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층류 분리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8초

NACA 0012 에어포일의 경계층 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oundary Layer Behavior of an NACA 0012 Airfoil)

  • 양재훈;장조원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6-23
    • /
    • 2006
  • 저 레이놀즈수에서 NACA 0012 에어포일의 경계층 거동에 관한 연구가 터빈 블레이드와 초소형 비행체에서 적용될 수 있는 경계층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레이놀즈수 Re=$2.3{\times}10^4$, $3.3{\times}10^4$, $4.8{\times}10^4$과 정적 받음각 ${\alpha}$=$0^{\circ}$, $3^{\circ}$, $6^{\circ}$에서 경계층을 측정하기 위해 열선 풍속계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정적 받음각 =$0^{\circ}$에서는 층류 경계층이 에어포일 표면에 부착되며, 정적 받음각 $3^{\circ}$에서는 경계층 층류 분리가 발생된 것을 보여준다. 더욱이 본 연구에서 경계층 재부착 현상은 정적 받음각 $6^{\circ}$에서 레이놀즈수 $3.3{\times}10^4$$4.8{\times}10^4$에서 발생된다.

RO분리막 공정에서 온도와 압력이 유량에 미치는 효과

  • 박영규;오세현;오호영;장일헌;송석룡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4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77-79
    • /
    • 1994
  • 폐수와 하수처리에서 양질의 재생수를 얻기위하여 고분자막을 이용한 폐수재활용에서 나타나는 공정상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폐수는 처탑공장의 폐수로서 RO막을 이용한 폐수의 재이용공정개발을 목표로하고 있으며, pilot실험을 토대로 폐수의 적용성 검토가 행하여졌다. 사용된 막의 종류는 중공사막형의 막으로서 막내의 층류 흐름의 응용은 투석막, 기체분리, 중금속의 추출등 상당한 관심속에 있다. 여기서 중공사막과 같은 관(Cynlindrical)형의 막 구조에서 물질과 에너지 이동현상은 막분리공정을 이해하는 중요한 물리적고찰로서 막투과도를 높힐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온도에 의해 중공사막 RO막내의 유량변화에 주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 PDF

삼각 분리 막대형 차압 유량계의 압력탭이 유량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ssure Tapping on flow Rate Characteristics of Triangular Separate Bar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 이충훈;박동선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80-1686
    • /
    • 2009
  • 삼각 분리 막대형 차압 유량계 압력 탭의 가공 조건에 따른 유량 특성을 연구하였다. 삼각 분리 막대탭 차압 유량계에 가공한 압력 탭의 크기는 1.0 mm 또는 1.5 mm로 하였다. 압력 탭의 개수는 5개 또는 17개로 가공하였다. 삼각 분리 막대탭 차압 유량계와 층류유량계를 직결한 후 유량 특성을 검정하였다. 삼각 분리 막대탭 차압 유량계의 질량 유량을 무차원 파라미터 H를 사용하여 나타내었다. H는 TSB 유량계에서의 배압, 기체 온도, 유량계 상류압과 하류압 간의 차압을 포함하는 무차원 파라미터이다. TSB 유량계의 질량 유량과 H 간에는 선형적 관계를 보였다. 압력 탭의 개수 보다는 압력 탭의 직경이 TSB 차압유량계의 유량 특성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 PDF

입구유속의 진폭이 층류유동에서 사각실린더 주위의 와류쉐딩과 공진현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 정영종;심석구;강신형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603-608
    • /
    • 1998
  • 유체내의 물체 주위에서 유동박리로 인해 생성되는 와류쉐딩은 열전달이나 물질전달을 촉진시키는 이점이 있으나, 항력을 증가시키거나 유동 및 온도의 요동에 의해 구조물을 손상시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물체와 주위 유동 사이에 공진이 일어나면 항력값이 증가하면서 항력과 양력의 진폭이 급격히 증가하여 물체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레이놀즈수 200 이하의 층류유동에서 공진시 물체 주위의 유동현상과 이로 인한 양력과 항력의 변화들을 수치해석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수치해석은 일반좌표계에서 유한체적법을 적용하여 Navier-Stokes 방정식을 차분화하였다. 이때 방정식의 종속변수로는 공변속도를 채택하였으며, 이산화된 방정식은 분리단계법을 이용하여 수치해를 구하였다. 입구유속의 강제진동에 의한 사각실린더 주위의 와류쉐딩시 공진이 발생하는 강제진동수의 범위는 원통실린더의 경우와 유사하였으나 상대적으로 폭이 더 좁았다 그리고 공진이 발생하는 강제진동수의 범위는 진폭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쉐딩 진동수가 일정하면서 입구유속의 진폭이 증가하면 이에 비례하여 실린더 주위의 유속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와도가 강해지면서 입추유속 진폭에 비례하여 항력의 평균값 뿐 아니라 항력과 양력의 진폭도 증가하였다. 그리고 실린더 뒷면의 와류 생성영역은 진폭에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진폭의 변화에 따라 상변화가 서로 상이한 것은 실린더 뒤쪽의 와류들이 상하면의 합력차이를 변화시켰고 이것이 진폭변화에 따라 상변화를 상이하게 나타나게 한 원인으로 진폭이 클수록 실린더 뒤쪽에서 압력변화가 심하게 변하면서 실린더 앞쪽까지 더 많은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선원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최종방사능을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r의 분포를 보였다.cting the effect of earthquake on structures. This paper is based on the presented paper at the Bertero Symposium held in January 31an4 February 1 at Berkeley, California, USA which was entitled "Needs to Evaluate Real Seismic Performance of Buildings-Lessons from 1995 Hyogoken-Nambu Earthquake-". The lessons for buildings from the damage due to the Hyogoken-Nambu Earthquake are necessity to develop more rational seismic design codes based upon a performance-based design concept, and to evaluate seismic performance of existing buildings. In my keynote lecture at the Korean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the history of seismic design and use of structural analysis in Japan, the lessons for buildings from the Hyogoken-Nambu Earthquake, the

  • PDF

HRT 변화에 따른 미세입자 분리 특성 (Characteristics of Micro-Particle Separation according to HRT Changes)

  • 안광호;안재환;김이태;김석구;강성원;박은주;이영섭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12호
    • /
    • pp.937-942
    • /
    • 2013
  • 유체 내에서 발생된 음파 또는 초음파가 반사벽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일정한 파동을 형성하는 음파를 음향정재파(acoustic standing wave)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파수 1.0 MHz와 2.0 MHz의 음향정재파 발생모듈을 설치한 연속식의 입자분리장치에서, 유입수의 층류(laminar flow)를 고려하여, 수리학적체류시간(HRT) 변화에 따른 입자분리 특성을 살펴보았다. 정재파 가동에 다른 입자분리장치 내의 수온은 $1.3{\sim}2.8^{\circ}C$ 정도 증가하였으나 정재파 형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주파수 1.0 MHz 가동 시 HRT 1시간에서 2시간, 4시간으로 길어짐에 따라 입자분리 효율(탁도)은 각각 64.1%, 70.0%, 74.3%로, 2.0 MHz에는 HRT에 따라 각각 58.0%, 61.8%, 70.7%로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동일한 주파수일 경우 HRT에 따라 처리효율이 10% 이상 차이가 발생하고 있으며, 1.0 MHz 주파수에서는 2시간, 2.0 MHz에서는 4시간 정도에서 70% 이상의 처리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주파수 1.0 MHz와 2.0 MHz를 동시에 가동한 결과, HRT 1시간, 2시간, 4시간에서의 입자 분리 효율은 각각 63.8%, 70.6%, 77.6% 나타나 연속된 정재파의 발생 보다는 HRT가 입자분리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진동하는 NACA 4412 에어포일 근접후류에서의 레이놀즈수 효과 2: 난류강도 (Reynolds Number Effects on the Near-Wake of an Oscillating Airfoil, Part 2: Turbulent Intensity)

  • 장조원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8-18
    • /
    • 2003
  • 진동하는 에어포일의 근접후류에서의 레이놀즈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NACA 4412에어포일은 1/4 시위 지점을 중심으로 조화적으로 피칭운동을 하고, 순간받음각은 +6$^{\circ}$에서 -6$^{\circ}$까지 진동되도록 하였다. 진동하는 에어포일의 근접후류에서의 난류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열선풍속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유류의 속도는 3.4, 12.4, 26.2 m/s이다. 이러한 자유류 속도에 따른 시위 레이놀즈수는 $R_N=5.3{\times}10^4$, $1.9{\times}10^5$, $4.1{\times}10^5$이고, 무차원 진동수는 K=0.1이다. 레이놀즈수가 진동하는 에어포일의 근접후류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축방향 난류강도 분포를 제시하였다. 본 측정에서 모든 경우에 난류 강도는 $R_N=5.3{\times}10^4$인 경우에 아주 크고, $R_N=1.9{\times}10^5$$4.1{\times}10^5$인 경우에는 작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진동하는 에어포일의 근접후류에서 레이놀즈수의 임계값은 층류분리인 경우, 분리가 발생하지 않거나 난류분리인 경우로 구분되며, 그 값은 $R_N=5.3{\times}10^4\;{\sim}\;1.9{\times}10^5$사이에 존재한다.

고 아음속 터빈 깃 주위의 열유동 및 내부 열전달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A Numerical Investigation of External and Internal Heat Transfer in A High Subsonic in Turbine Cascade)

  • 김우진;김현식;곽재수;김학봉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3-38
    • /
    • 2010
  • Developments of numerical methods are very important to design and analysis for a high subsonic turbine blade. In general, Analysis by experimental investigation has needed a lot of human resources and required time, indispensably, and equipments still have a limit to measure in conditions of high temperature.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s of CPU and integration level of memory make it possible to advance computation with almost exactly simulation so, recent developments of numerical methods are in spotlight. In the present study, the panel method, which is well-known as relatively simplified numerical method, and 2-dimensional ordinary differential Falkner-Skan equation were computed in order to analyze the outer flow, and FVM-based solid heat transfer equation, was also computed to forecast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airfoil and the turbine blade. Unstructured grid was constructed in the turbine blade, which has double cooling holes, in order to analyze the internal heat transfer. Cooling fluid was assumed as fully-developed turbulent flow and that circulated in cooling holes.

수평격판으로 분리된 정사각형 밀폐공간내의 층류 자연대류 해석 (An investigation of laminar natural convection in a square partitioned enclosure)

  • 김점수;정인기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312-322
    • /
    • 1997
  • The natural convective flow in a two-dimensional square enclosure with horizontal partitions is investigated numerically. The enclosure was composed of the lower hot and the upper cold horizontal walls and the adiabatic vertical walls, and two identical partitions were positioned perpendicularly at the mid-height of the right and left walls, respectively. The governing equations are solved by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with Galerkin method. Calculations are made for different partition lengths, partition conductivites, and Rayleigh numbers based 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wo horizontal walls and the enclosure height with water(Pr=4.95). An oscillatory motion of the natural convective flow is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 variation of the gap width and Rayleigh number. When the gap width is comparatively short, the heat transfer rate is raised with the increase of the thermal conductivity of partitions. However, for sufficiently large gap widths at higher Rayleigh numbers, the average Nusselt numbers of the conductive partitions are smaller than those of the adiabatic partitions.

  • PDF

저 레이놀즈수에서 정지된 에어포일의 경계층 및 근접 후류 가시화 연구 (Visualization Study on the Boundary Layer and Near-Wake of a Stationary Airfoil at Low Reynolds Numbers)

  • 양재훈;장조원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44-50
    • /
    • 2006
  • A visualization study on the boundary layer and near-wake of an NACA 0012 airfoil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oundary layer behavior on the near-wake at low Reynolds numbers. The present study is investigated at static angles of attack ${\alpha}=0^{\circ},\;3^{\circ},\;6^{\circ}$ and $Re=2.3{\times}10^4,\;3.3{\times}10^4,\;4.8{\times}10^4$ by using a smoke-wire techniqu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laminar boundary layer on the airfoil surface is attached to the surface at ${\alpha}=0^{\circ}$, and that laminar separation of boundary layer on the airfoil surface occurs at ${\alpha}=3^{\circ}$. Furthermore, reattachment of the boundary layer occurs in the case of ${\alpha}=6^{\circ}$. In the current study, the location of the laminar separation point moves upstream as the Reynolds number and the angle of attack increase.

  • PDF

NACA 0012 에어포일의 경계층 거동이 근접 후류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Boundary Layer Behavior on the Near-Wake of an NACA 0012 Airfoil)

  • 양재훈;김동하;장조원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4-30
    • /
    • 2006
  • An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oundary layer behavior on the near-wake at low Reynolds numbers. An X-type hot-film probe(55R51) was used to measure the near-wake of an NACA 0012 airfoil at static angles of attack ${\alpha}=0^{\circ}$, $3^{\circ}$, and $6^{\circ}$, and the Reynolds numbers Re=2.3${\times}10^4$, 3.3${\times}10^4$, and 4.8${\times}10^4$.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undary layer on the airfoil surface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mean velocity and turbulence intensity profiles of a near-wake.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boundary layer, the position of the separation point, and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reattachment on the airfoil surface were represented by the differences in mean velocity and turbulence intensity profiles of the near-wake.

  • PDF