfacies 3) is characterized by alternation of relatively thick silt laminae and much thinner clay laminae. It is either parallel-laminated or low-angle cross-laminated, occasionally showing low-amplitude ripple forms. The heterolithic laminae are interpreted as the results of shear sorting in the basal turbulent zone under a cohesive plug. They may represent low-amplitude bed-waves formed under lower transitional plug flows. These three microfacies reflect a range of flow phases of fluid muds, which change with flow velocities and suspended mud concentr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knowledge to recognize fluid-mud deposits in ancient sequences and to better understand depositional processes of mudstones.

Joint Characteristics in Layered Rocks (층상 암석에서 절리의 특성 연구)

  • Chang, Tae-Woo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9 no.2
    • /
    • pp.145-152
    • /
    • 2009
  • Joints are planar tensile opening-mode fractures whose relative motion, as the fracture propagates, is perpendicular to bedding plane and occur in a systematic manner to form a joint set. This paper discusses the mechanical control of joint propag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in spacing and layer thickness, the join saturation,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join spacing, the joint density, the cross joint, and the development mechanism of joint from a lot of recent joint studies in sedimentary rocks.

살내유적지 발굴조사 : 2. 지구물리학적 고찰

  • 김성욱;김인수;이현재;최은경;이성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9a
    • /
    • pp.134-139
    • /
    • 2002
  • 살내 유적지의 발굴조사에서 지질물리학에 기초한 연구방법과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발굴과 아울러 지구물리탐사를 실시하였다. 심도에 따라 구분한 전기비저항에서 토양 구성물질의 차이에 의한 전기비저항의 변화와 퇴적물의 공급방향을 유추할 수 있다. 지하레이더탐사의 반사단면에서 퇴적층의 분급과 입도에 따라 구분되는 층리의 경계를 규명할 수 있는데, 실트의 구성비가 높은 지층들의 반사면은 측방 연장성이 좋은 반면 자갈의 구성비가 높은 지층의 반사면들은 불규칙한 기복을 보여준다. 지층 반사면의 형태로부터 고환경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데, 살래유적지의 경우 문화층은 세립의 실트와 모래와 우세한 지층에 해당하며 층서에서 자갈층의 반복과 지층 경사는 퇴적물의 공급에 관련되는 고수계의 위치와 하천의 지속적으로 범람하는 환경을 지시한다. 주거 유적지의 대자율탐사에서 유적지 경계부의 토양은 주변에 비해 낮은 대자율을 가진다. 대자율 이상대를 형성하는 토양은 주거지 내부에 한정되며 이들은 황색계열의 토색으로 소성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Kinematic Analysis of the Yangsan Fault (양산단층의 구조적 특성과 운동학적 고찰)

  • 장천중;장태우
    • Proceedings of the KSEG Conference
    • /
    • 2002.04a
    • /
    • pp.163-171
    • /
    • 2002
  • 지금까지 양산단층에 대한 운동학적 해석은 단지 지질분포 특성의 차이를 근거로 단순 우수주향이동으로 해석해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대규모 단층들은 단계적으로 서로 다른 운동체계에서 복합적인 발달과정을 거치면서 현재의 모습으로 보인다. 따라서 양산단층의 주변 지질구조와 운동학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양산단층 주변의 지질분포, 지질구조, 단층주변의 소단층들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양산단층 주변 퇴적암의 층리면 자세는 양산단 층이 동일한 사건의 주향이동으로 형성된 단층예인의 특성이 아니라 서로 다른 응력축의 지배를 받았거나 서로 다른 크기의 운동을 받았음을 암시하고 있다. 또한 단층의 주향을 따라 단층대 폭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크게 5개의 주기를 가지면서 변화되고 각각의 주기는 약 25-30 km 로 규칙적으로 나타난다. 또한 단층조선이 발달된 소단층의 분석결과들은 양산단층이 한번의 운동으로 발달한 것이 아니라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사건들을 겪은 다중 변형의 산물임을 지시하고 있다.

  • PDF

NATM Tunnel Designs in Taiwan High Speed Rail Project (대만 고속전철에 적용한 NATM 터널설계)

  • Kim, Dal-Sun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1.05a
    • /
    • pp.424-430
    • /
    • 2001
  • 현대건설(주)는 사업 주관사로서 해외 업체와 대만고속전철 턴키 공사를 2000 년 1 월에 공동으로 수주하였다. 고속전철의 총 연장 길이는 약 326 km 이며, 정거장 10 개소, Depot 및 야적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에 수주한 공구는 2 개의 연속된 공구 (C230, C240) 이며, 본 논문은 총 연장 23.6km 인 C230 공구에 대한 설계 과정을 수록하였다. C230 공구는 NATM 터널 (6.2km), Cut-and-Cover 터널 (0.5km), 교량 (7.8km) 및 토공 구간 (9.1km)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 구간의 지반조건은 "매우" 취약한 매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층리나 절리는 거의 발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화약발파에 의한 터널 굴착은 기계식 굴착 (Back-hoe Excavation) 방법에 비하여 현실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취약한 지반에서 계측 결과를 기준으로 굴착 공간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NATM 보강 설계가 현지 암반조건에 가장 이상적인 방법으로 제시되었다. 특히, NAT설계는 대형 아파트 지역과 파쇄대 및 지하수 침투 예상지역을 통과하기 위하여 계측에 의한 Feed-back 과정을 탄력적으로 적용하도록 계획하였다.

  • PDF

홍성 토날라이트에서 관찰되는 화성기원의 엽리와 조직

  • 김장하;조문섭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5a
    • /
    • pp.52-52
    • /
    • 2003
  • 경기육괴 서남부에 위치한 홍성지역의 기반암은 선캠브리아 화강암질 편마암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적어도 일부는 신원생대(약820 Ma) 시기에 관입한 토날라이트질 심성암체로 구성된다. 토날라이트의 주 구성광물은 석영, 사장석, 흑운모, 각섬석이며, 저어콘, 스핀, 녹니석, 인회석 등이 소량으로 산출한다. 이 연구에서는 야외 및 미세구조 관찰을 통해, 홍성 화강암질암에서 나타나는 구조적 요소들이 화성기원임을 보고한다. 홍성 토날라이트에서 관찰되는 구조들이 화성기원인 증거는: (1) 엽리가 연속성이 부족하고 주향과 경사가 불규칙하며, 드물게는 사층리처럼 보이기도 한다. (2) 자형 내지 반자형의 장석과 각섬석이 엽리면에 평행 또는 준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반정 주변에는 음영대(pressure shadow)가 발달하지 않는다 (3) 고철질 포획체(mafic enclave)는 주변암의 엽리에 평행하게 신장되어 있고, 완전히 고화 되지 않은 상태에서 형성되는 불꽃 구조(flame structure)가 드물게 관찰된다. (4) 고철질 포획체의 주 구성광물인 흑운모와 각섬석은 주변암의 엽리와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으나, 소성변형의 증거를 보이지 않는다. 홍성 토날라이트에서 관찰되는 모든 조직들이 화성기원이라고 주장하기는 어렵지만, 모두 고체상태에서의 변형작용으로 설명하기는 더욱 힘들다. 후자가 화성기원의 조직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는지는 추후의 연구를 통해 밝혀져야 할 것이다.

  • PDF

A Process Study on the Cavities by Cave landform Deformation (동굴내부(洞窟內部)의 지형변형(地形變形)에 의한 동공(洞空)의 발달과정(發達過程) 연구(硏究))

  • Oh, Jong-Woo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88
    • /
    • pp.51-62
    • /
    • 2008
  • 동굴내부의 지형변형은 동굴내의 외인적인 요인과 내인적인 요인에 의하여 발달된다. 외인적인 요인으로서 기후변동에 의한 기온의 변화와 침출수의 증감 및 외부 이입물질 등을 들 수 있으며, 내인적인 요인으로서는 암석의 공극율, 지질환경, 단층 및 습곡면의 형상, 절리 및 균열면의 유무, 동굴지천의 구배 및 유속, 층리간의 이종의 암석게재 여부 등을 들 수 있다. 동굴 시스템은 수문 물리화학적 요소에 의해 형성되며 외부 기준면 통제에 의해서 암석학, 구조학, 기후학, 생물학, 토양학 등과 밀접한 상태에서 의존적인 발달 과정을 가진다. 동혈 내부의 침식은 유수의 입력 경우 유출과정에서 형성되며, 또한 유수의 비 입력 경우유출 및 액체용액의 분출에 의해서 형성된다. 다수의 동굴학자들은 동굴은 계절마다 침수되거나 빨리 흐르는 홍수에 의한 폭우에 의해 epiphreatic 상태에서 간헐적으로 포화되는 과정을 거치며 선택적으로 발달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혼합지대 동굴의 가장 좋은 예는 현재의 카르스트 지역에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과거 제4기의 200만년전 동안보다 해수면이 더 안정적이었던 때에 이루어진 고 카르스트(Paleo Karst)에서 발견되고 있다.

Identification of the Transmissive Fractures in the Vicinity of waterway Tunnel (도수로터널 주변 지역의 지하수 유동성 단열 규명)

  • 이병대;이인호;추창오;함세영;성익환;황세호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7 no.3
    • /
    • pp.33-44
    • /
    • 2002
  • A field technique for assessing the transmissive fractures in an aquifer was applied to a fractured rock formation in Youngchun area Korea. Geological mapping and detailed acoustic borehole teleview(BHTV) logging were performed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fractures. The study area consists predominantly of two types of fractures. The fracture sets of low angle partings such as bedding and sheeting plains have strike N70-80$^{\circ}$W, 25$^{\circ}$-30$^{\circ}$SW and N3S$^{\circ}$W, 12$^{\circ}$NE, respectively. In areas of high fractures, on the other hand, the major fracture sets show strike N80$^{\circ}$W and dip 70$^{\circ}$-85$^{\circ}$SW, N10$^{\circ}$E.85$^{\circ}$SE in sedimentry rocks, N40-50$^{\circ}$E.85$^{\circ}$SE/85$^{\circ}$NE, N70$^{\circ}$E.80$^{\circ}$SE, and N7$^{\circ}$-75$^{\circ}$W.80$^{\circ}$SW in granites and volcanic rocks. Injection tests have been performed to identify discrete production zones and quantify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hydraulic conductivity. The calculated hydraulic conductivities range from 3.363E-10 to 2.731E-6, showing that the difference between maximum and minimum value is four order of magnitude. Dominant section in hydraulic conductivity is extensively fractured. Geophysical logging was carried out to clarify characterization of the distribution of fracture zones. Transmissive fractures were evaluated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results obtained by each method. The temperature logs appeared to be a good indicator that can distinguish a high transmissive fractures from a common fractures in hydraulic conductivity. In numerous cases, evidence of fluid movement was amplified in the temperature gradient log. The fracture sets of N70-80$^{\circ}$W.60-85$^{\circ}$NE/SW N75-80$^{\circ}$W.25-30$^{\circ}$SW, N50-64$^{\circ}$W.60-85$^{\circ}$NE, N35-45$^{\circ}$E.65-75$^{\circ}$SE, and N65-72$^{\circ}$E.80$^{\circ}$SE/60$^{\circ}$NW were idenfied as a distinct transmissive fractures through the results of each te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